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세기 金理守의 「擊錚」을 통해본 섬주민의 賦稅 대응 (The Taxational Confrontation of Residents in the Island through Kyuckjaeng by Kim, Leesu in the 18th Century)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1.02
29P 미리보기
18세기 金理守의 「擊錚」을 통해본 섬주민의 賦稅 대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문서학회
    · 수록지 정보 : 古文書硏究 / 38권 / 37 ~ 65페이지
    · 저자명 : 김경옥

    초록

    18세기 조선사회는 변화의 시기로 인식된다. 특히 중세사회의 모순으로 인해 새로운 사회세력이 성장하는 과정으로 이해되고 있다. 이러한 18세기 조선사회의 다양하고 풍부한 실상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따라서 民人들의 구체성과 질박성을 지닌 1차 자료를 역사연구에 활용한 사례연구가 필요하다. 이런 측면에서 擊錚은 중세사회 해체기 사람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담고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18세기 도서지역의 인구가 증가하고 경제기반이 마련되면서, 섬은 국가의 財富를 창출하는 곳으로 변하였다. 이 과정에서 육지의 권세가들이 도서지역의 사회경제적 이권을 점탈하자, 섬 주민들이 적극적으로 대응하였다. 그 가운데 하나가 격쟁이다.
    이 글은 18세기 말엽 흑산도 주민 金理守(1756~1805)의 격쟁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분석 자료는 1813년 金匡殷에 의해 필사된 『金理守傳』이다. 1791년 1월 18일 흑산도 주민 김이수가 正祖의 어가를 가로막고 격쟁을 올렸다. 김이수가 격쟁을 올린 이유는 흑산도 주민들의 賦稅로 인한 폐단 때문이었다. 흑산도 주민들은 상급관부에 토산물을 상납하고 각종 民役을 이행하고 있었다. 이 가운데 섬 주민들의 가장 큰 고역은 훈련도감에 납부하는 紙役이었다. 흑산도에서 닥나무가 자생할 때 종이를 제작하여 중앙관부에 상납하였으나, 섬에서 닥나무가 절종되면서 더 이상 紙役에 응할 수 없었다. 그러나 한번 정해진 賦役은 변통되지 않았다. 흑산도 주민들은 합법적인 절차에 따라 상급관부에 紙役의 폐단을 여러 차례 호소하였으나, 끝내 해결되지 않았다. 급기야 섬 주민들은 왕에게 직소하는 격쟁을 감행하였다. 18세기 섬 주민들은 賦稅 자체를 부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도서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사회 모순을 시정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하였다.

    영어초록

    Chosun society in the 18th century is considered as a time of changes. Especially, it is regarded as a growth process of the new social power by the contradiction of medieval times. Therefore, empirical investigation is needed to understand the various and abundant fact of Chosun society. To complete it, the case study using primary source which has concreteness and simplicity of the people for research in history is required. In this view, Kyuckjaeng(擊錚) is noticed because it has vivid voices of the people in a period of dissolution of medieval times. As the population of cities increased and economic base was made in the 18th century, islands wereturned into places to produce nation's wealth. In the process, the powerful in the land occupied socioeconomic interests and then the residents in islands coped actively with it. One of them was Kyuckjaeng.
    This is a case study on Kim, Leesu's(金理守) Kyuckjaeng, and he lived in 1756 to 1805 as a resident in Heuksan island(黑山島) in the late 18th century. The analysis is Kimleesujun(金理守傳) transcribed by Kim, Gwangeun(金匡殷) in 1813. On January 18 in 1791, Kim, Leesu, a resident in Heuksan island, intercepted a royal carriage and did Kyuckjaeng. The reason why he did it was the negative effects from imposing a tax on the residents of Heuksan island. They were offering local products to superior offices and doing forced labor. The hardest work of them was offering paper compulsorily to Hunlyundogam(訓練都監). At one time, when the paper mulberry grew naturally in Heuksan isalnd, the residents there made paper and offered it to the central offices but couldn't do it because the paper mulberry became extinct. However, a taxation once made was not adaptable. The residents in Heuksan island complained about the negative effects from offering paper compulsorily to superior offices many times in accordance with the legal process but it was not resolved. Eventually, they went ahead with Kyuckjaeng and appealed directly to the throne. They did not deny a taxation itself but coped actively with it to correct the social contradictions breaking out in cities in the 18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古文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