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제 사비기 물자의 유통과 관리 체계 - 부여 부소산성과 쌍북리 일원 발굴 자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ogistics and Management System of Baekje’s Sabi Period: Based on the excavation data of Busosanseong and Ssangbuk-ri in Buyeo)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4.12
26P 미리보기
백제 사비기 물자의 유통과 관리 체계 - 부여 부소산성과 쌍북리 일원 발굴 자료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목간학회
    · 수록지 정보 : 木簡과 文字 / 33호 / 137 ~ 162페이지
    · 저자명 : 이병호

    초록

    이 글은 부소산성과 쌍북리 일대 발굴에서 드러난 유물과 유구를 분석하여 백제 사비기 물자의 유통과관리 체계를 밝히기 위해 작성되었다. 2장에서는 부소산성 북문지와 쌍북리 일대에서 발굴된 유물과 유구를 재검토하였다. 사비기 왕성으로 추정되는 부소산성은 북문이 정문으로 인식될 만큼 북문지 일대가 중시되었다. 부소산성 추정 북문지 주변 조사에서는 많은 기와와 토기, 중국제 도자기와 벼루, 자물쇠, 저장수혈등이 발견되어 이곳에서 다양한 물자의 유통과 관리가 이루어졌음을 유추할 수 있다. 2023년 북나성 북문지가 발견됨으로써 사비도성의 북쪽에는 부소산성 북문과 더불어 금강과 연결되는 또 다른 출입구가 더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북나성 북문지 안쪽의 쌍북리 일대는 다수의 저장수혈과 대형 항아리, 가야토기와 신라 토기, 중국 동전, 일본 스에키, 자물쇠, 구구단·논어·꼬리표 목간 등이 출토되어 금강 수로를 통해 도성내부로 물자가 유입되어 저장, 관리되는 물류의 거점이었음을 알려주고 있다.
    3장에서는 사비기 물자의 수취와 창고 운영을 담당한 내경부·외경부의 직무를 신라와 일본의 사례를 참고하여 좀 더 추정해 보았다. 외경부 목간이 발견된 쌍북리 일원에서는 목간과 함께 청동기와 유리, 칠기제작과 관련된 공방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외경부에서 물자의 수취와 관리뿐 아니라 수공업 생산을 수행한증거로 해석된다. 내경부와 외경부는 그 소재지의 차이뿐 아니라 왕실재정과 국가재정을 분담한 것으로 생각된다. 신라의 경우 622년 內省이 설치되면서 왕실재정과 국가재정이 구분되며, 조세의 수취와 창고 관리업무는 調部와 倉部에서 담당하였다. 내경부와 신라의 내성, 외경부와 신라 조부·창부의 대응 관계가 상정된다. 일본의 경우 大藏省과 內藏寮에서 공납품의 수취와 관리를 담당했는데 천황과의 관계에서 전자는 외경부, 후자는 내경부와 유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대장성·내장료에서는 수공업 생산 활동이 이루어졌는데 이는 백제 외경부 주변에서 공방의 흔적이 확인되는 현상과 유사하다. 쌍북리 일대는 왕궁과 가깝고 수륙 교통의 요지였기 때문에 외경부 같은 중앙행정 관서가 입지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paper was written to reveal the logistics and management system from the Baekje Sabi period by analyzing the data revealed in the excavation of the remains of Busosanseong(扶蘇山城) and Ssangbuk ri(雙北里) in Buyeo.
    In Chapter Ⅱ, the relics and relics unearthed in the northern gate of Busosanseong and the area of Ssangbuk-ri were analyzed. The northern area of Buso Mountain, which is believed to be the fortress of the Sabi Capital, was so important that the northern gate of Busosanseong was recognized as the main gate. In the survey around the northern gate of Busosnaseong, many tiles and earthenware, chinese made ceramics and ink slabs, locks, and storage blood were found, indicating that the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various goods were carried out. With the discovery of the northern gate of Buknaseong in 2023,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one more entrance to the north of Sabi Capital along with the northern gate of Busosanseong. In the northern area of Ssangbuk-ri inside the northern gate of Buknaseong(北羅城), a number of storage water vessels, large jars, Gaya and Silla earthenware, Chinese coins, locks and wooden tablets were excavated, indicating that it was a place where goods were intro duced into the capital city through the Geumgang waterway and stored and managed.
    In Chapter Ⅲ, the duties of Oegyeongbu(外椋部) and Negyeongbu(內椋部) department in charge of re ceiving goods from the Sabi period and operating warehouses were further analyzed by referring to the cases of Silla and Japan. In the area of Ssangbuk-ri, where the wooden tablets of the Oegyeongbu was discovered, traces of workshops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bronze, glass, and lacquerware were found along with the wooden tablets. It is interpreted as evidence of the production of handicrafts as well as the receipt and management of goods in Oegyeongbu. The difference between Negyeongbu and Oegyeong bu is thought to have shared not only the difference in the location, but also the royal and national fi nances. In the case of Silla, with the establishment of Nesung(內省) in 622, royal and state finances are divided, and it seems that Jobu(調府) and Changbu(倉部) were in charge of receiving taxes and managing warehouses.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Negyungbu and Nesung of Silla, and Oegyeongbu and Jobu·Changbu of Silla is assumed. In the case of Japan, Dejangsung(大藏省, Okurasho) and Nejangryeo(內藏寮, Kuraryo) were in charge of receiving and managing public goods, and it is estimated that the former was similar to Oegyeongbu and the latter was similar to Negyeongbu in relation to the emperor. Handmade production activities were carried out in Dejangsung and Nejangryeo, which is simi lar to that of Baekje Oegyeongbu. Since the area of Ssangbuk-ri is close to the royal palace and was the main points of waterways and overland transportation hub, it seems that the central administrative of f ice such as Oegyeongbu was loc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木簡과 文字”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