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분단의 현실과 접경지역의 어민사회 -고성군 현내면 대진리의 사례- (The Reality of National Division and the Fishermen Community in the Border Area -The Case of Daejin-ri, Hyeonnae-myeon, Goseong-gun-)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2.08
34P 미리보기
분단의 현실과 접경지역의 어민사회 -고성군 현내면 대진리의 사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실천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실천민속학 연구 / 40권 / 45 ~ 78페이지
    · 저자명 : 이중구

    초록

    이 글은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대진리를 사례로 분단의 현실이 어민들의 실제적 삶에 미친 영향 관계를 밝힌 것이다. 이는 분단에 대한 관념적이고 실용적인 논리에서 벗어나 분단의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생활세계와 이를 둘러싼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연결망을 통해 분단의 현실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분단민속학’의 차원에서 접근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대진리가 속한 접경지역은 군사적 목적으로 구획된 다양한 경계선이 있으며, 안보 관련 시설물이 집중적으로 자리함으로써 분단 경관을 형성한다. 접경지역과 맞닿고 있는 접경수역은 냉전기에 불안정성이 높았다. 특히 우리 어민들에 대한 북한군의 총격 사건과 당포함 침몰 사건, 어민 납치는 주민들에게 냉전기를 상징하는 기억으로 자리 잡았다. 납북된 어민들의 일부는 간첩으로 몰려서 고초를 겪었고, 지금도 신체적․정신적 후유증이 남아 있기 때문에 어민들에게 냉전기는 현재까지 이어지는 역사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저도어장은 1972년에 개방됐으며, 매년 4~12월에 한시적으로 개방된다. 저도어장의 A구역은 현내면 어민들만 입어할 수 있고, C구역은 고성군의 어민들에게만 개방된다. 저도어장은 무엇보다 조업시 월선에 대한 감시가 심하다. 국가에서는 각종 제도적 장치를 통해 어민들의 행동을 구속함으로써 월선을 통제한다. 한편 저도어장은 이해관계를 둘러싼 갈등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사회적 공간이다. 입어의 대상을 두고 어촌계와 이주 어민들 간의 갈등이 계속되고 있으며, 조업시 어구가 엉키는 상황에서 비롯된 연승어업인과 자망어업인 간의 갈등도 한때 심각하게 전개됐다.
    접경수역에는 더 많은 생산을 위한 어민들의 욕망이 한반도 정세 및 안보와 경합하면서 북한군의 총격, 당포함 침몰과 같은 사건을 생성했다. 아울러 어민들의 요구에 따라 국가에서는 저도어장의 면적을 점차적으로 넓혔으며, 삼선녀어장과 동해 북방어장까지 개방했다. 이와 같은 상황은 어민들의 욕망과 냉전기에서 탈냉전기로 전환한 한반도의 정세가 절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결국 접경수역은 어민들의 욕망과 안보 차원에서 국가의 제도가 경합하고 있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으며, 한반도 정세에 따라 탄력적인 모습을 나타내기 때문에 접경지역 어민사회의 특성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study uses Daejin-ri, Hyeonnae-myeon, Goseong-gun, Gangwon-do as an example to reveal the relationship and practical impact that national division had on people’s lives. It can be said this study took an approach in terms of ‘divisive folklore’ through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networks surrounding the lives and world of people living in a divided era, breaking away from the ideological and practical logic.
    The border area, where Daejinri is located in, has various borders demarcated for military purposes, and security-related facilities are concentrated, forming a divided landscape. The border waters where the border regions are in contact were highly unstable during the Cold War. In particular, shooting incidents by the North Korean forces against our fishermen, the sinking of the Dangpo vessel, and the abduction of fishermen have become a symbol of the Cold War for fishermen in the area. Therefore, the Cold War is a continuation of history for the fishermen.
    The Jeodo fishing ground, on the other hand, first opened in 1972 and is temporarily open from April to December every year. Area A of the Jeodo fishing ground is only accessible to fishermen from Hyeonnae-myeon, and area C is only open to fishermen from Goseong-gun. Moreover, there are strict control measures for vessels crossing over the border. Therefore, the nation restricts fishermen’s actions through various institutional devices to prevent overpassing. Additionally, conflicts frequently occur between fishing villages and fishermen who have migrated from overseas, regarding the number of people who can fish at the low-level fishing grounds. Conflict between longline fishermen and gillnet fishermen over fishing gear entanglements have reached a ceasefire.
    In the bordering waters, fishermen's desire to increase production did not align with the situation and security of the Korean Peninsula, resulting in incidents such as North Korean forces’ shooting incidents and the sinking of the Dangpo vessel. 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demands of the fishermen, the national gradually expanded the area of the fishery grounds, and opened the Samseonnyeo fishing ground and the East Sea northern fishing ground. Such situation can be seen as a compromise between the desire of fishermen and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which has transitioned from the Cold War to the post-Cold War era. In the end, the border area can be said to be a space where the nation’s system and security is incoherent with the fishermen's desire, demonstrating characteristics of fishermen communities located in the border area as the situation flexibly shifts depending on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실천민속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