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송산리 29호분의 시기와 계통에 대한 검토: 최신 조사·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A Study on the Temporal Position and Genealogy of Songsan-ri Tomb No. 29: With a Focus on the Latest Excavation and Research Result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1.09
22P 미리보기
송산리 29호분의 시기와 계통에 대한 검토: 최신 조사·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고학보 / 2021권 / 3호 / 353 ~ 374페이지
    · 저자명 : 김환희, 이나은

    초록

    송산리 29호분은 구조적으로 전통적인 석실에 새로운 전실의 요소가 가미된 구조로, 당시 사회·문화상이 장례문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여준다.
    송산리고분군의 가계는 북동쪽 구릉에 위치한 1~4호분을 문주왕-삼근왕계로, 남서쪽 구릉에 위치한 무령왕릉, 5·6·29호분을 무령왕계로 정리하였다. 고분의 축조 순서는 입지적 특징과 구조, 출토유물(관정) 등을 검토한 결과, 2~4호분 → 1호분 →무령왕릉→6호분→5호분→29호분으로 추정하였다.
    다음으로 일제강점기에 조사 보고되었던 내용과 최근 실시된 29호분의 재발굴조사 성과를 종합하여, 29 호분의 시기와 계통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였다. 시기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는 29호분에서 출토된 화형두정, 반구형원두정, 평방두정이었다. 화형두정과 평방두정의 경우 웅진기에도 계속 사용되지만, 반구형원두정의 경우 사비천도를 전후한 시기인 6세기 중엽에 등장한 것으로 편년되어서, 유물 간의 시기 차이가 확인된다. 즉 29호분에서 출토된 반구형원두정도 6세기 중엽으로 편년할 수 있으며, 반구형원두정과 평방두정이조합된 목관B는 6세기 중엽, 즉 사비기 초에 추가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29호분의 피장자가 누구인지(계통)를 추정하였다. 29호분의 피장자는 무령왕계의 혈족으로, 가계의 마지막 단계에 매장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앞서 검토한 여러 내용들을 종합하여 당시 29호분의매장 상황을 그려보면, 웅진기 말에 사망한 왕족 여성이 목관A에 입관되어 서쪽 관대에 안치된 이후, 6세기 중엽, 즉 사비기 초에 사망한 왕족 남성이 목관B에 입관된 후 동쪽 관대에 안치된 것으로 추정된다.

    영어초록

    S ongsan-ri Tomb No. 29 represents a merging of the use of brick with the traditional stone chamber tomb architecture, illustrating that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had direct impact on the burial culture of the time. The tombs of Songsan-ri have been established as follows: Tombs No. 1 to No. 4 located along the northeast hill belong to the line of King Munju to King Samgeun; the Tomb of King Muryeong and Tombs No. 5, No. 6, No.
    29, located along the southwest hill belong to the line of King Muryeong. An examination of their construction order, based on location, structural features, and artifacts (in particular, coffin nails), can be suggested as follows: Tombs No. 2 to No. 4 were first built, followed by Tomb No. 1, the Tomb of King Muryeong, and Tombs No. 6, No. 5 and No. 29, in that order.
    This study then reviewed the temporal position and genealogy of Tomb No. 29 by putting together the survey reports dating to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and the recent re-excavation survey of the tomb. Important clues for figuring out the time period of construction were found in the coffin nails with flower-shaped head, semi-globular head, and square head excavated in Tomb No. 29. It is presumed that the coffin nails with flower- shaped and square heads were used during the Ungjin period, whereas coffin nails with semi-globular heads were seemingly produced in the middle of the sixth century, around the time of the relocation of the capital to Sabi. This suggests that wooden coffin B from Tomb No. 29, featuring a combination of coffin nails with semi-globular and square heads, was added to the tomb in the middle sixth century, in the early part of the Sabi period.
    Finally, this study explored the identity (geneaolgy) of the deceased buried in Tomb No.
    29. It was suggested that one of King Muryeong’s kin was buried in the tomb at the last stage. In considering together various lines of evidence previously discussed, it was established that after a royal female had passed away at the end of Ungjin period, was put into wooden coffin A, and placed upon the western coffin bed, a royal male had passed away in the middle of the sixth century, the early Sabi period, was put into woodden coffin B, and placed upon the eastern coffin b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