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폭력에서 시빌리테(civilité)의 정치로-맑스(Karl Marx)와 발리바르(Étienne Balibar)의 ‘폭력론’을 중심으로- (From Violence to the Politics of Civilité-With Emphasis on the ‘Theory of Violence’ of K. Marx and É. Balibar-)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8.06
31P 미리보기
폭력에서 시빌리테(civilité)의 정치로-맑스(Karl Marx)와 발리바르(Étienne Balibar)의 ‘폭력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37권 / 2호 / 113 ~ 143페이지
    · 저자명 : 김현

    초록

    독일어 게발트(Gewalt)는 우리말 권력 또는 폭력으로도 번역되는 양가적 의미를 갖는다. 전자가 합법적으로 승인된 폭력으로서 공권력을 의미한다면, 후자는 이에 맞서거나 저항하는 비합법적 대항폭력을 통칭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폭력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은 게발트에 내재한 양가적 속성을 준거점으로 국가권력을 제도화된 폭력으로 고발하는 도발적 문제제기를 자극하는 한편, 대항폭력에 대한 이론적ㆍ실천적 옹호의 출발점을 마련하기도 하였다. 대항폭력은 국가권력이 합법성과 정당성을 가장한 폭력에 불과한 것이기에, 이에 맞서는 것 또한 정당성을 담보할 수 있다는 인식은 모든 폭력을 금지하거나 예방하는 차원에서 더 큰 폭력을 불러 올 수 있는 악순환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한다. 폭력에 대한 윤리적 가치판단에 입각해 어떠한 종류의 폭력도 불허해야 한다는 비폭력에의 호소는 대항폭력에 내재한 이 순환적 곤경으로부터 도출되는 자연적 귀결인 듯 보인다. ‘폭력이냐, 권력이냐’, ‘대항폭력이냐, 비폭력이냐’라는 양자택일적 물음은 게발트에 내재한 이 양가성의 주위를 겉돌 뿐, 폭력에 대한 어떤 명쾌한 답변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 글은 게발트의 양가적 속성을 출발점으로 삼아, 대항폭력과 비폭력이라는 이원적 대립 구도 속에서 논의되어 왔던 폭력 담론을 재조명해보려는 목적을 갖는다. 프랑스 철학자 에띠엔 발리바르(É. Balibar)는 ‘모든 폭력에 반대한다’는 ‘반(反)폭력’이라는 새로운 기호를 종래의 폭력담론에 기입함으로써 폭력의 논의 지형을 새롭게 구성하고자 한다. 폭력에 대한 도덕적 가치판단의 관점에서 이론적ㆍ실천적으로 비폭력을 주장하는 것은 폭력적 현실을 맹목적으로 인준하는 부정적 결과만을 낳을 뿐이다. 또한 국가권력을 폭력으로 환원하고, 이에 맞서는 대항폭력을 정당화하려는 모든 논변은 국가권력 또는 정치에 대한 편향된 이해에 근거하는 것으로 마땅히 기각되어야 한다. 대항폭력도 비폭력도 아닌 제3의 길로서 ‘반폭력의 정치’를 주장하는 발리바르가 보기에 오늘날 전지구적 규모로 분출되고 있는 극단적 폭력에 대한 가능한 처방이란 국가의 문명화 또는 혁명의 문명화를 통해 정치를 재발명하는 것뿐이다. 발리바르는 이를 시빌리테의 정치라고 명명한다.
    이 글은 다음과 같은 논의를 담고 있다. 이 글은 우선 맑스적 관점에서 폭력이 역사적ㆍ구조적 맥락에서 이해된다는 것을 밝히고, 이로부터 파생되는 다양한 난제들을 제시한다. 이 글의 3장은 이와 같은 맑스의 사유 안에 내재한 몇 가지 난제들에 입각하여 맑스-엥겔스 폭력론에 대한 발리바르의 비판을 소개한다. 발리바르에 의하면, 오늘날의 현실정치에 대한 맑스주의의 무능은, 정치 또는 국가의 문제를 폭력으로 환원한 협소한 시각틀에서 기인한다. 발리바르가 보기에 정치가 폭력을 포함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폭력과 등치되는 것은 아니다. 맑스주의 이론은 정치와 폭력의 이 비극적이고 변증법적인 연관관계를 사유하는데 무능했다. 이 글의 4장은 폭력에 대한 맑스적 관점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한 이론적ㆍ실천적 기획으로서 발리바르의 시빌리테의 정치를 소개한다. 발리바르는 평등-자유 명제를 통해 인권선언에 대한 비판적 독해를 구축하고, 이로부터 ‘폭력의 문명화’ 혹은 ‘혁명의 문명화’를 오늘날 현실정치가 직면한 한계를 돌파할 출발점으로 삼는다. 그에 의하면 폭력은 정치도, 정치적 행위도 아니다. 폭력은 정치를 불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현실의 정치가 폭력을 잉태하고 있다면, 우리는 정치에 내재한 폭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것이 새로운 정치를 발명해야 한다는 발리바르 반폭력론의 요체다. 끝으로 이 글은 오늘날 전지구적으로 분출되고 있는 극단적인 폭력의 현실 속에서 발리바르의 반폭력론이 어떤 실천적 함의를 가지고 있는지 진단한다.

