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도 사상의 언어학적 전회 - 바르트리하리의 스포타(sphoṭa)와 디그나가의 아포하(apoha) 의미론 - (The linguistic turn in Indian thought: The semantics of Bhartṛhari's sphoṭa and Dignāga's apoh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3.08
28P 미리보기
인도 사상의 언어학적 전회 - 바르트리하리의 스포타(sphoṭa)와 디그나가의 아포하(apoha) 의미론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연구 / 59호 / 77 ~ 104페이지
    · 저자명 : 박기열

    초록

    스포타(sphoṭa)라는 용어는 Mahābhārata, Aṣṭādhyayī 등에 등장하지만, 파탄잘리의 Mahābhāṣya에서 처음 의미론적 해석이 체계화되었다. 스포타는 문법학에서는 발성이 가지는 의미의 단위를 나타내고 음소 스포타, 단어 스포타, 문장 스포타 등이 있다. 바르트리하리는 화자의 의미 전달의 최종적 단위를 문장 스포타로 보고 그것만을 인정한다. 즉 화자가 특정한 문장을 발성하는 것은 그것의 스포타에 의한 것이고, 청자는 그 문장을 듣고 자기 내면으로부터 똑같은 스포타가 일어난다고 한다. 따라서 문장 스포타는 화자나 청자, 시간과 공간에 구애되지 않는 영원하고 보편적 실재으로서 언어학적으로 ‘말의 의미’에 해당한다.
    서론에서는 인도 사상에서 말소리, 의미, 대상의 관계에 관한 사유 방법을 개설한다. 본론에서는 아스티카(āstika) 계열에서의 스포타 개념의 발달사를 간략하게 살피고, 스포타 개념의 인도 사상사적 위치와 그에 대한 반론으로 디그나가의 아포하 이론의 의의를 가늠한다. 나아가 바르트리하리의 스포타와 말소리의 관계에 관한 설명과 비유를 Vākyapadīya의 주요 시절들을 통해서 살펴보고 스포타가 가지는 철학적 의미를 해석한다. 디그나가의 아포하(apoha) 이론에서는 말소리의 보편(śabde sāmānya)과 의미의 보편(arthe sāmānya)을 부정하는 논지를 Pramāṇasamuccayavṛtti V 초반부를 중심으로 살펴 그 철학적 의미를 해석한다.
    이상과 같은 바르트리하리 스포타와 디그나가 아포하의 의미론의 비교 분석을 통해서 본고는 인도 사상에 있어 ‘말의 의미’, 즉 ‘본체–말–대상’의 관계를 둘러싼 두 가지 해석의 차이점과 그 원인을 담론한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디그나가의 아포하 이론은 스포타 이론으로 대변되는 종래의 형이상학에 기반을 둔 실재론적 언어관을 현상학적 언어관으로 전회한 것으로 본다.

    영어초록

    The theory of sphoṭa (burst of sound) appears in Mahābhārata and Aṣṭādhyayī, but it was first systematized in Patañjali's Mahābhāṣya. In grammar, sphoṭa is a unit of meaning that is possessed by utterance. There are phoneme (varṇa) sphoṭa, word(pada) sphoṭa, and sentence (vākya) sphoṭa etc. Bhartṛhari just only acknowledged sentence sphoṭa which holds that the sentence is the final unit of meaning conveyed by the speaker. In other words, when a speaker speaks a particular sentence, it is due to the sphoṭa of that sentence. When a listener hears that sentence, the sphoṭa of that sentence arises in her or his mind. Therefore, sentence sphoṭa is a permanent and universal concept for the meaning of speech that is not limited by the speakers, listeners, time, or space.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peech, meaning, and object, and notes that in āstika, sphoṭa is interpreted as a concept of the power of Brahman. Furthermore, in Bhartṛhari's theory of semantics on sphoṭa, the paper examines his view that a word denoting a universal (jātiśabda) can be applied to individual reality in some verses of Vākyapadīya. On the other hand, Dignāga’s exclusion of other referents (anyāpoha) theory, which can be seen as a counterpart to the concept of sphoṭa, examines the argument that denies the universality of sound (arthasāmānya) and meaning (śabdasāmānya) in the early part of Pramāṇasamuccayavṛtti V.
    As this study analyzes and compares the semantics surrounding universals between Bhartṛhari's sphoṭa and Dignāga's apoha, it concludes by presenting the possibility that the two interpretations of the meaning of language could lead to conflicting understanding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stance and phenomenon in Indian thought. Therefore, the transformation from sphoṭa to apoha on the conception of unversal could be considered the linguistic turn of Indian philosoph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