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리쾨르의 윤리학에서 살펴본 자기성과 타자의 문제 ― 리쾨르의 아리스토텔레스와 칸트의 해석을 중심으로 (L'ipsité et la question de l'autre examinée a partir de l'ethique de Ricoeur ― autour de l’interprétation ricoeurienne d'Aristote et de Kant)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2.06
32P 미리보기
리쾨르의 윤리학에서 살펴본 자기성과 타자의 문제 ― 리쾨르의 아리스토텔레스와 칸트의 해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철학 / 59호 / 187 ~ 218페이지
    · 저자명 : 손영창

    초록

    본 논문에서 필자는 주체와 타자의 문제를 리쾨르 윤리학의 자기성과 상호성 관점을 통해 해명하고자 한다. 리쾨르는 주체의 죽음을 알리는 현대 철학자들에 반대하며, 주체의 복권을 주장한다. 그런데 그가 주장하는 주체는 더 이상 고전적인 의미의 유아론적인 주체가 아니라 타자를 필요로 하고 그의 인정을 요구하는 주체이다. 역으로 타자 또한 레비나스의 절대적 타자가 아니라 자기성을 가진 타자이다. 그러기에 타자성과 주체성은 완전히 구별되는 것이 아니라 자기로 존재할 수 있는 자가 진정한 의미의 타자이며 또한 주체이다. 이점에서 리쾨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적 전통을 따른다. 즉 자기로 있을 수 있는 자는 자신의 삶을 좋은 삶이라는 목표를 정해서 실천할 수 있는 자이다. 그러기에 주체와 타자의 관계는 전체성과 외재성이 아니라 상호성으로 규정된다. 이와 함께 리쾨르는 자신의 윤리학에 칸트의 윤리학에서 규범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이는 행위가 갖는 수동성과 능동성의 양가적 성격으로 인해 타자는 폭력과 지배에 노출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주체는 언제나 도덕적 규범에 의해서 통제되어야 한다. 이런 규범과 행복한 삶의 목표는 필자가 볼 때, 우정론에서 일정정도 종합될 수 있는 것 같다. 즉 타자와 주체 공히 자기성을 가지며, 동시에 상호성에 기반하기에 상호간에 행복한 삶을 추구하려는 욕망이 있다는 점에서 공동의 윤리의 한 단초를 가늠해 볼 수 있다.

    영어초록

    Dans cet article, je tente d'éclairer la question de la subjectivité et l'autre dans le cadre de l'ipsité et de la réciprocite chez Ricoeur. Il trouve une possibilité de restaurer la nouvele figure de la subjectivité après la mort du suject que les philosophes contemporains proclaiment. Or la subjectivité que Ricoeur prétend, ce n'est pas la subjectivité égologique, mais celle qui est ouverte sur l'autre et lui appelle et le reconnâ̂it. Par contre. l'autre lui-mê̂me ne demeure plus dans la séparation absolu lévinassienne, mais il porte sa propre ipséité.
    Ainsi, l'autre et le sujet ne sont pas absolument séparés mais sont liés dans le concept d'ipséité. Sur ce point, Ricoeur se trouve dans la traditon de l'éthique aristotélicienne. Autrement dit, c'est l'ê̂tre soi-mê̂me qui est capable de se donner pour visée ethique d'organiser la bonne vie et d'exercer la praxis afin d'accomplir sa visée. Par conséquent, la relation du sujet avec l'autre est caractérisée non par l'extériorité, mais par la réciprocité. En mê̂me temps, Ricoeur met en avant l'éthique restrictive de Kant, parce qu'en raison de la double détermination de l'action(activité et passivité), l'autre est obligé de se laisser exposé à la violence. Ainsi, il faut que le sujet puisse être controlé sous la tutelle de la loi morale. A ma connaissance, deux tendance ethqiue pourrait être synthétisées dans la théorie de Philia aristotélicienne. Autremen dit, le sujet et l'autre deux, appuyés sur l'ipséité peuvent avoir une éthqiue de la réciprocité, au point qu'ils veulent avoir pour visée de porter de façon réciproque sur une vie bon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