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설명과 이해의 자연주의적 해석- 리쾨르 해석학에서의 몸의 문제 - (A Naturalistic Interpretation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The Problem of the Body in Ricoeur's Hermeneutic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9.02
30P 미리보기
설명과 이해의 자연주의적 해석- 리쾨르 해석학에서의 몸의 문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149권 / 213 ~ 242페이지
    · 저자명 : 서명원

    초록

    이 글의 주된 목적은 리쾨르가 설명과 이해의 갈등을 완화시키는 도구로 상정한 몸을 자연주의적 관점으로 살폈을 때, 그의 설명과 이해가 훨씬 더 적절하게 해명될 수 있다는 것을 전향적으로 검토하려는 데 있다. 리쾨르에 따르면 설명과 이해의 논쟁은 몸/마음, 자연과학/인문과학, 객관주의/상대주의와 얽혀서 학문영역의 분화를 불러 왔으며, 그 귀결로 학문의 격자화를 부추겨 왔다. 이러한 갈등과 맞물린 강한 자연주의는 과학주의 vs 반과학주의(선험주의)로 심화되어 객관주의적 환원주의라는 얼굴로 화해되지 않는 길을 걷게 되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오늘날 학제적 탐구에 대한 미래의 핵심적 논쟁은 객관주의적 환원주의를 넘어서는 문제로 집약되었다. 따라서 오늘날에도 여전히 격자화된 담론 안에 갇혀서 생산적인 대화의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가로막고 있는 설명과 이해의 갈등에 몸을 완화의 도구로 주목하고 있는 리쾨르의 통찰은 매우 중요해 보인다. 설명과 이해의 탐구에 있어서 몸의 중심성에 관한 리쾨르의 새로운 제안은 자연과학과 인문과학 간의 갈등적 요소인 환원적 객관성과 방법적 상대성을 상호보완적으로 완화시키려는 선도적인 해석이며, 이분법에 따른 문제로 인해 분화된 인문학의 주요 난제들을 푸는 열쇠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인지과학의 경험적 탐구의 방향성에 주목하고 있는 체험주의의 상상력 이론은 리쾨르가 제시한 몸이 어떻게 설명과 이해의 이분법적 갈등을 완화시킬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무엇보다도 몸의 중심성을 구체적으로 해명할 체험주의의 영상도식과 은유적 투사는 몸의 활동의 자연적 조건을 통해 직접 발생하는 상상력의 기제들이기 때문에 리쾨르가 상정한 몸의 역할이 첫째, 자연주의를 이미 선취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둘째, 자연과학과 인문과학의 논쟁으로 창발된 객관주의적 환원주의의 문제를 전향적으로 설명하고 있기에 제3의 학제적 탐구의 중요성과 가능성도 열어 줄 것이다. 결론적으로 리쾨르의 몸의 중심적 해명은 실질적으로 경험하는 설명과 이해가 한데 묶여 하나의 철학적 이론으로 되어가는 과정에서 무엇이 억압되고, 과장되었는지, 그리고 어떤 두려움에 직면하게 되었는지를 선명하게 보여줄 것이다. 하지만 이 글은 설명과 이해에 관한 수정된 이론을 재구성하기보다는 그것들의 경험적 지반을 드러내고, 그것들이 안고 있는 갈등적 요소의 소재를 명료하게 보여주어서 완화된 사유의 이론적인 통로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설명과 이해에 대한 철학적 논의와는 다른 차별성을 갖는다.

    영어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positively that the body presented as a tool to moderate the conflict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by Ricoeur could be much more appropriately explained for his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when it is considered under the point of view for naturalism. According to Ricoeur, the dispute on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has brought the differentiation of academic territories by having the entanglement of mind/body, natural science/humanities and objectivism/relativism, and as a consequence, it has instigated the academic mesh discretization. The strong naturalism that is interlocked with such a conflict has deepened with the scientism vs anti-scientism (empiricism) to walk the uncompromised path of the face for the objectivistic reductionism. In this implication, the critical dispute of the future on the interdisciplinary study of today has been integrated into an issue beyond the objectivistic reductionism. Therefore, the insight of Ricoeur that pays attention to the body as a tool of moderation for the conflict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that intrinsically blocking the possibility of productive communication by yet to be entrapped within the gridded discourse even today seems extremely important. With respect to the study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the new proposal of Ricoeur regarding the centrality of body would be the leading interpretation to moderate the reductionist objectivity and methodological relativity that are the conflict factors between natural science and humanities in mutually supplementary way, and it could also be the key to solve main problems of humanities that have been segmented due to the issues under the dichotomy. The imagination theory of experientialism that pays attention to the direction of experiential inquiries in cognitive science demonstrates in details how the body presented by Ricoeur may moderate the conflict in dichotomy for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More than anything else, image-schema of experientialism and metaphorical projection to explain in details of the centrality of body are the mechanisms of imagination directly occurring through the natural conditions of bodily activities that the role of body presented by Ricoeur displays, first, that it has already preoccupied of the naturalism, second, it positively explains the issue of objectivistic reductionism emerged from the dispute of natural science and humanities that it is expected to open up the importance and possibility of a third interdisciplinary study. In conclusion, the central explanation of body by Ricoeur would clearly demonstrate what has been oppressed, exaggerated, and what fear it encounters in the process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empirically experienced are bounded into a philosophical theory. However, this article has different differentiation from the philosophical discussions on existing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in the point that it presents the theoretical passage of moderated reasoning as it succinctly display the experiential foundation as well as elements of conflicts within, rather than restructuring the revised theories on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