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수혈식석곽묘 조사방법에 대한 검토 -‘함안 도항리 삼양인트로빌신축부지 내 유적’예를 중심으로- (Examining the Excavation Methods of Vertical Entrance Stone-lined Burials -With focus on the burials located within the Samyang Introville construction site in Haman Dohang-ri-)

5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0.12
54P 미리보기
수혈식석곽묘 조사방법에 대한 검토 -‘함안 도항리 삼양인트로빌신축부지 내 유적’예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문화유산협회
    · 수록지 정보 : 야외고고학 / 9호 / 51 ~ 104페이지
    · 저자명 : 박성훈, 김재영, 조영한

    초록

    수혈식석곽묘는 가야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그 구조와 무덤에서 출토되는 다양한 유물은 고고학적으로 가야사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어왔다. 수혈식석곽묘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경향을 살펴보면, 무덤구조와 출토유물의 형식분류 및 속성분석을 통한 편년과 정치체 연구에 집중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경향으로 인해 수혈식석곽묘의 발굴조사도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구조와 규모,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최근, 각지에서 봉토분 조사예가 증가하면서 봉토 조사방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논의는 봉토조사에서 점토낭의 사용, 구획석열, 분할성토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매장주체부인 석곽 조사방법에 대한 논의는 미진하여 석곽조사는 여전히 드러나는 현상의 관찰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석곽 조사방법의 문제점과 한계점을 살펴보고, 봉토조사와 같이 다양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발전적인 조사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한 유적을 대상으로 최근까지의 발굴조사 방법을 검토하고, 그 유적에 대한 실질적인 발굴조사를 통해 기존 조사방법의 문제점과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조사방법의 수정을 시도하였다. 조사방법의 수정은 석곽을 각 시설별로 구분하여 축조과정과 축조과정상 에서 예측되는 사항에 대해 사전조사를 통해 충분하게 검토하였다. 그리고 실제 조사에서 그 사항을 확인할 수 있는 조사방법을 시도하였다. 다음으로 실제 조사에서 수정된 조사방법을 통해 얻어진 성과에 대해 살펴보고, 수정된 조사방법의 효용성을 검토하였다. 수정된 조사방법을 통해 얻어진 성과는 대표적으로 벽석의 세부적인 축조공정을 들 수 있는데, 내벽면 관찰로 파악한 세부공정을 뒷채움층의 토층조사와 묘광벽면의 기울기변화로 검토한 결과, 벽석의 축조공정과 일치하는 선상에서 뒷채움층이 분층(分層)되고, 묘광의 벽면이 단(段)을 이루면서 경사각도가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축조공정상의 분리는 다른 조사 예를 통해서 피장자의 안치시점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각 시설에 대한 조사성과는 조사방법의 효용성을 적극적으로 보여주는 단서로, 조사성과에 따라 조사방법을 수정·보완하여 수혈식석곽묘 조사방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 으로, 수정된 조사방법을 통해 얻어진 성과를 바탕으로 석곽의 축조공정을 복원해 보고, 제시된 수혈식석곽묘의 조사방법의 효용성과 한계점을 검토하였다.

    영어초록

    The vertical entrance stone-lined burial is the representative burial type of Gaya. The architectural features of this burial type, as well as the various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structure, have provided important information for the archaeological study of Gaya. Studies on vertical entrance stone-lined burials until now have generally focused on chronology and political systems, through form classification and attribute analysis of architectural features and grave goods. Due to this tendency, the investigation of vertical entrance stone-lined burials carried out in the field has also tended to focus on the superficial observation of burial structure, size and grave goods. The recent increase in the excavation of mounded tombs has led to active discussions on methods for excavating the mound structure of these tombs. Such discussions were possible due to the existence of data such as dividing stone lines, sectioned earth layers and bags filled with clay. However, in the case of the stone wall of the burial chamber, investigation has still focused on observing superficial phenomena. This paper addresses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previous method of investigating the stone wall feature of vertical entrance stone-lined burials, and attempts to search for an investigation method which may provide a wider range of information, as has been achieved for burial mounds. Therefore, recently implemented investigation methods are reviewed and their problems are pointed out. In addition, through the actual excavation of burials, attempts are made to modify investigation methods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existing method. Regarding the modification of investigation methods, the stone wall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function. Preliminary investigation is carried out on the stone walls in order confirm the construction process, as well as expected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process. The newly established investigation method is then tested through actual excavation. Next,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modified investigation method are assessed and the utility of the modified method is reviewed.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modified investigation method include an understanding of the specific process of constructing the stone wall. Observation of the soil layers of the earth backfill and the slope angle of the burial pit wall led to an understanding of the specific construction process, and this made it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earth backfill was deposited in layers which corresponded to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stone wall, as well as that the burial pit wall also evidenced layers which had different slope angles.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these separate stages of the construction process were closely related to when the corpse was interred. The information obtained regarding the different components of the burial structure demonstrates the utility of an excavation method. The excavation method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excavation results, and the final modified excavation method for vertical entrance stone-lined burials was presented.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modified excavation method,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burial's stone wall was restored, and the method's utility and limitations were review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야외고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