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우의 ‘리무위(理無爲)⋅기유위(氣有爲)’와 ‘주재(主宰)’를 통한 사단칠정설 분석 (Analyzing the Theory of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through Jeon Woo(田愚)’s ‘Principle does not function; Material force does all the actions’ and ‘Presiding over Principle; Material force’)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5.02
25P 미리보기
전우의 ‘리무위(理無爲)⋅기유위(氣有爲)’와 ‘주재(主宰)’를 통한 사단칠정설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철학논집 / 84호 / 135 ~ 159페이지
    · 저자명 : 손미애

    초록

    이 글의 목적은 간재(艮齋) 전우(田愚, 1841∼1922)의 사단칠정설을 율곡⋅기호학파의 공통 명제를 통해 분석하는 데 있다. 특히 전우가 ‘리무위(理無爲)⋅기유위(氣有爲)’를 중심으로 논의한 ‘리의 주재⋅심의 주재’를 토대로 그의 사단칠정설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는 전우 철학이 존재의 문제에서 가치의 문제에 이르기까지 정합적 명제를 사용하고 있음을 논의하기 위함이다.
    전우는 율곡학파에 속하는 낙론의 계승자이지만, 그는 낙론의 큰 선배 김창협의 퇴율(退栗) 절충적 사단칠정설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전우가 김창협을 비판하고 이이의 사단칠정설을 재건한 이유는 ‘리무위⋅기유위’와 ‘주재’의 틀로 철학적 정합성을 마련했기 때문이다. 전우는 율곡⋅기호학파의 공리(公理)와 같은 ‘리무위⋅기유위’를 바탕으로 자신의 철학을 전개해 나갔지만, 당시 타 학파에서는 ‘심주리(心主理)’, ‘심즉리(心卽理)’와 같은 ‘리유위(理有爲)’의 주장을 펼쳐 나갔다. 전우는 타 학파와의 논쟁에서 ‘리의 주재’를 언급하며 ‘리무위’가 갖는 한계를 보완하기도 한다. 리는 무위하지만 기에 대한 자연한 주재가 가능하며, 기는 유위해 리를 실현한다는 것이다. 전우 철학의 이러한 ‘틀’은 이미 발현된 감정[情]인 사단과 칠정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도 일정한 정합성을 유지한다. 그러므로 필자는 전우의 사단칠정설을 그의 다른 철학적 명제들과 함께 검토하여, 전우 철학이 가지는 논리적 정합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GanJae(艮齋) Jeon Woo(田愚, 1841∼1922)’s Theory of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through the common propositions of the Yulgok(栗谷)-Kiho(畿湖) School. This article further examines Jeon Woo’s theory by focusing on ‘Principle Does Not Function(理無爲); Material Force Does All the Actions (氣有爲)’ and ‘Presiding over Principle and Mind.’ In doing so, we will demonstrate that Jeon Woo’s philosophy maintains consistent concepts from ontological issues to ethical values.
    Jeon Woo challenges the theory of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proposed by Kim Chang-hyeop, a leading scholar of the Nakron(洛論) tradition. Jeon Woo criticizes Kim Chang-hyeop’s stance and reconstructs Yi I’s theory because he has established a philosophical alignment with the framework of ‘Principle Does Not Function(理無爲); Material Force Does All the Actions(氣有爲)’ and ‘Presiding over Principle and Mind.’ Jeon Woo develops a philosophy rooted in ‘Principle Does Not Function(理無爲); Material Force Does All the Actions(氣有爲),’ which he regards as axiomatic in the Yulgok-Kiho School. However, other contemporary schools of thought asserted ideas such as ‘the mind is principle(心卽理)’. In response, Jeon Woo refers to ‘Presiding over Principle’ in debates with these schools, thereby compensating for the limitations of ‘Principle Does Not Function(理無爲)’.
    Jeon Woo regarded Principle(理) and Material Force(氣) as interdependent, mutually supportive, and ultimately complementary. The framework of Jeon Woo’s philosophy also aligns with his account of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四端七情), as previously established. Therefore, this article reviews his theory of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四端七情) and discusses the consistency of his overall philosophical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