    영어초록

    Gewalt in German has dual meaning that is translated to either authority or violence in Korean. The former refers to the public authority which is legally approved violence, while the latter refers to the illegal counter-violence to protest or resist. Previous discussions about violence have stimulated the provocative identification of issues to accuse national authority of systemized violence based on the dualistic property of Gewalt and established the foundation to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support counter-violence. As counter-violence argues that national authority is nothing but violence disguised as a legal and justified action and fighting against it guarantees justification, it cannot escape the vicious cycle of violence and greater violence without prohibiting or preventing any type of violence. Appealing to non-violence that any type of violence must be prohibited based on the ethical judgment of violence seems to be a natural conclusion derived from this circulatory predicament intrinsic in counter-violence. The dualistic question of ‘violence or authority’ or ‘counter-violence or non-violence’ circles around the dualism intrinsic in Gewant and fails to suggest any clear solution for viol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light the violence discourses discussed in the dualistic structure of counter-violence and non-violence based on the dualistic property of Gewalt. French thinker É. Balibar added a new symbol of ‘anti-violence’ to ‘oppose all types of violence’ to the existing violence discourses to reconfigure the discussion of violence.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arguing non-violence in terms of ethical judgment of violence will only blindly ratify the violent reality with negative results. Also, all discussions to reduce national authority to violence and justify counter-violence shall be declined as they are based on biased understanding of national authority or politics. To Balibar who argues ‘the politics of anti-violence’ as the third way that is neither counter-violence nor non-violence, the possible prescription for extreme violence that is bursting globally today would be to rediscover politics through civilization of nation or revolution. Balibar calls this the politics of civilité.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discussions: first, it reveals that violence is defined historically and structurally based on the Marxian perspective and suggests various hard-to-solve problems derived from that. Chapter 3 introduces Balibar’s criticism of Marx-Engels’ theory of violence based on a few hard-to-solve problems intrinsic in Marx’s thoughts. According to Balibar, Marxian incompetence in today’s realistic politics is caused by the narrow perspective of political or national issues reduced to violence. Politics is partially violent to Balibar, but it is not equivalent to violence. The Marxian theory was incompetent in discussing this tragic and dialectic correlation between politics and violence. Chapter 4 introduces Balibar’s politics of civilité as theoretical and practical plan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Marxian perspective toward violence. Balibar established critical comprehension of the human rights declaration through the statement of equality-freedom to mark ‘civilization of violence’ or ‘civilization of revolution’ as the start point to overcome the limitation faced by the politics today. According to him, violence is neither politics nor political acts. Violence disables politics. If politics today is generating violence, we must establish the practical measures to minimize violence intrinsic in politics. The gift of Balibar’s anti-violence is that it must invent new politics. Finally, this study diagnoses the implication of Balibar’s anti-violence in today’s extreme violence around the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순천향 인문과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