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선학리 지게놀이의 초등학교 무용교육 활용방안 (Dance Apply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Education* (Use of Sunhak-ly Gigae pla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1.04
28P 미리보기
선학리 지게놀이의 초등학교 무용교육 활용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예술과 과학기술 / 7권 / 1호 / 31 ~ 58페이지
    · 저자명 : 박숙자

    초록

    본 연구는 사라져가는 우리의 전통놀이을 보존 발전 전승 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본인이 가까이서 접해보고 친숙한 선학리 지게놀이를 통해 체험 중심의 교수 학습 자료의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선학리 지게놀이를 지역의 초등학교 어린이들에게 체험 중심의 교육프로그램으로 활용함으로써 우리고유의 리듬,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몸으로 체득할 수 있는 장이 될 것이며 또한 이들에게 지역의 자부심과 지역 문화를 보존하고 더 나아가 한국인의 정체성 확립의 기회를 제공하고자한다. 지게놀이를 통한 초등학교 무용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하여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는 물론 문화재관리국과 도청의 문화예술과 등에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녹음, 비디오 촬영, 사진촬영, 제보자인터뷰, 장단 채보 등을 통한 현장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선학리 지게놀이의 구성 및 놀이내용, 장단의 교육적 할용 방안을 고찰하여 연간 수업계획안을 제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목적과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장단을 만들어 내는 악기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북, 장고, 꽹가리, 징, 외에 입과 지게라는 기구를 가지고 다양한 소리 장단의 변화를 만들어내고 거기서 울리는 소리의 느낌을 움직임으로 표현하고 이를 통해 우리의 장단을 몸으로 이해하는데 좋은 자료가 될 수 있음을 알았다.
    2. 지게놀이 구성 마다 가지는 내용을 이야기로 만들고 구음이나 노래 소리를 통해 느껴지는 감정을 즉흥적으로 표현하고 지게 및 작대기, 쥘목 등 여러 기구를 사용하여 다양한 리듬을 만들어 내고 기구의 특성을 살려 여러 모양의 형태를 표현해보고 그에 적합한 움직임을 만들어 볼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된다.
    3. 초등학교에서 우리의 전통과 문화를 이해하고 애호하는 태도 육성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러한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에 숨겨있는 향토예술을 수업현장 활용을 통하여 직접체험에 참여 하게하여 두드리고, 뛰어보고, 다루어 봄으로써 더 나은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preserve vanishing traditions of our traditional games by allowing individuals to encounter the traditional games closely and more specifically, provide educational assistance through Sunhak-ly Gigae play that is centered on actual experiences. Through providing Sunhak-ly Gigae play as an experience-based educational program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y will be able to learn traditional rhythms and various moves. Furthermore, this program will provid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take pride in own regional cultures and establish their identity as Koreans. In order to traditional dance education within elementary schools through gigae play, sufficient amounts of research has been done along with collecting data from the Office of Cultural Properties and the provincial government building. Field survey methods were used to collect data which included recording, video taping, taking pictures, interviewing, rhythm transcription and so on. Based on the data collected, annual class schedule has been proposed which suggests compositions and contents of Sunhak-ly program and educational uses of rhythm.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se research purposes.
    1. Instead of instruments that create rhythms such as drums, Jango, kkwaenggari, gongs that are usually played, mouth and implement can be used to make rhythms. These replacements can create a variety of sounds that can be further expressed through body movements which will help traditional rhythms be understood better 2. Making each scene into stories, expressing feelings aroused by gooum or sounds impromptu, using various kinds of instruments like Gigae, sticks, Gilmook(twig) to make rhythms and displaying various traits of these different instruments when making body moves are suggested.
    3. The goal of this program is to enab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understand and protection our traditions and cultures. In achieving this goal effectively, the program can bring positive outcomes by allowing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experiencing local arts in many reg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과 과학기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