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전쟁기 라디오서사와 문제안의 [남북삼천리] (A Study on Radio Narratives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and “Nambuk Samcheolli” by Mun Je-A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3.11
33P 미리보기
한국전쟁기 라디오서사와 문제안의 [남북삼천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49호 / 123 ~ 155페이지
    · 저자명 : 최미진

    초록

    이 글은 한국전쟁기 라디오서사의 현황을 고찰하고, 그 실재로서 문제안의 종군기 『남북삼천리』를 새롭게 조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한국전쟁기 라디오방송은 대표적 이데올로기 국가기구로 프로파간다에 앞장선 매체였다. 혼전을 거듭한 전쟁 상황에서 KBS는 방송주권이 유엔군사령부의 심리전부로 이전되는 가운데 국방부 정훈국과 중층적 통제 속에서 운영되었다. 전시방송체제가 조직적으로 운영된 것은 1ㆍ4후퇴 이후며, 방송프로그램의 비중은 보도, 음악, 연예ㆍ오락 순이었다. 라디오서사는 여러 분야에 폭넓게 분포되어 있었으나 활성화되지 못했다. 당시 KBS의 자체제작 비중이 높지 않았고, 방송 담당층 또한 턱없이 부족했던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현존하는 방송자료뿐 아니라 문헌자료도 거의 부재하는 상황에서 문제안의 종군기 『남북삼천리』는 종군기자가 참여한 라디오서사의 면면을 잘 보여주었다.
    『남북삼천리』에는 32편의 종군기가 수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 한국전쟁기 라디오방송을 탔던 종군기는 10편이었다. 그의 종군기들은 사상 심리전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방편으로서 프로파간다의 감성전략을 보여주었다. 그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극적 기법을 활용하여 청취자와 동일화를 꾀하고 있었다. 라디오수필의 경우 사실적 체험 일부를 극화하여 공감대 형성에 조력함으로써 선전 효과에 기여하고 있었다. 이에 반해 라디오드라마는 빈번한 해설과 모호한 작중인물의 성격 등으로 극적 성격이 약화되어 프로파간다의 감성전략에 성공적이지 못했다. 둘째, 적과 동지의 구분에 감정적 재현방식을 적극 활용하여 청취자들에게 반공이데올로기를 규범화하여 내면화하고 있었다. 적은 악마 혹은 사물의 이미지로 격하되는 반면 국군은 용사로 격상되어 있었다. 이때 전자는 반공이데올로기를, 후자는 가족적 친밀감을 각각 범주화의 근저로 다르게 내세우고 있었다. 흥미로운 점은 ‘동지’인 유엔군, 특히 미국의 휴전논리와 남한의 휴전논리의 충돌이 시기별로 다르게 드러나 있었다는 것이다. 그것은 방송주권의 유무에 따라 KBS방송의 달라진 면면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했다. 그럼에도 문제안의 종군기들은 전쟁서사의 프로파간다 감성전략을 통해 적의 사기 저하와 아군의 승리를 위한 규범서 역할을 수행했다고 볼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explore radio narratives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and shed a light on Nambuk Samcheolli, a war narrative by Mun Je-An. Radio broadcasting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was one of the national ideological bodies that took the lead in spreading propaganda. Amidst the repeated fierce battles, KBS was operated under multiple controls of the Troop Orientation and Training Department of the Defence Ministry and the Psychological Warfare Department of the United Nations Command to which the broadcasting authority was transferred. Wartime broadcasting began to be systematically operated after the January–Fourth Retreat, and reporting, music, entertainment were among the top categories for broadcasting. Radio narratives were spread to many areas, but still not actively broadcast. At that time, the proportion of KBS' own production was not high and the number of producers and staff was not enough. With only few broadcasting records and reference available today, Nambuk Samcheolli, a war journal written by Mun Je-An, displayed many aspects of radio narratives by a war correspondent. Ten war narratives out of the thirteen works in Nambuk Samcheolli were broadcast during the Korean War, and his war narratives displayed a sensibility strategy while serving as a medium for psychological warfare.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was that he adopted a dramatic technique to identify with listeners. Similarly, radio essays contributed to the propaganda campaign by dramatizing some of the real experiences to sympathize with the listeners. In contrast, radio dramas were not very successful in implementing the propaganda strategy of appealing to the emotions as their dramatic characteristics were weakened with frequent commentaries and ambiguous personality of the characters. Second, emotional reproduction of enemies and comrades was actively adopted to make anti-communism a standard and internalize it among the listeners. Enemies were degraded as an evil or an object while national armed forces were praised as brave soldiers. The foundations for categorization were also different as the former was anti-communism and the latter was a sense of closeness among family members. It is interesting to see that the conflict between South Korea and its comrades of the UN Forces, especially the United States, over the logic for armistice was described differently by time. This means that KBS broadcasting continued to change depending on whether it had the control over broadcasting. It can be concluded that emotional propaganda strategy adopted in Mun Je-An's war narratives played a role in demoralizing the enemies while praying for a victory of the all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