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북지역 고대 취락의 작물조성- 완주 용흥리·익산 장신리 ·부안 백산성유적을 중심으로 - (A Review of Crop Assemblage in the Ancient Settlements of Jeonbuk Area)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3.10
41P 미리보기
전북지역 고대 취락의 작물조성- 완주 용흥리·익산 장신리 ·부안 백산성유적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45권 / 43 ~ 83페이지
    · 저자명 : 안현중

    초록

    2006년 이전 전북지역 고대 취락의 작물은 쌀·팥·삼·조·외(참외)로 구성된 제한적인 자료였다. 그러나 용흥리유적의 조사 이후 맥류(보리·밀)+잡곡(기장)+두류(콩) 같은 곡물과 복숭아類·박屬 과실이 추가된 작물조성을 이룬다. 기존 알려진 전북지역 탄화곡물의 비중은 쌀·팥이 우세했다. 하지만 부유선별법으로 종자를 검출하고 체계적인 분석을 한 완주 용흥리·익산 장신리·부안 백산성유적 작물조성을 따로 검토할 경우, 쌀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가운데 밀과 팥 외에도 다양한 밭작물의 비중이 대체로 증가하는 양상이다. 따라서 전북지역의 취락은 기본적으로 쌀+맥류+잡곡+두류를 재배(또는 소비)한 것으로 보인다. 개별작물조성을 통해 논농사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추정되지만 전체 밭농사의 비중도 논농사와 크게 차이가 없고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밭작물이 추가됨에 따라 고대 문헌기록상 ‘五穀’ 개념의 기본구성에 상응함을 알 수 있었지만 ‘오곡’에 해당하는 개별작물을 판단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출토 수량이 가장 많은 쌀은 가구 내 소비량을 추산할 경우 더 많은 양의 쌀이 저장되어 있었으나 소실된 것으로 판단된다. 현미경을 통한 쌀의 관찰에서 껍질이 붙어 있는 볍씨를 다수 발견하였는데, 단일작물 가운데 비중이 제일 큰 점은 벼의 재배(또는 소비)가 우위를 차지한다는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조세나 화폐의 기능 또는 파종용 종자로도 상정할 수 있다. 탄화곡물은 토기 내부에서 출토되는 경우가 있지만, 주로 유구의 바닥면과 퇴적토에 분포하기 때문에 개별 주거지(가구)에서는 소실되기 쉬운 보관용기에 담아 천장에 매달아 보관한 것으로 추정된다.

    영어초록

    In the present paper, an attempt was made to examine charred crop remains excavated from the sites of ancient settlements in Jeonbuk area which are presumed to have existed from the 2nd to the 7th century AD and review the findings from the perspective. The charred crop remains which were put to analysis for this purpose were unearthed from 12 sites of ancient settlements and from 40 remains of pit-shaped structures. The hitherto study on ancient crop was limited to rice, adzuki bean, hemp, foxtail millet and melon only and, as a result, it was estimated that rice and adzuki bean were main items of crop grown and consumed during that period since they were frequently unearthed from the remains of ancient settlements. But the examination by flotation of the seeds unearthed from Yongheung-ri site confirmed that the crop assemblage was made of barley and wheat + millet (broomcorn millet) + bean (soybean) together with species of peach and gourd, in addition to previously known items of crop. A systematic analysis of crop assemblage found from the remains of ancient settlements by flotation which restored carbide found that rice was absolutely the foremost item of crop in that age. In case of dry-field crops, however, wheat turned out to increase more than or equivalent to adzuki bean in quantit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findings. Other crops like barleys, soybeans and broomcorn millet were also increasing in number, suggesting that various kinds of dry-field crops were then grown and consumed, too. Such diverse composition of crops led us to assumption that it had something to do with the basic concept of ‛Five Grains’ that used to be discovered inthe old Chinse literature. In fact, however, there was limit in specifying individual items of ‛Five Grains’.
    A rice was the largest and most frequently unearthed item of crops from ancient relics, lots of rice seemed to have been stored but burnt down by fire judging from the consumption of each household. The fact that a large quantity of unhusked rice seeds were observed by microscope in the relics of ancient settlements with husks still attached strongly implied that they were used as means of currency or stored as seeds for sowing. The crops in Jeonbuk area were often excavated inside earthenware but mostly on the floor of settlements as well as on the sedimentary layer of soils adjacent to the floor, which is deemed to be an evidence that they were originally hanging from the ceiling for the purpose of stor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남고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