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쇄-낭독-전시의 ‘보이기’ 전략과이상화 시의 에크리튀르 (‘Exhibiting’ strategy of printing-reciting-displaying, and the écriture of Lee Sang-hwa’s poetry)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3.12
48P 미리보기
인쇄-낭독-전시의 ‘보이기’ 전략과이상화 시의 에크리튀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보학보 / 35호 / 115 ~ 162페이지
    · 저자명 : 홍성희

    초록

    이상화(1901-1943)는 1920년대 초중반 왕성하게 활동한 시인 가운데 한 명으로, 그의 시는 한국 근대시가 형성되어 가던 시기 시 언어에 대한 감각이 발명되고 변화해 간 궤적의 한 모습을 보여준다. 인쇄 매체에 시를 발표하고, 문예 강연에서 시를 낭독하고, 미술계의 전시회에 시화詩畫로 참여하기도 하면서, 이상화는 시의 언어를 ‘보이는’ 방법과 시의 언어를 통해 ‘보이게’ 되는 것들에 관해 충실히 고민해 갔다. 『백조』 활동 시기 다른 동인들과 더불어 이상화의 시가 적극 활용하고 있는 쉼표쓰기와 띄어쓰기 전략은, 문자가 그 시각적 효과로서 활성화시키게 되는 청각적 감각과 그것을 시각적으로 ‘보이게’ 할 수 있는 문자 자체의 가능성을 적극 탐사하고 있는 것이었다. 그러한 전략을 경유하여 이상화의 시가 ‘보이게’ 되는 방식과 실제로 ‘낭독되는’ 방식을 긴밀하게 파악한 당대의 비평은, 의미를 실어 나르는 평면적 도구를 넘어서 감각들이 복합적으로 작동하는 입체로서 시의 문자를 적극 재의미화할 수 있었다.
    한편 이상화의 시적 행보는 그러한 감각적 물질성을 점차 덜어내는 방식으로 평면화되어 간 1920년대 시 언어의 특수성을 드러내기도 한다. 쉼표를 포함한 문장 부호 사용을 줄이고 띄어쓰기 활용법을 거듭 바꾸어가면서, 이상화는 시가 보여주어야 할 것과 보여주지 않을 것 사이에서 ‘보이는’ 방식을 단순화해 가는 모습을 보인다. 그러한 변화는 시의 언어를 이미지와 함께 ‘전시’되는 대상으로 실천한 시인의 이후 행보와의 연관성 속에서 검토될 여지가 있다. 시작 활동 기간이 길지 않고 1927년 이후의 행적에 관한 자료가 더 필요한 상황이지만, 보여주는 적극적 행위이자 보이는 정적 대상으로서 시 언어가 가지는 특수성을 살펴간 이상화의 궤적은 문자의 복합적 물질성과 감각성의 측면에서 한국근현대시사를 이해해 갈 수 있는 문을 열어주고 있다.

    영어초록

    Lee Sang-hwa (1901-1943) was one of the poets who was active in the early and mid-1920s. His poem was a significant example which had shown the trajectory of the invention and change of the sense of poetic language during the period of establishment of modern Korean poetry. By publishing poems in print media, reciting poems at literary lectures, and participating in art exhibitions with poetry paintings, Lee Sang-hwa has focused on how to ‘show’ the language of poetry and what could be made ‘visible’ within it. Along with other members of 『Baekjo』, he actively utilized the comma writing and spacing strategies to activate the auditory sense of visual letters. Closely grasping the way in which Lee Sang-hwa’s poetic language became ‘visible’ through such strategies and the way in which it was actually ‘spoken’, contemporary criticism could found the letters of the poem as a three-dimensional material in which senses operate complexly, beyond being a two-dimensional tool carrying meaning.
    Meanwhile, Lee Sang-hwa’s poetic moves also revealed the specificity of the poetic language of the 1920s, which had become flattened in a way that gradually reduced such sensuous materiality. With decreasing use of punctuation marks, including commas, and repeated changes of the use of spacing, Lee Sang-hwa appears to be simplifying his poetic language between what it should and should not reveal. Such changes remain as a matter of thought in relation to the poet’s subsequent actions, who practiced the language of poetry as an object to be ‘exhibited’ along with images of modern art. Although the period of his activity was not long and there is a lack of the data on his activities after 1927, Lee Sang-hwa’s trajectory which examined the specificity of poetic language as an active act of showing and as a static object to be seen, opens the door to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poetry in terms of the complex sensuous materiality of lett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보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