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양면석기의 기술-기능적 분류를 위한 시론: 전곡리 85-12번지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Techno-functional approach to bifaces: Focusing on the artifacts excavated from site 85-12, Jeongok-ri)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4.12
42P 미리보기
양면석기의 기술-기능적 분류를 위한 시론: 전곡리 85-12번지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석기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구석기학보 / 1권 / 50호 / 5 ~ 46페이지
    · 저자명 : 박성진, 김우락

    초록

    2021년부터 2022년까지 발굴 조사된 전곡리 85-12번지에서 양면석기가 상당히 출토되었다. 양면석기에 관한 기존의 연구방법론은 유물의 형태적 특징, 즉 대칭성, 정형성, 정교함을 수치화하여 측정함으로써, 석기문화를 평가하는 것이었다. 그렇지만 이러한 형태 중심의 연구들은 양면석기의 형태를 규정하는 돌감의 특성, 망치의 성질, 석기의 작동 방식처럼 유물의 형태에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방법론적으로 한계가 있다. 나아가 형태 중심의 접근법은 ‘무계획성,’ ‘목적 지향적인 태도의 결여,’ ‘임시방편적 석기 제작 기술’과 같은 평가에서도 알 수 있듯이, 과거 고인류 집단이 남긴 석기문화를 타자화하여 상당히 부정적으로 인식한다는 점에서도 문제가 있다. 따라서 형태 중심의 석기 연구방법론은 근본적으로 동서양의 석기문화를 차별적으로 인식하는 모비우스의 ‘동아시아 석기문화 정체론’의 토대를 강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자기 모순적이고 심지어 퇴행적이기까지 하다. 90년대 초부터 유럽에서는 기존의 형식분류학적 접근법을 넘어, 양면석기의구조를 분석하여 양면석기들의 작동 방식을 탐구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들에서는 무엇보다 양면석기가 하나의 ‘작동하는 도구’라는점을 강조한다. 어떤 대상을 자르고 뚫고 긁으려면, 날과 그러한 날이 작동하 도록 힘을 주는 손으로 석기를 잡는 부위가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기술-기 능적 연구방법론은 비본질적이고 부차적인 형태적 속성보다는 석기의 본질적인 부분인 날, 각도, 손에 쥐는 부위의 상태 등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춘 다. 기술-기능적 관점에서 전곡리 양면석기들을 분석한 결과, 전곡리 양면석기들은 서유럽과 달리 양옆에 매우 가파른 날을 갖고 있어서, 석기 끝의 뾰족 한 날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날로 쓸 수 없는 구조였다. 또한 전곡리 양면 석기는 대개 자연면이 많이 남아 있다는 점이 특징적인데, 기존의 형태 중심의 형식분류학적 연구에서는 이처럼 자연면이 많은 석기들을 ‘원시적’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기술-기능적 관점에서 볼 때 석기의 자연면은 석기를 손에 쥐기 편하게 하기 위한 기술적 장치일 뿐이다. 이상과 같은 결과들을 종합할 때, 전곡리 양면석기 제작 기술 체계를 무계획적이고 임시방편적이라는 기존의 평가는 재고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A significant number of bifaces were found from Jeongok-ri Site 85-12, which was excavated from 2021 to 2022. Existing research methodology on bifaced stone tools tends to evaluate stone tool culture by quantifying and measuring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artifacts, such as symmetry, regularity, and sophistication. However, these form-centered studies have methodological limitations in that they do not consider various factors that affect the shape of the artifacts,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one that determines the shape of the bifaced stone tool, the properties of the hammer, and the way the stone tool is operated, as well as the spatiotemporal context of the artifacts. Furthermore, the form-centered approach is problematic in that it stereotypes the stone tool culture left behind by ancient human groups in the past and perceives it quite negatively, as can be seen in evaluations such as ‘unplannedness,’ ‘lack of goal- oriented attitude,’ and ‘makeshift stone tool production technology.’ Therefore, this research methodology focused on analyzing the blade, angle, and condition of the hand-held part, which are essential parts of the stone tool, rather than the existing analysis of non-essential and secondary morphological properti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Jeonkok-ri biface stone tools from a technological-functional perspective, unlike those of Western Europe, the Jeonkok-ri biface stone tools had very steep blades on both sides, and had a structure in which there was no part that could be used as a blade except for the sharp blade at the end of the stone tool. In addition, the Jeonkok-ri bifaces are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most of their natural surfaces remain. In the existing morphological taxonomic studies centered on their shape, stone tools with many natural surfaces were evaluated as ‘primitive.’ However, from a technological-functional perspective, the natural surfaces of the stone tools are merely technical devices to make it easier to hol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results, the existing evaluation that the Jeonkok-ri biface stone tool manufacturing technology system was unplanned and makeshift should be reconside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5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