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松菊里 54地區 高床建物의 形式 推論 (Ⅰ) (Tentative Structural Reconstruction of a Building with an Elevated Floor at Songguk-ri Site (Ⅰ))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0.10
35P 미리보기
松菊里 54地區 高床建物의 形式 推論 (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서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서고고학 / 23호 / 180 ~ 214페이지
    · 저자명 : 김경택, 黃鍾國

    초록

    본고에서는 부여 송국리 유적 제 54지구에서 확인된 굴립주 건물 (또는 고상건물)의 구조 복원을 시도하였다. 먼저 54지구에서 확인된 고상건물(지)의 성격을 규정하였고, 발굴된 도구의 기능 및 효율성과 당시의 건축 부재 가공 기술에 대한 추론을 근거로 접합부의 제 측면들을 추정하였다. 또 추정된 접합부를 적용하여 송국리 54지구 고상건물의 건축형식을 추정하였다.
    출토된 석기들과 당시의 제반 양상을 고려해 보았을 때, 이 고상건물을 축조하고 사용했던 당시 송국리 주민들이 활용했을 것으로 판단되는 건축기술로는 목재를 섬유 직각방향으로 자르는 것, 잘려진 마구리 부분을 매끄럽게 다듬는 것, 마구리 부분에 홈을 내는 것, 목재를 적당히 건조해서 사용하는 것, 판재를 가공하는 것, 접합부의 견고성을 유지하기 위해 끈을 사용하는 것과 흙과 잔가지를 사용하는 것 등이 있겠다. 단언할 수는 없지만, 당시의 목재 가공도구의 수준을 고려했을 때, 목재에 직각의 깊은 홈을 내거나 목재를 관통하는 홈을 가공하는 수준의 건축기술은 없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추론을 근거로, 목재 가공능력의 수준에 따라 접합부 형식을 약한 접합부와 강한 접합부로 구분하였다. 당시의 목재 가공 기술을 낮은 수준으로 보고 접합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끈이 필요했다는 가정 하에서 ‘약한 접합부’가 설정되었으며, 당시의 목재 가공 기술을 보다 높게 보고 끈 없이 접합부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전제 하에서 ‘강한 접합부’가 설정되었다.
    가구법의 추론은 가구 형식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따라 순차적인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우선적으로 접합부의 튼튼함의 정도에 따라 고상건물의 규모, 부재의 종류, 가구법 등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약한 접합부’로 구성된 가구법과 ‘강한 접합부’로 구성된 가구법이 존재할 수 있었다는 측면을 가장 상위의 전제조건으로 설정하였고, 다음으로 기둥선 외곽으로 평면을 확장했을 가능성을 설정하였다. 이에 따른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3가지 형식의 ‘약한 접합부’ 적용 가구법과 2가지 형식의 ‘강한 접합부’ 적용 가구법을 제시하였고, 각 가구법에 적용되는 중요 접합부 형식들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 reasoning of structure of the building with an elevated floor unearthed at District No. 54 at Songguk-ri residential site in 2008. After defining the nature of the elevated building, we thought over function and effectiveness of available woodworking tools, mostly lithic implements, and potential woodworking capability of the Korean Bronze Age based on unearthed artifacts from the site. Based on the available woodworking tools and technology, the detail of joint was reasoned. Finally the whole architectural structure of the elevated building was reasoned with applying the joint.
    Considering available archaeological data and a variety of circumstances, following architectural technologies may have been available in the middle Bronze Age when Songguk-ri population constructed the lifted floor buildings.
    · Cutting a log at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fiber · Smoothly trimming end pieces · Making grooves at the end pieces · Appropriately seasoning wood before using · Making a log to a wood panel · Using cords for maintain stiffness of the joint · Using earth and twigs

    While it is still uncertain, on the other hand, the Songguk-ri people might not have more advanced woodworking technologies such as making a deep sharp groove with a right angle on a timber and making a penetrated hole on a timber. Based on the reasoning, joint type of the elevated building is divided into a Weak joint Type and a Strong joint Type to the level of woodworking technology. While the weak joint type with low-level woodworking technology might inevitably need cords to maintain stiffness of the joint, the strong joint type with more advanced woodworking technology might maintain the stiffness without help of cords.
    Because the degree of stiffness of the joint may influence building size, kind of architectural elements, and connecting method, connecting methods of each joint type are considered to be the first premise. In addition, a possibility of floor extension outside column-lines is considered.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potential (but not all) variables, 3 connecting methods of weak type and 2 connecting methods of strong type are sugges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