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후 계획도시의 공간구조 개선을 고려한 아파트 리모델링 설계 - 인천 연수구 노후 택지지구를 대상으로 - (Apartment Remodeling Design for the Restructuring of Ageing Planned Cities -Targeting on Yeonsu District, Incheon-)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4.10
10P 미리보기
노후 계획도시의 공간구조 개선을 고려한 아파트 리모델링 설계 - 인천 연수구 노후 택지지구를 대상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9권 / 7호 / 325 ~ 334페이지
    · 저자명 : 김하민, 유영수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급격한 도시화와 그에 따른 주택난을 해결하고자 택지개발촉진법을 통해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까지 단기간에 걸쳐 대규모 신규 택지를 개발하고 단지형 아파트를 중심으로 대량의 주택이 공급되었다. 1기 신도시 및 수도권에 개발된 이들 신도시는 현재 집단적 노후화를 맞고 있으며, 이들 노후계획도시 정비의 필요성과 실행 방향에 대한 고민이 시작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인천시 노후 택지지구에서 기존 용적률 여건 상 리모델링이 유리한 단지를 대상으로 광역적 차원의 공간 구조 개선에 기여하기 위한 적극적 설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나아가 노후 계획도시 정비에서 리모델링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노후 계획도시의 공간 구조 개선을 위한 계획 목표를 관련 연구와 정책, 최근 신도시 계획 방향의 검토를 통해 정리하고, 실제 우수 공동주택 계획 사례로부터 계획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건축적 계획 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인천 내 노후계획도시 특별법이 적용되는 연수택지지구를 대상으로 공간 구조 개선을 위한 마스터 플랜을 계획하였으며, 용적률이 높고 도시공간구조 개선에 있어 중요한 위치에 있는 노후 단지를 선정하여 공간 구조 개선을 위한 마스터플랜에 따라 앞서 도출한 건축적 계획 요소를 적용한 리모델링 정비 계획을 제안하였다. (결과) 연수택지지구 공간 구조 개선을 위한 마스터플랜은 1) 도시중심성과 녹지축의 강화, 2) 생활가로 활성화, 3) 개방적 커뮤니티 시설의 확충이라는 목표 아래 대중교통 결절점과 학교 및 공원·녹지 등 기존 공공시설의 연계를 강화하고자 한다. 리모델링 대상 단지는 마스터플랜에 따라 역세권 도로와 공공보행통로에 면한 저층부에 근생 및 커뮤니티 시설을 배치하여 근린가로 활성화에 기여한다. 또한, 단지 전체를 덮는 데크를 계획하여 지상 주차장 문제를 해결하고 자동차 통행과 보행자 동선을 입체적으로 분리한다. 데크 상부는 양지의 녹지와 오픈스페이스를 제공하며, 비주거 시설과 주거 공간을 분리하여 거주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한다. (결론) 주택 정비 시기가 일시에 도래하는 노후 계획도시에서 개별 단지의 주거 환경 개선을 넘어 지구 범위의 도시 환경 개선을 도모해야 한다는 전제에서 본 연구는 전면 철거 제개발이 아닌 리모델링 정비 사업에서도 공공 기여를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리모델링 정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건폐율 등 리모델링 방식의 특수성을 고려한 규제 완화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To cope with rapid urbanization and the resulting housing shortage, the Land Development Promotion Act led to the development of large new urban areas and the provision of large amounts of housing, mainly apartments, in a short period from the late 1980s to 1990. These New Towns, such as the first New Towns develop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re now facing collective aging, and the question of how to manage and redevelop these aging-planned cities is beginning to be addressed. This study proposes an active design plan for existing apartment complexes with high floor area ratios in the dilapidated residential area of Incheon to help improve the spatial structure at the district level. (Method) The planning objectives for improving the spatial structure of old planned cities were summarized through a review of relevant research, policies, and urban planning of the third New Towns. Architectural planning elements to achieve the planning objectives were derived from actual examples of excellent multifamily housing plans. For the Yeonsu residential area in Incheon, subject to the Special Act on Aging Planned Cities, a master plan for improving the spatial structure was planned. Subsequently, an aged complex with a high floor area ratio and an important location for improving the urban spatial structure was selected, and a remodeling plan was proposed based on the master plan by applying the planning elements derived earlier. (Results) The master plan for improving the spatial structure of Yeonsu District seeks to strengthen the linkages between public transport nodes and existing public facilities, such as schools, parks, and green spaces. The goals are to strengthen the urban core and green axis, revitalize residential streets, and expand open community facilities. In line with the master plan, the remodeling plan will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neighborhood by locating commercial and community facilities on the ground floor facing the station and public pedestrian walkways. Additionally, a deck covering the entire complex was planned to address the lack of underground parking lots and to create a three-dimensional separation between vehicular and pedestrian traffic. The deck provides ample greenery and open space while separating housing units from nonresidential facilities to protect residents' privacy. (Conclusions) Based on the premise that in planned aging citi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urban environment of the whole district beyond the individual apartment complex, this study proposes a way to make public contributions from remodeling projects. Particularly, this study found that policy support is needed to relax regulations that consider the specificity of remodeling projects, such as the building coverage rati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