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꾸뛰리에 찰스제임스의 패션 조형창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fashion shape creation of couturier Charles James)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3.02
11P 미리보기
꾸뛰리에 찰스제임스의 패션 조형창출 사례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14권 / 1호 / 1 ~ 11페이지
    · 저자명 : 강병석, 김은향

    초록

    20세기, 미국의 유명 꾸뛰리에인 찰스제임스(Charles James, 1906~1978)는 의복구성의 대가로 알려져 있다. 찰스제임스는 폴 푸아레와 크리스챤 디올(Christian Dior) 등 동시대의 대표적인 의상디자이너에게 감동과 영감을 주며 패션의 발달에 크게 기여한 인물이다. 1937년 제임스의 첫 번째 파리쇼를 접한 폴푸아레(Paul poiret) 는 자신이 ‘색채’로 이룬 일을 제임스는 ‘재봉가위’로 이루어낸다고 칭송하며 그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였으며, 크리스챤 디올은 그의 뉴룩(New look) 을 찰스제임스에게서 영감을 받았다고 하였다. 2010년, 디올의 수석 디자이너였던 존갈리아노(John Galiano) 는 그해 S/S 컬렉션의 영감을 찰스제임스의 작품에서 받았다. 이처럼 찰스제임스의 디자인에 대한 가치는 지속적으로 평가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그에 대한 인지도가 낮고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찰스제임스 드레스 작품의 표현양식을 의복구성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창작조형 창출 방법을 살펴봄으로써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창의적 디자인과 작품제작방법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한 작품 분석의 대상은 찰스제임스의 전성기(1940년대 중반~ 1958년)의 것으로서 의복구성적 관점에서 분석이 가능한 드레스로 정하였다. 자료는 찰스제임스의 작품집과 그의 작품이 소장 되어있는 박물관의 자료를 주자료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도출 된 찰스제임스 드레스의 조형창출 사례는 새로운 바디 모형 창출을 통한 다각화된 3차원적 입체재단의 혁신, 자연에서 얻은 모티브의 형상화, 색채를 활용한 구성효과의 극대화 등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의복구성의 거장인 찰스제임스의 작품을 통하여 창의적 의상제작 방법의 가치를 재조명 하는 데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영어초록

    A famous American couturier Charles James(1906~1978) of the 20th century is known as a master of clothing construction. Charles James contributed greatly to the fashion development, touching and inspiring his contemporary representative fashion designers such as Paul Poiret and Christian Dior. Paul Poiret, who saw the first Paris show of James in 1937, put a high valuation on him complimenting that the achievements James made with a pair of sewing scissors was what he achieved with colors. And Christian Dior said his new look had been inspired by Charles James. Also in 2010, John Galliano, a head designer of Dior, said the S/S collection of the year had been inspired by the work of Charles James. Like this, the design of Charles James continues to be highly valued, but in Korea, his name recognition is low and there are not much the study on him. This study aims at seeking for creative solution of design development and the design production method for creating high added value by analyzing the mode of expression for James' dress from the clothing construction perspective and examining the case of shape creation and its value. The object of analysis for the study is one of the dresses in his hey day(mid 1940's ~ 1958) and it was selected because it could be analyzed from the clothing construction perspective. And main research materials are his collection and other materials in the museum which has his works. The conclusions of the case study of dress form creation of Charles James are listed below; creation of new body form, innovation of diversified 3-dimensional draping, formation of motif from nature, and maximization of color-used composition effect. I want to shed new light on the worth of new clothing production method through the works of Charles James, a master of clothing constru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