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상하이의 기억: 식민지 조선인과 제국 일본인의 감각-김광주와 요코미쓰 리이치를 중심으로 (A Study on Memory for Shanghai : Sensation of Colonial Joseon and Imperial Japanese -Focused on Kim Kwangju and Yokomitsu Reich)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8.04
34P 미리보기
상하이의 기억: 식민지 조선인과 제국 일본인의 감각-김광주와 요코미쓰 리이치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예창작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예창작 / 17권 / 1호 / 77 ~ 110페이지
    · 저자명 : 정은경

    초록

    본 연구는 일제하 국제 식민도시로서의 상하이 지역의 특수성을 고찰하고, 1920~30년대 한・일 작가들의 상하이 체험에 대해 살펴보았다. 더불어김광주, 요코미쓰 리이치의 ‘상하이’ 관련 소설을 통해 상하이 인식의 특성과 차별성을 살펴보았다.
    난징조약 후 개항과 더불어 상하이는 국제도시로서 급부상하였지만 그것은 식민화된 국제도시의 성격을 지닌 것이었다. 영국・미국・프랑스의 조계지 등이 들어선 상하이는 급속히 동양 제일의 식민자본주의 대도시로 부각되었으며 서구의 향락적・소비적 문화와 문물이 침투해 들어왔다. 20세기 초반의 상하이는 중국의 경제・무역・금융・문화의 중심이었고, 세계 각국의탐험가・실업가・정치가・문화인・실직자들이 몰려들었던 코스모폴리탄이었다. 또한 마르크시즘과 아나키즘이 사상적 본류를 형성했던 혁명사상의본거지이기도 했다.
    신채호・안창호・이광수・주요한 등 국권 상실기의 조선의 문학인들과 정치인들은 상하이를 국권 회복과 근대문물 수용의 장으로 인식하였다. 한편, 이러한 국제도시로서의 상하이는 도쿄와 대비되면서 20세기 초 일본 작가들에게 동경의 대상이 되었던 곳이다. 나가이 가후를 비롯하여, 다니자키 준이치로,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등은 상하이를 방문하고 그 체험을 기록하기도하였다. 이들 일본 문인들의 상하이 인식은 다양한 동아시아 인식을 보여주지만, 근본적으로는 조선 문인들의 상하이 인식과 다른 맥락에 놓여 있다.
    1920년대 후반~30년대 중반의 상하이를 경험한 김광주와 요코미쓰 리이치는 한국과 일본에서 ‘모더니즘’ 계열에 속하는 작가로 모던 상하이의 감각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작가들이다. 이들 두 작가가 그리고 있는 ‘상하이’는 국제도시의 화려함, 퇴폐・분주함・자본주의・탐욕・아편・매춘 등을담고 있지만, 두 작가의 감각은 ‘환멸과 허무’로 모아진다는 데 공통점이 있다. 김광주는 만주・상하이로 건너온 조선의 애국지사들이 그들의 포부와달리 타락한 생활을 하는 실상을 파헤치고 이를 통해 이념의 허무에 도달한작가다. 요코미쓰 리이치 또한 5・30사건을 중심으로 일본 제국주의자의 실상을 체험하고 ‘아시아주의’와 일본 군국주의에 회의와 허무・환멸을 보여주고 있는 작가다. 이들의 소설은 제국과 식민이라는 커다란 간극을 지니고있으나 상이한 체험과 절망을 통해 ‘허무’라는 공통된 지점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essay studied on the peculiarities of the Shanghai as an international colonial city and examined the Shanghai experience of Korean and Japanese writers in the 1920s and 30s. In addition, I tried to research Kim Kwangju and Yokomitsu Reich’s “Shanghai” and characteristics and distinctiveness which represented in their novels.
    With the opening of the port, Shanghai quickly emerged as an international city, but it was a colonial international city. With the leased territory of British, the United States, and France, Shanghai quickly became the largest colonial capitalist metropolis in the East, penetrating into the western consumer culture. In the early 20th century, Shanghai was a China’s economic, trade, financial, and cultural center. And Marxism and anarchism were risen also in Shanghai.
    Joseon politicians and literary scholars including Shin Chaeho, Ahn Changho, Lee Kwangsoo regarded Shanghai as a place of restoration of national rights and acceptance of modern artifacts. On the other hand, Shanghai as an international city has become a subject of longing for Japanese writers in the early 20th century. Nagai Kafu, Tanizaki, Akudakawa and Ryosuke also visited Shanghai and recorded their experiences.
    Kim Kwangju and Yokomitsu Reich who experienced Shanghai in the mid-20s and mid-30s are writers belonging to the Modernism, and they represented modern Shanghai’s senses in their works. Shanghai, which they expressed, contains the splendor of international cities, decadence, capitalism, greed, opium, and prostitution, but the two writers’ senses are common in nihilism and disillusionment.
    Kim Kwangju despaired the fact that the patriotic governors of Joseon are living a fallen life unlike their aspirations. Yokomitsu Reich also experienced the realities of the Japanese imperialist through the 5・30 affairs and despair of ‘Asianism’ and Japanese militarism. Their novels have a different gap between empire and colonialism, but they reach a common point of ‘nihilism’ through different experiences and despai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