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大山 李象靖의 理主氣資說과 그 思想史的 意味 (On Daesan’s Theory of Principle and Material Force in the History of Thought)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6.02
28P 미리보기
大山 李象靖의 理主氣資說과 그 思想史的 意味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영남학 / 58호 / 343 ~ 370페이지
    · 저자명 : 전성건

    초록

    퇴계의 四端七情에 대한 후대의 평가는 互發說의 타당성을 위주로 이루어졌다. 渾淪說과 分開說 가운데, 퇴계학파는 분개설에, 율곡학파는 혼륜설에 무게중심을 두고 비판과 재비판의 과정이 되풀이 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비판과 재비판은 퇴계학파와 율곡학파의 학문적 입장차이 뿐만 아니라, 정치적 입장차이로까지 진행되었다. 正學의 수호라는 명목 아래 互發說과 氣發理乘一途說의 학문적 대립이 學派와 黨派의 정치적 대립물이 되고 만 것이다. 정치적 권력에서 소외된 영남남인의 차선책은 학문적 권위를 빌어 정치적 소생의 기회를 찾는 일이었다.
    17세기 퇴계학파는 葛菴을 필두로 하여 ‘율곡의 호발설 비판’에 대한 재비판을 통해 영남남인을 규합하여 정치적 활로를 찾으려 하였지만, 영남남인의 정계진출은 더욱 어려워지고 말았다. 게다가 18세기에는 노론 중심의 정국이 견고해지고 영남남인을 회유하려 그들의 근거지까지 노론세력이 침투하는 상황이 본격화되었다. 이때 등장한 인물이 大山이다. 그는 퇴계학파의 적통으로서 퇴계학의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였는데, 특히 그가 주장한 理主氣資說은 영남남인은 물론 근기남인의 학문에도 사상사적 영향력을 발휘하게 된다.
    이에 본 논문은 18세기 퇴계학파의 적통인 대산의 理主氣資說의 논리구조와 그것이 갖는 사상사적 의미가 무엇인지 살펴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대산의 理主氣資說 형성에 직간접적인 연관성이 있었을 것이라고 추론되는 사상을 考究해볼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대산의 학설이 영남남인과 근기남인에게 어떤 영향력을 행사하는지 간략하게 다룰 것이다. 葛菴과 密菴을 계승하여 18세기 퇴계학파의 큰 스승으로 자리한 대산이 그들과는 구별되게 퇴계의 사단칠정론을 해석하였다는 점은, 학문적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정치적 측면에서도 새로운 국면에 대응해야 했던 한 지식인의 고뇌가 있었을 것이라 판단된다.

    영어초록

    Daesan’s position on the four-seven debate between T’oegye and Yulgok school is not only built on the T’oegye’s but also reflect Yulgok’s to some degree. In this regard, his theory of principle and material force, so-called liju-kija is has uniqueness in the history of thought in 17∼18th century.
    The key point is how to interpret T’oegye’s mutual issuance of principle and material force. The main stream was attached to the aspect of dissociating the two emotion which are moral sense and physiological sense like theory of Cheongdae. By the way, Daesan made an effort to synthesize each other’s differences, and both Woodam and Seongho have a little different and analogous role.
    Most important is that Daesan tried to negotiate T’oegye and Yulgok school in the history of thought. And his trial is to bind T’oegye school when T’oegye school was going to be cajoled by Yulgok school, and to expand T’oegye school to the Sungho school in the academic and political aspe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