•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타마쿠라(歌枕)를 활용한 콘텐츠투어리즘 - 일본의『만요슈(万葉集)』관련 박물관 현황을 중심으로 - (On the Contents Tourism Using Utamakura - The Current State of Digital Museums in Japan during the Untact Era -)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1.11
21P 미리보기
우타마쿠라(歌枕)를 활용한 콘텐츠투어리즘 - 일본의『만요슈(万葉集)』관련 박물관 현황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어문학 / 95호 / 173 ~ 193페이지
    · 저자명 : 김수희

    초록

    本稿はコンテンツツーリズム領域における歴史的な観点に注目し『万葉集』の時代から自覚し始めた歌枕の意味を問い直し、それが現代の観光にどのようにつながっているかを考察したものである。コンテンツツーリズムとは、周知のように、2005年に日本の国土交通省総合政策局観光地域振興課ㆍ経済産業省商務情報政策局文化情報関連産業課ㆍ文化庁文化部芸術文化課から出された「映像等コンテンツの制作ㆍ活用による地域振興のあり方に関する調査」の中で用いられたもので、小説ㆍ映画ㆍドラマㆍ漫画ㆍアニメーション等の作品に関連のある場所を訪れる形態の観光と称され、「地域にコンテンツを通じて醸成された地域固有の雰囲気ㆍイメージ』としての『物語性』『テーマ性』を付加し、その物語性を観光資源として活用することである」として定義されている。最近新型コロナで今後の観光がどのようになるのか、旅行の未来はどのようになるのが世界的な関心事であることから、ポストコロナ時代における観光振興のためにもコンテンツツーリズムという概念が非常に注目される。本稿では『万葉集』の時代から自覚され、平安から江戸にかけて発展した歌枕が日本最古のコンテンツツーリズムとしてどのように機能しているかを考察し、特に転換を迫られる地域の観光戦略として非接触ㆍ非対面の観光にどのように対応しているのかを『万葉集』関連の博物館を中心に考察してみた。

    영어초록

    The present article takes a historical approach to the contents tourism, paying special attention to the meaning of utamakura that emerged in Man’yōshū and analysing how it is related to contemporary sightseeing. As is well known, the term contents tourism is used in “The survey of local revitalisations based on the production and use of visual and other forms of contents,” published in 2005 by the Policy Bureau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Commerce and Information Policy Bureau (Ministry of Economy, Trade and Industry), and the Cultural Affairs Department (Agency for Cultural Affairs). It is defined as a type of sightseeing in which people visit places relating to cultural contents such as novels, films, dramas, mangas, and animations and as the one that utilises the “story” and “theme” added to such locations as “the location-specific image refined through cultural contents.”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the pressing issues are concerned with the future of sightseeing and the future of travel. Therefore, the concept of contents tourism receives remarkable attention as a means of revitalising sightseeing during the post-COVID 19 era. The present article analyses the ways in which utamakura, which had emerged in Man’yōshū and had developed from the Heian period to the Edo period, served as the oldest contents tourisms. In particular, the article focusses on museums relating to Man’yōshū in order to examine how it corresponds to “untact” tourisms as a sightseeing strategy for communal societies that are facing the challenge of shif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