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울산 천전리 서석 암각화의 용 (Dragons on Cheonjeon-ri Petroglyphs in Ulsa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5.03
29P 미리보기
울산 천전리 서석 암각화의 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77호 / 77 ~ 105페이지
    · 저자명 : 전호태

    초록

    천전리 서석은 선사시대부터 성스러운 힘이 깃든 곳으로 인식되었다. 천전리 서석에는 선사시대부터 역사시대에 이르기까지 오랜 기간 성스러운 힘에 대한 인간의 인식에서 비롯된 주술적 새김의 흔적이 남아 있다. 삼국시대 및 통일기 신라의 왕족, 귀족, 승려들이 이 바위를 찾아 저들이 이곳에 다녀갔다는 사실을 기록이나 그림으로 바위에 새겼다. 서석 주암면 아래쪽에 남아 있는 다양한 종류의 그림과 길고 짧은 여러 형식의 명문들은 신라인이 직접 남겼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높이 부여할 수 있다.
    천전리 서석 주암면 하부에 새겨진 용들은 신라의 유적, 유물에 등장하는 용과 형태상 공유하는 부분이 많다. 용1은 천마총 출토 금동제합에 장식된 용과 매우 닮았으며 용2는 경주에서 출토된 여러 점의 장식문호 및 일본 교토 출토 하니와에 새겨진 용과도 유사한 부분을 지니고 있다. 용4는 경주 출토 장식문호에 선 새김 된 용의 특징도 일부 지녔으며 고구려 고분벽화의 청룡과 비슷한 묘사기법이 적용되었음을 보여주는 부분도 있다.
    신라에서 용은 수신이자, 왕과 국가, 불교의 수호자로 인식되어 그와 관련된 설화와고사에 자주 등장한다. 신라인의 용에 대한 인식이 담긴 설화, 고사는 유적, 유물로 형상화되기도 하는데, 경주 출토 장식문호 및 토기 부착 토우도 이러한 의도의 결과물이라고할 수 있다. 경주 출토 장식문호 가운데에는 용의 역할이 중시된 용과 사람, 짐승들의 장식 사례들을 발견할 수 있다. 천전리 서석에 새겨진 용도 용이 중심이 된 설화, 고사의형상화 과정에 등장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영어초록

    From the prehistoric times, Cheonjeon-ri Seoseok was seen as a site of sacredpower. In the site remain many traces of ritualistic engraving from human understandingof sacred power from prehistoric to historic times. Royals, nobles andmonks from Three Kingdoms to Unified period Silla looked for this rock and engravedthe record of their visit in text or images. Various images and texts, shortand long, that remain on the main surface of Seoseok carry great historical meaningand value as records directly engraved by Silla people.
    The dragons engraved on the lower part of the Cheonjeon-ri Seoseok mainsurface share many formal characteristics with dragons that appear in Silla sites andartifacts. Dragon 1 is very similar to the dragon decorating Gilt bronze bowl excavatedfrom Cheonmachong in Gyeongju while dragon 2 share some features withdragons on many decorative pottery from Gyeongju and Haniwa from Kyoto.
    Dragon 4 show some of the features shared by line engraving of a dragon fromdecorative pottery from Gyeongju as well as techniques similar to those used inBlue Dragon of Koguryo tomb murals.
    In Silla, dragon is a water god as well as a protector of the king, kingdom, andBuddhism, appearing often in related legends and lores. The legends and lores containingSilla people’s view on dragons sometimes materialize as sites and artifacts.
    The clay figures on pottery and decorative pottery from Gyeongju can be understoodas such products. Of the pottery excavated from Gyeongju, we can find examplesof decorative motifs of dragon, men, and animals, in which dragon’s role isemphasized. It is likely that the dragons on Cheonjeon-ri Seoseok also appearedfrom a process of visualizing legends and lores of drag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