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폴 리쾨르의 ‘서사적 정체성’의 철학적 줄기들과 그 고유성 (The Philosophical Stems and the Uniqueness of Paul Ricoeur’s ‘Narrative Identity’)

6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3.11
62P 미리보기
폴 리쾨르의 ‘서사적 정체성’의 철학적 줄기들과 그 고유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57호 / 139 ~ 200페이지
    · 저자명 : 이종주

    초록

    본 연구는 리쾨르의 ‘서사적 정체성’ 개념의 철학적 계보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방법론적으로 ‘접목’과 ‘새싹’의 메타포에 의존해서 리쾨르의 철학 도정에서 그가 연구하거나 교류했던 현대 철학의 주요 학설들을 검토한다. 그리고 이로부터 그가 어떻게 서사적 정체성 개념을 위한 줄기들을 찾아내고, 접목하고 새싹을 키워냈는지를 밝힌다. 나아가 그렇게 키워낸 서사적 정체성의 해석학이라는 나무가 결코 단순한 절충이나 조합의 산물이 아니고 고유하게 품종개량된 것임을 입증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표를 위해 본 논문은 서술 상 세 가지 전략을 취하고 있다. 첫째, 리쾨르의 철학 도정을 뒤따르며 서사적 정체성의 주요한 철학적 줄기들을 고르고 접목시켜 나갈 때마다 본 연구는 그가 인식론적, 존재론적, 윤리학적 측면에서 코기토적 주체의 대표적인 철학인 칸트의 반성철학을 비판적 참조점으로 삼아 자신의 개념을 어떻게 차별화시키고 개량해나갔는지를 드러내고 있다. 둘째, 리쾨르가 50년대 후반부터 80년대 말까지 자신의 철학 도정에서 연구한 주요한 중요한 철학 학설들에서 어떻게 서사적 정체성으로 접목시킬 줄기들을 찾아내고 서사적 정체성의 해석학으로 접목시키고, 육성시켰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셋째, 리쾨르보다 앞서 혹은 비슷한 시기에 이야기, 서사적 관점에서 자아, 자기의 정체성을 밝히려고 했던 아렌트의 “이야기의 주체”나 맥킨타이어의 “이야기의 통일성으로서 자아” 개념을 리쾨르의 서사적 정체성 개념과 비교하면서 아렌트나 맥킨타이어의 유사 개념에 대해 리쾨르의 개념이 갖는 고유성을 드러내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relies on the metaphors of "grafting" and "sprout" to reveal how Ricoeur found stems for the concept of narrative identity, grafted them, and grew sprouts from the major theories of modern philosophy he studied or exchanged, and reveals that the tree of narrative identity hermeneutics, which was raised in such a way, is by no means a simple compromise or combination product, but a unique breed improvement. For this research goal, this paper takes four strategies. First, whenever Ricoeur picks and grafts major philosophical stems of narrative identity following his philosophy, this study reveals how he differentiated and improved his concept by using Kant's reflective philosophy, the representative philosophy of the Cogito subject, as a critical reference point in terms of epistemological, ontological, and ethics. Second, it shows how Ricoeur found stems to be grafted into narrative identity, grafted and fostered into hermeneutics of narrative identity in major modern philosophical theories studied in his philosophy from the late 50s to the late 80s. Third, by comparing Arendt's concept of “the subject of the story” or McIntyre's concept of “self as the unity of the story” to Ricoeur's concept of narrative identity, it reveals the uniqueness of Ricoeur's concept from those of Arendt and MacIntyre. Fourth, we only focus on the philosophies he studied and exchanged in the formation of concept of narrative identity, and discussions on theories of literature and history as well as similar concepts of psychology and pedagogy are excluded from this paper. This is because the current study aims to reveal the philosophical lineage of the concept by independently examining only the philosophical stems of the concept of narrative ident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