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각장애학교 체육프로그램의 재미거리 분석 (An Analysis of Fun Distance of Visually Impaired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9.04
12P 미리보기
시각장애학교 체육프로그램의 재미거리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13권 / 3호 / 181 ~ 192페이지
    · 저자명 : 심지훈, 이승찬, 허문영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장애학교 고등학생들이 체육프로그램에서 느끼는 재미거리를 살펴보는데 있다.
    전국 시각장애학교 12개 중 10개 시각장애학교의 고등학생(남학생 122명과 여학생 10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개방형 설문지이며 질문 내용은“체육프로그램에서 어떤 점이 가장 재미있는지 세 가지만 간략히 적으세요”로 연구대상자의 생각을 보다 자유롭게 밝힐 수있는 장점이 있다.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시각장애학교 남자고등학생들은 유능성 요소(통제-자기) 영역에서는‘체력을 기를 수 있어서’, 유능성 요소(통제-타인) 영역에서는‘선생님이 칭찬해서’, 움직임 관련요소(경쟁) 영역에서는‘골볼’, 비수행 요소(상황, 환경) 영역에서는‘자유시간 때문에’의 반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시각장애학교 여자고등학생들은 유능성 요소(통제-자기) 영역에서는‘스트레스가 풀려서’, 유능성 요소(통제-타인) 영역에서는 반응을 보이지 않았고, 움직임 관련요소(경쟁) 영역에서는‘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어서’, 비수행 요소(상황, 환경) 영역에서는‘자유시간 때문에’의 반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시각장애학교 성별 간 고등학생들의 체육프로그램 재미거리 비교분석에서 눈여겨볼 점은 유능성 요소(통제-자기) 영역에서는 남학생은 건강과 체력증진에 관심을, 여학생은 스트레스를 풀 수 있는수단으로 생각하며, 유능성 요소(통제-타인) 영역에서는 남녀학생 모두 낮은 반응으로 이는 남녀학생 모두 체육프로그램에서 외적인 것보다 내적인 것을 추구하고 있었다. 움직임 관련요소(경쟁) 영역에서는 남학생은 특정종목, 여학생은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는 기회에 높은 반응을 보였으며, 비수행 요소(상황, 환경)에서는 남학생, 여학생 모두 자유시간 때문에체육수업이 재미있다고 반응하였다.
    앞으로 더 많은 학교 체육프로그램에서의 재미거리를 찾아내려는 연구를 통해 체육프로그램에서 학생들이 느끼는 재미거리를 연구함으로써 학생들의수업 참여를 극대화하고 과제에 대한 동기 수준을높일 수 있는 실제적인 방안을 탐색하고 교육과정의실행적 측면, 즉 체육교육이 제공하는 교육적 가치가교사와 학생의 사고 및 행동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내용으로 구성되어 체육교육 현장에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내용과 운영방법이 제시될 수 있도록해야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fun that high school students from blind schools feel in sports programs. A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10 out of 12 blind schools nationwide, including 122 male and 102 female students. Research tools are open questionnaires and questions are as follows. - Questionnaire: "Write down three of the most interesting things about sports programs.“ The data analysis was done with frequency analysi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male high school students at blind schools are able to build up their physical strength in the area of competent factors (control-self) (23, 21.5%), in the area of competent factors (7, 77.8%) and in the area of motion-related factors (competition) (24, 15.1%), and in the area of non-execution factors (26, 37.7%), Second, high school girls with visual impairments did not respond in the areas of proficiency (control-self) because of stress release (25, 26.6%), in the areas of control-tain), in the areas of movement (competition) because they were able to do various exercises (22, 15.7%), and in the areas of non-watering (environmental) (18, 37.5%). Third, in the sports program comparative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between genders of blind schools, boys are interested in health and physical fitness in the field of competent factors (control-self) and girls are considered to be a means of relieving stress.
    In the field of competent factors (control-others), boys and girls can react to a variety of sports opportunities. In the future, by studying the fun of students in the physical education program through research to find out more fun in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 we will explore practical ways to maximize student participation and increase motivation level The educational aspect of the process, that is, the educational value provided by the physical education, should be composed of content that can change the thinking and behavior of the teacher and the student so that the program contents and operation meth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