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주 백전․예산리 유적 목관묘의 축조와 매장방식 (The Construction and Burial Methods of Baekjeon and Yesan-ri Wooden Gasket Tombs in Seongju)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4.09
33P 미리보기
성주 백전․예산리 유적 목관묘의 축조와 매장방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구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구사학 / 156권 / 1 ~ 33페이지
    · 저자명 : 이원태

    초록

    이 글은 원삼국시대 성주 백전‧예산리 유적 목관묘에 대해서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즉 목관묘의 구조를 정리하고 축조양상을 통한 매장방식을 의례과정에서 여러 차례 매납이 진행되는 부장품에 주목하였다.
    첫째, 백전‧예산리 유적 목관묘의 구조는 ①묘광 ②요갱 ③목관 ④충전토 ⑤실토(實土), ⑥봉토(목개)로 구성되어 있는데, 영남지역의 그것들과 큰 차이는 없으나 충전토가 없는 예가 간혹 확인되기도 해서 구조적 특이성을 보인다.
    둘째, 백전‧예산리 31호 목관묘의 구조적 특징을 통해 일련의 행위과정을 유추하여 축조양상과 매장방식을 유추하였다. 즉 묘광 내 함몰토의 양상과 유물출토상태 등을 종합하면 묘광 내부에는 요갱 설치 후 목관을 안치하고 충전과 실토(實土)는 하지 않고 빈 공간으로 두었다. 이후 목관 및 망자 안치와 함께 목관 내부와 측부(묘광 바닥), 상부에 유물을 부장한 후 묘광은 목개로 덮고 봉분을 축조하였다. 따라서 요갱을 파서 묘광을 완성한 다음의 의례→ 목관의 안치 후 의례→ 목관 내부와 측부(묘광 바닥)에 유물부장 과정의 의례→ 목관 상부에 유물부장 과정의 의례→ 봉분 축조의 의례 순으로 매장행위가 이뤄졌을 가능성이다.
    한편 백전․예산리 31호 목관묘는 다양한 칠기류, 금속류, 토기류, 석제품이 출토되었는데, 그 중 원통형칠기, 칠기두, 칠기완, 금동개궁모, 칠초철검, 검부속구, 호형대구 등으로 볼 때 영남지역 원삼국시대 목관묘 중에서도 1부류에 해당하여 당시 그 위상을 대변한다. 따라서 목관묘의 위계에 따라 의례과정이 간소화되거나 복잡화가 결정되는데, 상차림 또한 매장행위에서 중요한 기물 중 하나로 고려해야 한다.

    영어초록

    This passage discussed the Baekjeon and Yesan-ri wooden gasket tomb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of Yuan in Seongju, Yeongnam region from two main perspectives. In particular, it mainly focused on the structure of wooden gasket tombs and the layers of burial goods through the ritual processes.
    First, the structure of wooden gasket tombs in the Yeongnam region consists of ① burial pit (grave pit), ② wooden gasket, ③ backfill soil, ④ actual soil, and ⑤ mound soil (earth mound). In connection with this, the characteristics were discussed concerning the Baekjeon and Yesan-ri tombs. Specifically, while the structure of the Baekjeon and Yesan-ri wooden chamber tombs does not significantly differ from those in the Yeongnam region, there were some examples without backfill, indicating structural uniqueness.
    Second, after reviewing the construction patterns of wooden gasket tombs in the Yeongnam region, the burial method was inferred focusing on Tomb No. 31 in the Baekjeon and Yesan-ri sites. Based on the condition of the burial pit soil and the state of artifact excavation, it was deduced that after installing the burial pit, the wooden chamber was placed inside without backfilling or adding mound soil, leaving it as an empty space. After placing the deceased and wooden gasket, artifacts were placed inside the wooden gasket and around its sides (the floor of the burial pit), and on the upper part of the wooden chamber. Then, the burial pit was covered with mound soil to construct a mound. Therefore, the burial process likely followed the sequence: ritual of excavating the burial pit and completing the burial pit → placing the wooden gasket and conducting rituals → ritual of placing artifacts inside the wooden gasket and around its sides (the floor of the burial pit) → ritual of placing artifacts on the upper part of the wooden gasket → ritual of constructing the mound.
    Meanwhile, Tomb No. 31 in the Baekjeon and Yesan-ri sites contained a diverse array of artifacts, including lacquerware, metals, earthenware, and stonework Considering the cylindrical lacquerware, lacquered heads, lacquered bowls, bronze ornaments, iron swords with inlaid designs, sword fittings, and dagger-shaped ornaments, it represents a top-tier category among the wooden gasket tomb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Yeongnam region, representing the social status and significance of that era. Therefore, the ritual processes are determined to be simplified or complex based on the hierarchy of the wooden gasket tomb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구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