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울시 사회주택 리모델링 유형의 공간환경에 관한 연구 (An Analytical Study on the Spatial Environment of Social Housing Remodeling Types in Seoul)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2.04
14P 미리보기
서울시 사회주택 리모델링 유형의 공간환경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7권 / 3호 / 83 ~ 96페이지
    · 저자명 : 김소라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국가나 정부가 지원하는 시장가보다 저렴한 공공주택을 일컫는 사회주택은 서구에서는 오랜기간 통용되어 왔던 용어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비교적 근래에 도입된 정책적 용어이다. 서울시에서 2015년 조례를 통해 전국에서 가장 먼저 공급하기 시작한 사회주택은 기존의 정부주도와 단지형으로 공급해왔던 공공임대주택과는 달리 사회적 경제주체와 공공이 함께 하는 민관협력으로 건물의 동 단위 혹은 층 단위로도 공급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크다. 사회주택은 공공임대주택의 수혜에서 소외된 청년층을 주 입주자로 삼으며 경제적 공공성 측면에서도 의의를 가지나 소규모 필지단위 개발과 리모델링 위주로 공급되면서 기존 도시맥락을 훼손시키지 않는 다는 장점도 있다. 그간의 우리나라 사회주택에 관한 연구는 개념적 정의와 정책적이나 공급운영적 관점에서만 수행되었고 그 물리적 공간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도입된 지 7년차에 접어드는 현시점에서 그간 공급된 사회주택들, 특히 리모델링 유형을 중점적으로 그 공간환경을 분석하여 사회주택 공간연구의 기초자료 역할을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서울시의 모든 사회주택들이 등록되어 있는 서울시 사회주택 플랫폼상의 사회주택들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플랫폼상의 사회주택 분류유형과 평면, 건축물대장, 입주자 모집공고, 사회주택종합지원센터의 내부자료, 사회주택 운영자 홈페이지 등에 나와 있는 지표들을 분석하여 공간환경을 살펴본다. 빈집살리기, 토지임대부, 리모델링형 유형중에서도 비주거용도였던 건물들의 주거전환이 많은 리모델링형에 주목하며, 리모델링형 사회주택도 이전 건물의 유형에 따라 3가지로 분류하여 각각의 위치적 특성, 용도지구, 대지면적, 층수, 용도변경 직전후의 용도변화, 주택 위치 층, 건물 내 인접 용도 등 맥락적 기초 공간환경에 대해 분석한다. 이후 리모델링형 사회주택의 평면들을 분석하여 공간구성 특징에 따른 유형을 도출하여 그 특징을 규명한다. (결과) 리모델링형은 서울시 사회주택 유형들중 공급호수 측면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지역적으로도 신림동에 가장 많이 위치해 있다. 20개소의 리모델링형 사회주택을 분석하여 주택으로의 전환전 건물유형에 따라 크게 주택건물형, 고시촌 건물형, 일반근생형 건물로 나누고 각각의 공간맥락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평면 분석을 통하여 각각의 유형이 가지고 있는 특징들을 도출하였다. 일반 근생건물형이 공간적 형식에서 가장 큰 변화를 보이며 내부 구성 또한 기존 건물평면의 크기 비례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확인됐다. (결론) 리모델링형 사회주택은 사회주택 전환과정에서 수반되는 여러 태생적인 한계와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특히 일반근생형 사회주택은 주택의 위치층과 인접용도에 따라 주거로서의 안정성이 달라지며 원래 평면이 가지고 있는 기하학적 형태와 크기가 공용공간의 질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주거와 양립할 수 없는 용도의 건물 내 위치, 리모델링 전 원평면의 모양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주거유닛 평면과 공용공간 개발은 리모델링형 사회주택의 향후 과제가 될 것이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Social housing has been used for long time as the general term for public housing which is cheaper than the market price and supported by the government in the West But social housing in Korea is a recently introduced policy term b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hrough enacting ordinance in 2015. Unlike public rental housing, which the government supplies in the form of a complex, social housing is supplied in units of individual buildings or floors through public-private cooperation. So far, research on social housing in Korea has been conducted only in terms of conceptual definition, policies and operation. This study intends to serve as basic data for social housing spatial research by analyzing the spatial environment and physical context especially focusing on the remodeling type. (Method) All of Social housings registered in the Seoul social housing platform are the subject of this study. It examines the types of social housing on the platform, the floor plans, the building legister, the tenant recruitment notice, the internal data of the Social Housing Comprehensive Support Center, the social housing managing websites and etc. Among the three types of Seoul social housing, the vacant house restoration, land lease, and remodeling types, the latter is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Many conversions from the non-residential uses have been of this type. They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gain and analysed basic contextual environment including locational characteristics, zoning, site area, building height, before and after usage, and adjacent use in the building. The further analysis of floor plans with the compositional properties is followed and typological features are identified. (Results) Among the types of Seoul social housing, the remodeling type occupies the largest proportion in terms of number of units. By analyzing 20 remodeling-type social housings, they were categorized into residential building type, gosichon building type, and mixed-use building type based on the previous building use. The spatial and contextual relations of each group were examined. and each typ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plans. It was confirmed that the mixed-use building type showed the largest change in spatial form, and the internal composition was greatly affected by the size and proportionality of the existing building floor. (Conclusions) Remodeling-type social housing has several inherent limitations involved in the process of social housing conversion. It shows several implications, such as comfortness as a dwelling based on the floor location and neighboring use withine the building and the morphology of a common space influenced by the arrangement of residential units in the geometric shape of the original plan.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for site selection and planning in the promotion of remodeling-type social housing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