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中原彌勒里寺址’조성시기 고찰 (A Study on the opening period of 'Jungwon Mirekri temple sit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08.06
28P 미리보기
‘中原彌勒里寺址’조성시기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미술사학 / 9호 / 145 ~ 172페이지
    · 저자명 : 정성권

    초록

    충주시 상모면 미륵리에 위치한 사적 제317호‘중원미륵리사지’는 고려시대 대표적 사원 중 하나이다.
    이곳은 다섯 차례의 발굴조사와 두 번의 실측 조사가 실시된 곳이다. 여러 차례의 발굴조사를 실시하였
    으나 이 사지의 조성시기를 알 수 있는 명문기와나 탑비 편 등은 출토되지 않았다.
    비록 정확한 조성시기를 알 수 있는 유물은 출토되지 않았으나‘중원미륵리사지’발굴조사보고서는
    이 사찰의 조성시기를 고려초로 추정하고 있다. 또한 지금까지 여러 선학분들도‘중원미륵리사지’의 창
    건시기를 고려 초 10세기로 보고 있다.
    ‘중원미륵리사지’의 사찰 창건시기에 관해서는 그동안 큰 의문 없이 선학들의 의견이 대체적으로 수
    용되어왔다. 그러나 근래 들어 고고학적 연구 성과와 미술사적 연구 성과가 축적되면서 30년 전의 발굴
    성과와 이를 바탕으로 한 10세기 창건 설은 다시 한 번 점검해 봐야할 문제가 되었다.
    본문에서는‘중원미륵리사지’창건기 기와인 고사리문 기와와 사지에서 출토된 유물중 가장 시대가
    앞서는 유물인 해무리굽 청자를 분석하였다.
    최근‘중원미륵리사지’와 같은 문화권에 속한 충주 숭선사지가 발굴조사 되었다. 이 사지는 광종 5년
    (954) 창건된 사찰로서 발굴조사를 통해 숭선사 창건기 막새기와가 밝혀졌다. 숭선사지에 사용된 창건기
    막새기와는 광종대 중창된 청주 흥덕사지와 역시 광종대 중창된 것으로 추정되는 충주 김생사지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로 보아 10세기경 창건 및 중창된 충청도 지역의 중요사원에는 숭선사지 출토 막새와
    같은 종류의 막새가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런 종류의 막새는‘중원미륵리사지’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중원미륵리사지’에서 사용된 암막새의 경우 고사리문 암막새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고려 문종대 창건된 남원 만복사지 수리용 막새로 사용된 것과 같은 막새이다. 남원 만복사지 수리용 막
    새는 11세기 말에서 12세기 초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중원미륵리사지’에서 출토된 유물중 시기가 가장 이른 유물은 해무리굽 청자이다‘. 중원미륵리사지’
    에서 출토된 해무리굽 청자는 청자의 접지면 폭이 약간 넓고 내저원각이 있는 한국식 해무리굽 청자들이
    다. 이 청자들은 최근 학계의 연구성과에 의하면 11세기경부터 만들어지는 청자임이 밝혀졌다.
    본문에서는‘중원미륵리사지’의 조성시기를 출토 유물 분석을 통해 11세기말에서 12세기 초로 추정
    하였다. 이밖에 본문에서는‘중원미륵리사지’석불입상, 석탑, 사각석등의 형식 및 양식 분석을 시도하였
    다. 분석결과 각 석조미술품들의 조성시기 상한은 11세기 중기를 넘지 않았다. 사각석등의 경우 개성 개
    국사 사각석등과 양식적 친연성을 보이고 있어 개국사 석등이 만들어지는 시기로 추정되는 1106년 전후 한 시기에‘중원미륵리사지’석등이 조성된 것으로 보았다.
    ‘중원미륵리사지’의 창건 배경은 문종 숙종대의 南京경영과 관련하여 중부지방과 영남지방을 잇는
    주요 교통로의 안전 확보와 이를 통한 지방 통치의 안정화를 목적으로 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영어초록

    ‘Jungwon Mirekri temple site’was excavated five times and made two times measurement survey.
    Until now, most of scholars say that ‘Jungwon Mirekri temple site’was build in around 10th century.
    Although there were many surveys and excavations, it was failed to clarify when ‘Jungwon Mirekri
    temple site’was made. Because there was no archeological evidence which like roof tile that has
    record about the beginning of the temple.
    This paper investigates ‘Jungwon Mirekri temple site’archeologically and stylisticlly. Near the
    ‘Jungwon Mirekri temple site’, there is Sungsun temple site. Sungsun temple was made in the
    Koryo(高麗) Emperor Gwangjong period. It was 954 A.D. In the Sungsun temple, Many antefixes
    found that were made in 954 year.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 Koryo government supported to
    build Sungsun temple. If ‘Jungwon Mirekri temple site’was made in 10th century. Antefix which as
    same like Sungsun temple must be find in ‘Jungwon Mirekri temple site’. Because, in the Koryo
    dynasty, when big temple was build, government always suppeoted its constructions. Antefix, same
    like Sungsun temple couldn’t find in the ‘Jungwon Mirekri temple site. It is mean that the ‘Jungwon
    Mirekri temple’wasn’t made in 10th century.
    So when the ‘Jungwon Mirekri temple’was made? Making an analysis of antefix can help to
    answer the question. In the ‘Jungwon Mirekri temple site’, many antefixes were found. Those have
    ‘Gosarimon’-circinate-design. Same design antefixes used at Manbok temple in Namwon city.
    Historical record says that Manbok temple was made 11th century. In Manbok temple, ‘Gosarimon’
    design antefix just used when the temple repaired. It is mean that, ‘Gosarimon’design antefix was
    used end of 11th century or begging of 12th century.
    There is another way to answer the question. Stoneworks which were set in temple have answer.
    There are many stoneworks in the temple like stone Buddha statue, stone pagoda and stone lamp.
    Making an Analysis of stoneworks, its stylistic elements shows that some distinctive mark which are
    shown after 11th century.
    From the 11th century, Koroy government start build Namgyng(南京)-It’s mean southern capital.
    When Namgyng was build, Koroy government also improved main traffic routes. ‘Jungwon mirekri
    temple’is located in the main traffic route.
    In conclusion, ‘Jungwon mirekri temple’that was guessed its construction started around 10th
    century was made at the end of 11th century or begging of 12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악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