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주 모량리 도시유적을 통해 본 신라 방제의 범위와 시행 시기 (The extent and implementation time of ‘Silla Bangje’ based on the City Relics of Moryang-ri, Gyeongju)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4.08
32P 미리보기
경주 모량리 도시유적을 통해 본 신라 방제의 범위와 시행 시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라문화 / 44권 / 63 ~ 94페이지
    · 저자명 : 정민

    초록

    신라 방제에 대한 연구는 왕경 연구의 한 축으로 함께 진행되어 왔다. 그 간의 연구는 방제의 형태, 시행 범위에 대한 것이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방제의 시행 시기와 방제를 시행하게 된 동기 등 다양한 주제로 까지 연구의 영역이 확대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근자에 조사된 경주 모량리 도시유적의 발굴 결과로 인해, 신라 6部 중 하나인 모량부의 위치가 현재의 경주시 건천읍 일대가 확실해 졌고, 여기에는 120m 크기의 정방형의 방이 존재함이 확인되어, 기왕에 방제의 범위를 경주 분지내로만 국한 시켰던 연구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새로운 자료의 소개와 분석을 바탕으로 신라 방제의 시행 범위를 재조정 하였으며, 그와 함께 방제의 시행 시기를 이끌어 내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경주 분지 외곽의 유적에서 확인되는 방제의 흔적과 현재까지 잔존하는 방명의 지명이 신라 6部의 지역으로 위치함을 확인하고, 신라 방제 시행 범위의 확장을 시사 하였다. 또한, 금석문에서 보이는 部별 소속 인원과 관등의 고하의 수에서 차이가 있다는 사실, 신라 고유의 묘제이자 干의 무덤인 적석목곽묘의 초현 시기가 6部의 지역마다 다르게 확인되고 있다는 사실에서 신라 6部에는 탁부․사탁부 - 본피부․모량부 - 습비부․한기부의 순으로 서열이 존재 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탁부와 모량부에서 확인되는 방제의 시행은 동 서열의 부에도 존재할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하여 신라 방제의 범위를 6부의 중심지 주변으로까지 확장하였다.
    이들을 고려하여 6세기 초에 이르러 적석목곽묘의 소멸, 경외매장의 시행, 부(部)의 성격이 단위정치체에서 중앙집권적 체제로의 변화하는 부체제 개념의 변환, 율령의 반포, 연호의 사용, 불교의 공인, 상대등의 설치 등 연맹체의 모습에서 중앙집권적 국가로의 변화가 시작되는 일련의 모든 작업들이 6세기 초에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도시의 규격화, 통제화, 차별화를 꾀할 수 있는 방제의 시행이 이 시기에 이루어 졌음을 확인 하였다.

    영어초록

    The study of township in Silla has been a part of the study of its capital. The preceding studies have focused on the shape and scope of towns, but the topics have recently expanded to the execution of township and the motivation behind the execution of township. As a result of the recent excavation of city relics in Moryang-ri, Gyeongju,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Moryangbu, which is one of the six districts of Silla, is around today’s Geoncheon-eup, Gyeongju and a rectangular town that extended 120 m in size has been found to give a new turn to the scope of township that was limited to Gyeongju Basin. This study adjusted the scope of Silla township based on the new resources and analysis and focused on estimating the execution of township.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are signs of township outside Gyeongju Basin and the names of towns that still exist today succeed the six districts of Silla to imply the expansion of scope of Silla township. From the fact that the number of government officers and the level of positions varied for each district considering the epitaphs,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six districts of Silla had ranking (Takbu/Satakbu–Bonpibu/Moryangbu/Seupbibu–Hangibu) considering that the introduction of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the original tomb system of Silla, varied from district to district. Furthermore, the scope of township was expanded to the vicinity of center of the six districts as the execution of township in Takbu and Moryangbu could have been applied to the same ranking of districts.
    Considering that all of the actions to convert the federation into a centralized state took place in the early 6th Century, including the disappear of wooden chamber tomb with stone mound, execution of burial outside the capital, change in the concept of district system into centralization system, declaration of regulations, use of reign names, official acceptance of Buddism, and installation of Sangdaedeung, it has been found that township was executed at this time for the zoning, control, and distinction of c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0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