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후백제의 불교조각과 합천 죽고리 석조비로자나삼존상 (Buddhist Sculptures from Later Baekje and Stone Vairocana Triad from Hapcheo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4.10
28P 미리보기
후백제의 불교조각과 합천 죽고리 석조비로자나삼존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학 / 97호 / 131 ~ 158페이지
    · 저자명 : 정성권

    초록

    본문에서는 후백제 불교조각에 한 기존 학계의 연구성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완주와 남원지역에 후백 제시 조성된 불교조각이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완주지역 불상 중 봉림사지 삼존석불, 아리 석불좌 상, 음수리 석불좌상이 후삼국시 후백제에 의해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논의하다. 남원지역 후 백제 불상으로는 개령암지 마애불상군과 남원 신계리 마애여래좌상이 후백제 시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고 보았다. 이밖에 기존의 연구에서 후백제 불상으로 추정되었던 남원 호기리 마애여래좌상, 보성 유신리 마애 여래좌상, 나주 철천리 석불입상은 후백제 불상으로 보기 어렵다는 의견을 제시하다. 후백제 조성설이 제기된 불교조각을 검토한 후에는 합천 죽고리 석조비로자나삼존상에 하여 논의하다. 죽고리 석조삼존상의 양식분석과 완주 봉림사지 석조삼존상과의 비교를 통하여 합천 죽고리 석조비로자나삼존 상이 후백제 왕실의 후원으로 조성된 불상임을 논의하다. 죽고리 석조삼존상의 후백제 조성설을 뒷받침하기 위해 죽고리 협시보살상의 중요한 형식적 특징인 허리가 중국에서 등장하는 시기를 집중적으로 분석하다. 그 결과 보살상이 허리를 착용하는 시기는 五代 이후부터임을 밝혔다. 이를 통해 죽고리 삼존석불이 후백제 왕실의 후원을 받아 국제적 최신 유행이 반된 불상으로 조성 될 수 있었다는 점을 언급하다. 본 논문은 후백제 불상을 정리하며 새로운 후백제 불상의 존재를 제시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영어초록

    In this text, we looked at the existing academic research results on Buddhist sculptures of Later Baekj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Buddhist sculptures created during the Later Baekje period were erected in the Wanju and Namwon areas. It was discussed that among the Buddhist statues in the Wanju area, the Triad Stone Buddha at Bongnimsa Temple Site, the Seated Stone Buddha at Daeari, and the Seated Stone Buddha at Eumsu-ri were most likely created by Later Baekje during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As for the Post Baekje Buddhist statues in the Namwon area, it was considered highly likely that the rock-carved Buddhist statues at Gaeryeongamji and the rock-carved Buddha statue at Singye-ri, Namwon were created during the Later Baekje period. After reviewing the Buddhist sculptures for which the Later Baekje creation theory was proposed, the Hapcheon Jugori Stone Vairocana Triad Statue was discuss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yle of the Jukori Stone Triad and comparison with the Stone Triad at Bongnimsa Temple Site in Wanju, it was discussed that the Hapcheon Dukgori Stone Vairocana Triad was a Buddhist statue created with the support of the royal family of Later Baekje. In order to support the theory that the Chukgori stone triad was created in the Later Baekje period, the period when the wide belt, which is an important formal feature of the Chukgori Bodhisattva statue, appeared in China was intensively analyzed.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Bodhisattva statues began wearing wide belts after the Five Dynasties period, and it was mentioned that the Buddha Triad with a Three Rings was able to become a Buddha statue reflecting the latest international trends thanks to the support of the royal family of Later Baekje.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summarizes the Later Baekje Buddhist statues and suggests the existence of new Later Baekje Buddhist statu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