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東里 李殷相 漢詩 硏究–이정귀 가계문학의 특성과 차이를 중심으로– (A study of DongLi Lee Ensang’ Sino-Korean Poetry–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Family literature)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0.02
33P 미리보기
東里 李殷相 漢詩 硏究–이정귀 가계문학의 특성과 차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근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55권 / 35 ~ 67페이지
    · 저자명 : 이명희

    초록

    본고는 당대 문단의 중심에 있었던 月沙 李廷龜(1564~1635) 가계의 일원인 東里 李殷相(1617~1678)의 詩文學을 고구하였다. 그의 시에 드러나는 중요한 특성들은 그만의 것이 아니라 이정귀 가계의 문학이 공유하는 것들이다. 본고는 이 점에 유의하면서 가계문학의 특성과 그만이 지녔던 차별성을 살펴보았다.
    이정귀 가계는 산수 자연에 대한 갈망과 탐닉이 남달랐다. 이은상은 선대의 경험을 공유하고자 금강산 유람을 시도하였으며, 이정귀가 그랬던 것처럼 악공을 대동하여 산에 올랐다. 장문의 시 제목을 통하여 운문과 산문을 복합적으로 활용하는 가계의 전통을 계승하였다. 또한, 윗세대와 달리 다양한 詞牌를 활용하는 詞를 창작해 문학적 역량을 과시하였다. 그의 이러한 행보는 그만의 특성이 아니라 가계문학의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온전한 이해가 가능하다.
    이정귀 가계문학은 ‘學唐’의 범주 안에 있었으며, 구성원의 시풍도 유사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평어에 개별적 차이가 있지만, 이정귀의 ‘豪放’ ‘飄逸’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이은상의 경우 ‘豪健’이라는 평을 받았는데, 이정귀의 ‘豪放’보다 좀 더 정제된 면모에서 나온 평가이다. 16세기에서 17세기로 넘어가는 시기의 시단은 ‘學唐’의 테두리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시적 수준을 높이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이은상의 시문학에서 ‘漢魏盛唐’을 주창한 鄭斗卿이나 金得臣처럼 적극적인 변화의 모습을 찾기는 어렵다. 그러나 가계문학의 전승 속에서 이은상이 詞를 창작하고 시 구성의 치밀성 등 다양한 변화를 추구하려는 모습은 발견되었다.
    김창협은 이은상의 시문학에 대하여 “율시에 뛰어나서 입을 열면 문장이 되었다”며 천부적인 재능에서 나온 口占과 口號를 높이 평가하였다. 이것은 즉흥적 감성을 담보로 한 문학의 진정성이 기반이 된 것으로 즉 백악시단의 ‘眞詩 追求’ 정신과 맞닿아 있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가계문학이라는 범주의 부여가 가능한지 확인하기 위해 詩語를 통하여 자카드 분석을 시도한 결과, 그 유사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이정귀에서 이은상이 활동하던 시기까지 이정귀의 가계문학에 큰 변화가 일지 않았다는 증거이다.
    題材의 측면에서 논한다면 이은상의 시문학은 당대의 시인들과 다른 어떤 특수성을 갖고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당대 문단의 중심인물로 활약한 이정귀 가계문학의 성향을 확인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리고 그가 물색의 탐닉에 몰두하여 ‘物色分留’라는 시어를 애호한 점은 현장체험을 중시하였던 가계의 전통을 계승하고 윗세대에서 표현하지 못한 새로운 시의 창작을 추구하였다는 실례이다. 처참했던 壬丙兩亂의 고통 속에서 헤어지는 한을 시에 담았던 윗세대와 달리 이별의 순간을 ‘浮生聚散’의 관점으로 詩想을 써내려간 이은상에게서 세상을 대하는 세대 간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내재된 감성의 표현으로 達觀의 境地를 보여주는 시가 많은 것도 그의 차별적인 지점이다.
    아울러 이은상의 시문학은 김상헌 가계와의 문학적 교류와 상호 영향을 고려해 볼 때, 18세기 문학의 새로운 면모를 만들고자 활약한 백악시단의 탄생에 일조했으리라 가늠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studied the poetic literature of Dong-ri(東里) Lee Eun-sang(李殷相). He is a member of the Li Jung-gul family. The Li Jung-gu family shares literary characteristics. their literature transmits literary tradition faithfully and it should be focused that they have similar tendency.
    Lee Jung-gui’s family had a longing and indulgence for arithmetic. Lee attempted to tour Mt. Kumgangsan to share the experiences of his ancestors. The family tradition was inherited through the title of the long sentence, which is a combination of verse and prose. Unlike the older generation, he also created Sa(詞) that utilize various Sa(詞) to show off their literary capabilities. His behavior is fully understood in terms of inheritance of family literature.
    Lee Jung-Gui’s family literature has a similar style. Although there are individual differences in flatfish, they do not deviate significantly from Lee Jung-Gui’s ‘Ho bang(豪放)’ and ‘飄逸(Pyoil)’. Lee Eun Sang received the reputation of ‘豪健(Ho geon)’, which comes from a more refined aspect than Lee’s free style. In the transition from the 16th to the 17th centuries, poetical circles endeavored to raise the poetic level without leaving the borders of ‘Hakdang(學唐)’. In the poetry of Lee Eun-sang, it is difficult to find positive changes such as Jeong, Du-gyeong(鄭斗卿) and Kim, Deuk-sin(金得臣) which advocated ‘Han-Wi-Seongdang(漢魏盛唐)’. However, even in the tradition of family literature, the movement of change to raise the level through the creation of a book and pursuing the preciseness of the composition of poetry is sensed.
    Kim Chang-hyup said that Lee Sang-sang’s poetry is “excellent and bizarre unless he intentions.” The authenticity of improvised sentiment was highly valued because it touched spirit of the Baekaksidan(白岳詩壇).
    Compared with other members of Lee Jung-gui’s family through the poetic diction, it is clear that they are in an influence relationship, but his distinctiveness can be seen in the words of his own particular favorite, ‘scenery(物色)’ and ‘transient life(浮生)’. According to the jacquard analysis, Lee Eun-sang and Lee Myung-han are the most similar. However, there is little variation except Lee Seok-hyung, which has a big difference in time. It is clear that there is a similarity in the use of Shea. This proves that the changes in Family literature were not significant until at least Lee’s time.
    Lee’s poetry is hardly considered to have any specificity different from the poets of his time. However, there is a clear significance in that it shows the propensity of the Lee Jung-gui family that was at the center of the passage. And his devotion to the indulgence of nature and his love of the ‘mulsaegbunlyu(物色分留)’ is an example of his pursuit of a new poetic attempt that the older generation did not express. Unlike the poems of the older generations, who suffered through the experience of Im Byung-ran, being optimistic even in the moment of parting from the perspective of ‘busaengchwisan(浮生聚散)’ reveals a difference in the gaze for the world. Many poems that show the stage of ‘dalgwan(達觀)’ are also different points from those of family literature.
    Lee’s poetry is intact in the category of Lee Jung-gui’s family literature. His traits are mostly influenced by family literature. However, it also reveals the attempts of differentiation, such as the creation of her own poem and poem. Lee Jung-gui’s family literature favored improvisation and sincerity rather than hanging on the table. I valued the inspiration that comes directly from the landscape. This is in line with the spirit of ‘jinsichugu(眞詩追求)’ as mentioned earlier. The Lee Jung-Gwi family grew their literary capacity through continuous exchanges with the Kim Sang-Hun family. Lee Eun-sang’s position in the two-family exchange suggests that it played a role as a medium for the birth of the Baekaksidan, which contributed to creating a new face in the 18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