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소라 히바리와 쇼와시대 일본 대중의 감성 - 정신적 고향으로서의 전후(戰後) (Misora Hibari and the sensibility of the Showa Japanese public: Postwar as a spiritual home)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3.04
25P 미리보기
미소라 히바리와 쇼와시대 일본 대중의 감성 - 정신적 고향으로서의 전후(戰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문화연구 / 61권 / 23 ~ 47페이지
    · 저자명 : 박진수

    초록

    본 논문은 20세기 일본 대중음악을 대표하는 가수 미소라 히바리의 노래들이 동시대 일본인들에게 가져다준 의미를 시대 상황에 비추어 생각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특히 대중이 미소라 히바리를 수용해온 방식을 노래 가사를 통해 살펴보려고 했다. 그럼으로써 20세기 후반 일본 대중사회가 형성된 문화적 기반의 단면을 파악하고 오늘날 일본 국민문화의 근원에 대해 통찰하고자 한 것이다.
    미소라 히바리의 마지막 곡 <흐르는 강물처럼>(1989)에 표현된 ‘고향’은 일본의 대중들에게는 1945년 8월 15일 패전일 수 있다는 전제하에 <슬픈 휘파람>(1949)과 <도쿄 키드>(1950)의 가사를 분석했다. <슬픈 휘파람>과 <도쿄 키드>는 각각 같은 제목의 영화 『슬픈 휘파람』(1949) 『도쿄 키드』(1950)의 주제가로서 전쟁고아 문제 등 시대상을 반영한 이들 영화와 함께 당시 대중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슬픈 휘파람>은 전후 일본의 혼란함과 이질적인 요소들의 부조화 상황을 절묘하게 조화시키면서 절망에 처한 사람들의 마음을 위로하고 달래주었다. <도쿄 키드>는 당장의 현실은 어렵더라도 전에 없던 자유를 누리면서 미래에 대한 동경을 갖고 꿈을 꾸는 한 살아갈 수 있다는 희망을 불어넣어 주었다. 이 두 곡의 노래를 시작으로 미소라 히바리는 평생을 왕성하게 활동하며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가요계의 여왕’이 되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n attempt to consider the meaning that the song of Misora Hibari, a representative of Japanese popular music in the 20th century, brought to the Japanese people of the same era in light of the situation of the times. In particular, I tried to see how the public has accepted Misora Hibari through the lyrics of her songs. Therefore, I tried to grasp an aspect of the cultural foundation on which Japanese mass society was formed in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and to gain insight into the roots of today's Japanese national culture.
    The ‘hometown’ expressed in Misora Hibari’s last song, <Kawa no Nagare no Youni>(Like a Flowing River, 1989), is premised on the possibility that the Japanese public will accept the meaning of end the war on August 15, 1945. and analyzed the lyrics of <Sad Whistle>(1949) and <Tokyo Kid> (1950). <Sad Whistle> and <Tokyo Kid> were the theme songs for the films with the same titles, “Sad Whistle” (1949) and “Tokyo Kid” (1950), respectively, and captivated the public at the time along with these films that reflected the issues of war orphans and other aspects of the times <Sad Whistle> comforted the hearts of those who were in despair by exquisitely harmonizing the chaos of postwar Japan and the disharmony of different elements. <Tokyo Kid> gave us the hope that even if the immediate reality is difficult, we can enjoy the freedom that we have never had before, and live as long as we dream with longing for the future. Starting with these two songs, Misora Hibari has been active throughout her life and has become an unrivaled ‘queen of the popular music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