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한국여성학의 도전과 새로운 실천 (Challenges and New Approaches for the Korean Women's Studies Reboot)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2.03
18P 미리보기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한국여성학의 도전과 새로운 실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문사회과학회
    · 수록지 정보 : 현상과 인식 / 46권 / 1호 / 77 ~ 94페이지
    · 저자명 : 김영선

    초록

    대학과 사회, 이론과 실천의 벌어지는 격차에 대한 연구자들의 문제의식에는 연구의 제품화, 규격화되는 학술 논문, 성찰을 추구하는 대학 내부의 다양한 목소리가 발화되지 못하는 위계 구조 등이 흔히 거론되곤 한다. 혐오·차별의 반(反)페미니즘 현상이라는 ‘백래쉬’(backlash) 및 대학 제도의 탈제도화의 이중의 곤경 속에서, ‘페미니즘 리부트’(feminism reboot) 이후, 한국여성학과 여성운동은 어떠한 자기 갱신을 만들어 왔으며, 또 만들어가야만 하는가? 지난 2015년을 전후하여 여성혐오에 대한 집단 저항으로 시작된 여성들의 집합적 행동이 그 다음해 강남역 10번 출구 여성살해사건과 미투 운동으로 인하여 새로운 전환의 국면을 맞았다. ‘페미니즘 리부트’, 이른바 페미니즘의 대중화는 과연 한국여성학의 리부트인가? 이에 답하기 위하여, 이 글은 대학을 중심으로 한 한국여성학 제도화의 궤적 및 2010년도 전후, ‘여성학의 위기’ 담론화 시기에 집중적으로 수행된 당대의 진단과 전망을 현재의 맥락에서 교차적으로 재점검하면서 다음의 문제를 다룬다. 첫째, 대학 안에서 수행되어 온 제도화된 여성학 교양/교육의 위축과 페미니즘의 대중화라는 모순 현상을 지속케 하고 있는 구조화된 구조는 무엇인가? 둘째, 국가주도의 관리기구 및 대학 위기의 담론화, 이에 따른 구조조정 등을 통해 빠르게 변모하는 지식장의 다중적 압력 속에서 차세대/여성학 연구자의 재생산 및 이론과 실천의 합일이라는 여성학 고유의 비판적 학문 정체성을 어떻게 지켜낼 수 있는가? 마지막으로, 한국여성학이 도전받고 있는 이러한 이중의 과제 해결에 요청되는 윤리적 태도와 공통 감각, 세대의 경계를 넘어서는 연대의 실천 조건은 대학의 여성학 교육을 매개로 어떻게 구성가능한가?

    영어초록

    Collective actions by women, which emerged around 2015 as resistance to misogyny, entered a new phase the following year with the murder of a woman at Gangnam Station, Exit 10. But did the ‘feminism reboot’ really lead to a reboot of Korean Women’s Studies? To answer this question, the present study re-examines, cross-relationally and from the present-day contex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Women's Studies at Korean universities, and the intensive diagnoses carried out and prospects hoped for circa 2010 during the 'crisis of women's studies' discourse. The following issues are addressed: First, what is the 'structured structure' that continues the paradoxical phenomena of the atrophy of institutionalized Women's Education at Korean universities on the one hand, and the “feminist boom”, that is, the “popularization of feminism”, on the other? Second, with Women’s Studies under pressure from the current knowledge field changing rapidly under the influence of state-led management organizations, how can the sustainability of its knowledge production structures and its unique academic identity, i.e., its unity of theory and practice, be reconstituted through Women's Studies education in the context of misogyny and discrimination in universities? Lastly, how can the conditions required to solve this double task of Women's Studies, an ethical attitude, a shared sensibility, and solidarity that transcends generational boundaries— be construc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상과 인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