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산 소월리 목간의 서예사적 고찰 (A Calligraphic Study of a Wooden Tablet from Silla Excavated at Sowol-ri, Gyeongsan-si)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1.08
32P 미리보기
경산 소월리 목간의 서예사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 수록지 정보 : 동서인문 / 16호 / 129 ~ 160페이지
    · 저자명 : 정현숙

    초록

    경상북도 경산시 소월리 유적에서 출토된 1점의 6세기 신라 목간은 이전에 출토된 신라 목간들과는 달리 중간이 휘어진 막대형인 점이 특이하다. 목간의 길이는 74.2cm로 현전하는 한국 목간 가운데 가장 길다. 이 글은 이 목간 글씨의 서예적 면모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사면이 손질된 오면에 적힌 약 100자의 묵서를 분류, 분석하고 이전에 출토된 동시기 다른 신라 목간 글씨와의 비교를 시도했다.
    목간 4, 5면 하부에 몇 자의 습서가 있지만, 내용으로 보아 문서로 여기는 소월리목간은 초서 필의가 강한 행서로 쓰였다. 주로 해서 필의가 강한 행서로 쓰인 이전의 동시기 신라 목간 글씨와는 분위기가 사뭇 다르다. 그리고 부분적으로 해서, 예서, 전서의 필법으로 쓰인 글자들도 있어 다양한 서체가 융합되어 있다. 목간의 길이가 길어 세로 서사 공간이 넉넉하고, 자형은 자연스럽게 장방형이 주를 이룬다. 글자 크기와 길이에 변화가 많고, 운필은 노련하고 속도감이 있다. 필획은 노봉과 장봉을 혼용하고, 필세도 앙·평·부세를 임의로 구사했다. 전체적으로 글씨가 유려하면서 꾸밈이 없고, 자유분방하면서 편안하다.
    서자는 장형 목간에 자신의 실력을 유감없이 발휘했고, 이를 통해 신라의 서예가 상당한 경지에 이르렀음을 알 수 있다. 신라 목간 가운데 행초 위주인 첩의 성격을 가장 많이 띠고 있는 소월리목간 글씨는 6세기 신라에서 행서와 초서가 상용되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비록 1점이지만 목간의 묵서가 초서 필의가 강한 행서로 쓰인 첫 신라 글씨라는 점에서 그 서예사적 의의는 상당히 크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alligraphic script and style of a wooden tablet from 6th-century Silla that has been excavated at Sowol-ri, Gyeongsan-si. There are about 100 characters written on the five sides of the tablet. By analyzing it in depth and comparing it with other contemporary wooden tablets from Silla, it has been possible to establish its calligraphic characteristics. The table under study is the longest wooden tablet in the history of Korean calligraphy. Although the upper part was broken, it is as long as 74.2 cm, which means that the writing space is more than sufficient.
    Regardless of the characters written in the lower part of sides 4 and 5 for practice, the content suggests that it is an official document, which was mainly written in the running script with the brush touch of the cursive script. It is different from other wooden tablets of Silla, which are written in the running script with the brush touch of the regular script. The brush movement is skillful and fast and the size of the characters varies. There are both apparent and hidden brush strokes, which may go up, horizontally and down. Overall, the writing is smooth and powerful as well as comfortable and freewheeling.
    The Sowol-ri Wooden Tablet shows that the calligraphy in Silla had reached a considerable level of development by the 6th century. Among all the wooden tablets from Silla, it is the only one that displays the characteristic of running and cursive scripts, showing that the two types of writing were widely used in Silla at that time. Its calligraphic value is priceless as it is the first tablet unearthed which was written in the running script with the brush touch of the cursive script in the history of Silla calligraph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인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