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浮彫像 연구 (A Study on the Images Carved in Relief on the Three-story Stone Pagoda in Beomhak-ri, Sancheong)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2.02
27P 미리보기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浮彫像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 / 43권 / 79 ~ 105페이지
    · 저자명 : 박아연

    초록

    본고는 경상남도 山淸 泛鶴里 삼층석탑에 새겨진 부조상의 도상 및 양식적 특징을 검토하여 존 명과 조성 시기를 논하고, 이 부조상이 통일신라 석조미술에서 차지하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범학리 석탑 상층기단 부조상은 한 면에 2구씩 모두 8구가 배치되어 있고 무장형의 八部衆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이 상들은 팔부중의 전형적인 도상적 특징을 지니고 있지 않아 단언하기 어 렵다. 또한 금강역사나 사천왕 등 다른 특정 도상이라고 할 수 있는 확실한 근거도 없다. 그러므 로 상층기단 부조상은 특정 존명을 명명하기는 어려우므로 넓은 의미에서 ‘神將像’이라 일컫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범학리 석탑 1층 탑신석의 부조상은 한 면에 1구씩 4구가 배치되어 있는데, 1층 탑신에 위치한 다는 점, 연화좌 위에 앉아 있고 두광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菩薩像임을 알 수 있다. 네 보살상 은 공양하는 자세로 손에 지물을 들고 있기 때문에 供養菩薩像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흥미로운 점 중 하나는 보살상이 바라보고 있는 방향이다. 동면의 보살상이 중심이 되고, 나머 지 공양하는 보살상의 방향이 정면(현재 동면)을 응시한다는 점에서 매우 독특하다. 보살상들의 자세와 시선은 참배자가 탑돌이를 할 때, 정면을 향해 공양하는 보살상을 시작으로, 시각적으로 연동하면서 공양하는 보살들을 보며 예경 하도록 의도한 것으로 추정된다.
    통일신라 말기인 9세기 후반이 되면 석탑의 상층기단에는 갑옷을 입고 무기를 들고 있지만 존 명을 알 수 없는 신장상이 많이 나타나며, 1층 탑신에 위치하는 부조상으로 보살상이 등장하므로, 범학리 석탑은 9세기 후반 형식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범학리 석탑에 부조된 신장상과 보살상의 조각 수법은 저부조로 입체감이 떨어지며 선각을 많이 이용하여 표현했다. 대체로 9세기 이후에는 새김의 깊이가 얕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양감 으로 보더라도 범학리 석탑은 9세기 이후에 조성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더불어 도상적 특징을 통해 통일신라 9세기 후기의 석탑, 석조여래좌상 대좌, 僧塔에 부조된 신장상 및 보살상에서 범학 리 석탑 부조상과 친연성이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범학리 석탑의 부조상과 같이 상층기단에 신장상과 1층 탑신에 보살상으로 구성된 조합은 흔치 않은 사례이다. 이는 상층기단의 신장상을 통해 석탑을 수호하고, 1층 탑신의 공양보살상을 통해 부처를 공양한다는 의미를 담으려 한 것으로 생각된다.
    범학리 석탑은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에서 시작한 탑 부조상이 9세기 후반이 되면 경주 이외 지 방에서 어떤 모습으로 변모해 가는지 그 변화를 잘 보여주는 대표 작품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ages of the Buddhist deities carved in relief on the Three-story Stone Pagoda of Beomhak-ri in Sancheong, Gyeongsangnam-do, to determine the date of their production, and to assess their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Buddhist art of the Unified Silla period based on a close examination of their iconic and stylistic features.
    There are eight Buddhist images carved on the upper base of the Stone Pagoda, i.e. two on each of the four sides of the base, which has led some specialists to argue that the figures represent the Eight Deva Guardians of Buddhism, despite the fact that there are no definite clues to support this view. It is equally difficult to conclude that these images represent either the Vajra Guardians or the Four Heavenly kings. A more plausible view is that they represent the Divine Warriors in a broader sense.
    The body of the first story of the stone pagoda is also carved with four Buddhist deities in relief, one on each of its four sides. The fine details of the images, and the symbolic objects they hold in one hand in particular, suggest that they are bodhisattvas offering precious gifts to the Buddha.
    One interesting element of these bodhisattvas is that the image carved on the eastern face appears as the central figure, while the other three are turned fully to the front, that is, they are all facing east. The attitudes and eyes of these carved figures suggest that they were designed in such a way that Buddhist worshippers would pay homage to this eastward-facing bodhisattva first of all when starting their ritual circumambulation of the pagoda.
    It was during the late Unified Silla period, i.e. the late ninth century, that stone pagodas in Korea first featured images of the Divine Warriors - whose identities remain unknown to this day - on their upper base, and representations of the bodhisattvas on the body of the first story. In this regard, the stone pagoda at Beomhak-ri clearly displays the characteristic style of Unified Silla pagodas of the late ninth century.
    Similarly, the images of the Buddha carved on the pedestal and those of the Divine Warriors and bodhisattvas carved in relief on the main structure show that this pagoda is closely connected with stone pagodas of Unified Silla dating from the late ninth century.
    Furthermore, the combination of the Divine Warriors carved on the upper base and the bodhisattvas incised on the body of the first story of the pagoda is rarely seen in other pagodas of the same period. Such a combination suggests that the builders of the pagoda wanted the Divine Warriors to protect the pagoda and the bodhisattvas to represent devout worshippers offering treasures to the Buddha.
    The Stone Pagoda in Beomhak-ri is significant in that it sheds some light on how the representation of Buddhist deities carved on Korean stone pagodas evolved from the seventh to the late nin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5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