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조선 정전집, ‘리기영 선집’ 연구-다시, 근대문학의 경계를 생각하다- (A Study on ‘Giyoung Lee’s Selection’, A Collection of North Josun Canons -Again, thinking of the boundary of modern literature-)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8.09
38P 미리보기
북조선 정전집, ‘리기영 선집’ 연구-다시, 근대문학의 경계를 생각하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어문연구 / 62호 / 7 ~ 44페이지
    · 저자명 : 남원진

    초록

    이 논문은 북조선의 최고 작가로 호명되었던 리기영의 정전을 점검하는 한편, 근대문학사의 근저에 자리잡은 선택과 배제의 원리, 즉 근대문학의 경계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한다. ‘현대조선문학선집’에는 리기영의 다양한 작품이 호명되었는데, 이는 조선문학의 최대 작가로 재해석 또는 재규명하고자 한 의도에서일 것이다. 식민지 시대와 다른 이 배치는 리기영 문학의 특별함 때문만이 아니라, 북조선 문학사의 인식과 서술이 그의 정전을 호출했다는 말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런 기획은 ‘계몽의 평범성’을 드러내는데, 계몽의 선한 의도가 배제의 뼈아픈 상흔을 남긴다는 말이다. 또한 이런 배치 원리는 일종의 ‘목적론’을 낳게 되는데, 이는 목적에 맞는 것만을 취사선택하거나 자의적 왜곡을 발생시킨다. 이는 근대문학사가 내포한 인식론적 근저에 놓인 문제, 즉 근대문학의 경계의 문제이기도 하다. 미적 자율성을 핵으로 한 근대문학, 그의 경계에 종속된 근대문학사에 자리잡은 인식론의 근저에는 ‘배제의 체계’로서의 문학사의 원리가 작동한다. 즉, 이는 근대문학사가 근대문학의 경계, 즉 시나 소설 등의 갈래를 분할하는 관습에 종속되어 있다는 말이다. 하지만 이런 인식이나 관습은 최소한, 근대문학사의 시간이 단선적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없다거나 근대문학사의 작품을 선정하거나 배제하는 준거가 타당하거나 공정하지 않다는 논리에 대해서도 한마디해야 한다. 이는 근대문학사를 형성하는 구성물은 필요에 따라 축소되거나 과장되기도 하고, 완전히 변형되기도 한다는 사실 말이다. 남쪽의 근대문학사뿐만 아니라 북쪽의 근대문학사도 또한 그러하다. 즉, 이 시점에서 남쪽이든 북쪽이든 근대문학사에서 표방한 ‘미적 자율성’이나 ‘근대문학의 경계’에 대한 뼈아픈 심문 또는 성찰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그래야 남북의 근대문학사에 대한 질문을 다시 시작할 수 있지 않을까? 여전히 이에 대한 의문은 남는다.

    영어초록

    This text checks the canons of Giyoung Lee called the best writer in North Josun, while it starts from the question about the principle of selection and exclusion which establishes itself on the basis of modern literature history, that is, the boundary of modern literature. ‘A Selection of Modern Josun Literature’ calls his various works, which may result from the intention of reinterpreting or reexamining him as the greatest writer in Josun literature. Such rearrangement is not only because of the specialty of his literature, but also means that the awareness and description of North Josun literature history called his canons. However, such planning reveals ‘commonness of enlightenment’, which means that a good intention of enlightenment leaves a painful scar of exclusion Also, such principle of rearrangement comes to give birth to a sort of ‘teleology’, which chooses only what answers the purpose or generates arbitrary distortion. It is also the question placed on the epistemological basis which modern literature history involves, that is, the question of the boundary of modern literature. Modern literature has aesthetic autonomy as the nucleus. On the basis of the epistemology establishing itself on the modern literature history which is subordinated to its boundary operates the principle of literature history as ‘system of exclusion’. Namely, modern literature history is subordinate to the boundary of modern literature, that is, the custom of dividing it into the branches of poems, novels and so on. But such cognition or custom should say a word at least also about the logic that the time of modern literature history cannot consist of monolinear structure or that the standard of selecting or excluding a work from modern literature history isn’t valid or fair. It means that the constituents of modern literature history are reduced, exaggerated or completely transformed as needed. It is applied not only to modern literature history of the South but also to that of the North. Namely, it is necessary to make a painful inquiry about ‘aesthetic autonomy’ or ‘the boundary of modern literature’, which is advocated by modern literature history whether the South or the North. I still wonder if I can again start asking about modern literature history of the North in that ca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