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금강중류 후기구석기시대 유적 양상과 문화 성격: 노산리 2지점 석기군을 중심으로 (Site Formation and Cultural Characteristic of Paleolithic Site in the Middle Guem River Basin : Focus on the Nosan-ri Loc.2)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1.06
36P 미리보기
금강중류 후기구석기시대 유적 양상과 문화 성격: 노산리 2지점 석기군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석기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구석기학보 / 1권 / 43호 / 71 ~ 106페이지
    · 저자명 : 오오타니 카오루

    초록

    노산리 2지점은 금강 중류지역의 구석기유적 중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노산리 유적군의 하나이다. 2개의 조사지구(A, B-1)로 나누어 조사되었으며, 각 지구에서 석영과 혼펠스를 이용하여 만든 구석기 유물이 토양쐐기가 발달한 암갈색 찰흙층에서 출토되었다.
    제4기 지질 연구와 연대측정을 통해 문화층을 포함한 유적 내 층위 형성과 연대에 대한 다양한 결과를 얻었다. 토층 분석과 연대측정 결과를 종합해 보면 금강 중류 노산리 2지점 일대는 하안단구가 해발 30m 부근 약 60 ka BP 이전에 형성되었고, 이후 고토양층이 MIS2〜3의 최정빙기 동안 약 16 ka yr BP 까지 형성이 계속되었다고 해석된다. 문화층에서 채취된 토양·숯시료를 대상으로 AMS 및 OSL 연대 측정한 결과, 약 35〜17 ka yr BP의 연대값을 얻은 것으로 보아 구석기문화층의 형성 시기는 최종빙기 최성기(26〜19 ka cal yr BP) 전후였음을 알 수 있다.
    출토유물은 발굴조사에서 1,168점, 지표 107점, 시굴조사 28점이며, 총 1,303점의 후기구석기시대에 속하는 석기가 확인되었다. 대부분의 유물은 몸돌·격지·돌날·조각 등 석기제작 관련유물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슴베찌르개와 돌날, 좀돌날 제작 관련 자료가 집중적으로 출토되었다. 석영·규암을 이용한 석기에서는 작은 긁개·홈날 등이 많으며, 응회암·혼펠스에서는 돌날을 몸체로 이용한 슴베찌르개·밀개 등의 연모가 많이 출토되어 돌감에 따라 석기의 용도가 구분되어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본 유적에서는 슴베찌르개와 좀돌날, 마제석부가 같은 지층에서 함께 출토되어 한반도 후기구석기시대 유적 가운데에서 드문 양상을 보이고 있다. 각 석기의 속성분석과 세부관찰을 실시한 후, 좀돌날몸돌과 슴베찌르개에 대해서는 형태분류를 시도하였다. 좀돌날몸돌은 때림면과 몸체 상태를 기준으로 나눌 수 있으며, 좀돌날 떼기 수법이 때림면 상태와 관련이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슴베찌르개는 손질부위와 몸체 축을 기준으로 분류한 결과, 몸체모양에 따라 제작방법에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마제석부는 동북아시아 후기구석기〜신석기의 전환기에 등장하는 특징적인 석기로 알려져 있다. 노산리 2지점에서는 국부마제석부의 제작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자료가 확인되어 작업공정을 복원할 수 있었다. 이러한 국부마제석부를 포함해 슴베찌르개와 좀돌날 등 후기구석기시대를 대표하는 석기들은 한반도뿐만 아니라 인근 아시아지역과의 연관성을 찾아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실마리가 될 것이다.

    영어초록

    Nosan-ri Paleolithic site Loc.2 is located nearby the Geum River, at Nosan-ri, Cheongju City(old Cheongwon County), Chunbuk Province, where many Paleolithic sites have been found. Since the first discovery in 2006, the Institute of Korean Prehistory carried out excavation on the site. The site was divided into two areas (A, B-1) and Paleolithic stone tools made of quartz and hornfels were excavated from the dark brown clay layer with developed soil wedges in each area.
    Through soil analysis and dating, fluvial terrace deposits in middle part of Keum River including Nosanri Loc.2 are distributed below ca 30 m asl and interpreted to be formed after 60ka. Formation ages of paleosols of in this site are converged into the MIS 2〜MIS3 during the Last Glacial in Upper Paleolithic. Through dating for cultural layer by AMS and OSL on samples of paleosol and charcoal, several dating results were gathered about 35-17 ka yr BP. It indicating that the formation period of the Paleolithic cultural layer was around LGM.
    At the Locality 2, most of artifacts up to 1,168 pieces were excavated in the Upper Paleolithic cultural layers, while there were also found 28 pieces from test pits, and 107 pieces from the surface.
    Most of the assemblage is composed of flakes, debris, cores and blades, which are related to tool-production. As tools, there were found side-scrapers, end-scrapers, tanged-points and microblades. For raw material, it is observed that hornfels was mainly used, while tuff and shale were also utilized to produce blade tools and microblades. In addition to that, some quartz and quartzite were used for making pebble tools like choppers and chopping tools, and occasionally found used for small flake tools like scrapers and notched tools.
    Through stone tool observation and analysis by technological and typological attributions, microblade-cores and tanged-points are classified into several categories. While tanged-points are classified by retouched part on proximal end and one side of edge of blade, microblade-cores can be classified with form of bottom and platform. In other words, it was found critical that manufacturing of microblade was based on preparing platform, whereas tanged-point production was highly dependable on original form of blade. Those comparison provide us very valuable data to compare with blade and microblade assemblages in the Korean peninsula, fundamentally.
    Moreover, there were also excavated an edge-ground stone axe from the test pit of B-1 area. This material is thought important for keen interest to estimate aspects of cultural transition from the Late Upper Paleolithic to the Initial Neolithic transition in Northeast Asia.
    In that perspective, not only will archaeological analysis at the Locality 2 of Nosan-ri Site be fundamental data about tool-manufacturing with application of blade and microblade technique, but also present us with important source for understanding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aspects of site structure changing around the Geum Riv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