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리학 인성론으로 본 포스트젠더리즘 (Post-Genderism in the Theory of Human Nature of Neo-Confucianism)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0.05
25P 미리보기
성리학 인성론으로 본 포스트젠더리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집 / 61권 / 97 ~ 121페이지
    · 저자명 : 최복희

    초록

    필자는 포스트젠더리즘에 대한 동아시아 전통철학인 성리학적 성찰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성리학적 성찰은 포스트휴먼 시대의 성리학적 인간관에 대한 재검토와 함께, 포스트젠더에 대한 동아시아 관점의 연구를 시작한다는 의미를 모두 갖고 있다. 포스트젠더리즘은 과학기술이 성의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역할에 근본적 영향을 끼침으로써 성의 이분법적 구도로부터의 우리를 해방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기술을 통해 생물학적 성과 심리적 성으로부터 자유로워지고, 사회적 성으로부터도 완전히 해방될 것을 목표로 한다. 그 주요한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트젠더리즘은 근대적 젠더 정체성으로부터의 탈피가 젠더 문제를 해결하는 출발점이라고 지적한다. 둘째, 다양한 포스트젠더리스트들의 주장들에서 발견되는 공통점 중 하나는 바로 젠더의 이분법적 구도를 부정한다는 점이다. 셋째, 포스트젠더의 개념 자체가 비결정적이라는 점 또한 하나의 특징이다. 포스트젠더의 비결정성은 포스트젠더가 한 인간으로서도 젠더 정체성으로서도 고정된 본질을 가지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특징들로부터 필자는 탈신체화를 통한 젠더 해방을 주장한 포스트젠더리즘의 신체성 개념을 중심으로 성리학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우선 포스트젠더리즘에서 말하는 근대적 젠더 정체성으로부터의 탈피, 젠더 중립성, 양항 젠더로부터의 해방의 개념은 그 자체로도 불명확할 뿐만 아니라 학자마다 다르게 제시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그리고 ‘젠더 없는’ 혹은 ‘젠더 중림’에 대하여 두 가지 면에서 고찰했다. 첫째, 젠더의 임의성, 가변성, 우연성, 대체가능성을 뜻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즉 근대적 젠더 개념으로부터의 해방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성리학에서 인간을 도덕적 문화적 프레임으로 해석하는 관점과 유사한 담론 구조를 가지고 있음에 착안하여 고찰했다. 둘째, 사이보그화, 즉 기계화에 대한 포스트젠더리즘의 주장에 대해서는, 성리학의 존재론에서 신체는 마음에 종속되어 있는 관계가 아니고 마음과 신체는 동등한 관계이며 하나의 유기체를 구성하는 동질적인 요소라는 관점에서 고찰했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try to reflect on postgenderism in terms of neo-confucianism, an East Asian traditional philosophy. This means starting a study of East Asian perspectives on postgender, with a reconsideration of the confucian view of humanity in the posthuman era. Post-genderism argues that science and technology can free us from the dichotomy of sex. Postgenderists aim to be free from biological and psychological sex and to be completely free from sociality of gender through technology. The main argument is as follows.
    First, post-genderism points out that the departure from modern gender identity is the starting point for solving gender problems. Second, one of the commonalities found in the various claims of postgenderists is that they negate the dichotomy of gender. Third, the concept of postgender itself is nondeterministic. The indeterminacy of the postgender concept means that postgender does not have a fixed nature, neither as a person nor as a gender identity.
    I attempt to consider critically postgenderism, which insisted on the liberation of gender through de-bodyization, centering on the concept of the body. First of all, I point out that the concept of breakaway from modern gender identity, gender neutrality, and liberation from double-gendered gender in postgenderism is not only unclear in itself, but also is presented differently by scholars. And there are two ways to think about genderless or gender-neutral. First, it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gender randomness, variability, contingency, and replaceability. In other words, it means liberation from the concept of modern gender. This study focused on the discourse structure similar to the point of view of human beings as a moral and cultural frame in neo-confucianism. Second, with regard to cyborgization, or post-genderism's claim to mechanization, the body in the ontology of neo-confucianism is not a subordinate relationship to the mind, but the mind and the body are equal relationships and homogeneous elements that constitute an orga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