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사량의 <노마만리> 재론 - 서발턴의 탐색에서 제국주의와의 길항으로 - (Reargument on Kim, Saryang's [Nomamanri(駑馬萬里)] from search of subaltern to competetion with Imperialism)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5.05
29P 미리보기
김사량의 &lt;노마만리&gt; 재론 - 서발턴의 탐색에서 제국주의와의 길항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日本學(일본학) / 40권 / 147 ~ 175페이지
    · 저자명 : 유임하

    초록

    김사량의 『노마만리』 재론― 서발턴의 탐색에서 제국주의와의 길항으로 ―

    유임하(한국체대)

    김사량의 『노마만리』(1945)는 식민 본국인 일본문단에서 일본어로 문학활동을 시작했던 한 조선인작가가 제국 안에서 피식민 주체인 하위주체를 탐색해온 경로를 이탈하여, 중국대륙에서 제국과 길항하는 주체로 전환되는 경과를 순차적으로 그린, 탈식민적 저항주체의 문화적 실천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사례이다. 이 글은 다양한 맥락을 지닌 텍스트인 『노마만리』를 대상으로 삼아 작가 자신의 실제 경험을 기록한 ‘자전적 글쓰기’의 특징을 논의했다. 텍스트는 자전적 글쓰기의 성격에 주목하여 화자는 과거의 삶을 부정적인 것으로 처리하고 정치적 망명을 ‘혁명을 지향한 비약’으로 표현하면서 스스로 ‘자신의 신화 만들기’에 주력하는 양상을 보이는 한편, 정치적 망명에 담긴 패배자의 위치를 전복시켜 승리자로 재규정하는 자기성찰적인 면모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텍스트는 특히 제국 일본의 경계를 벗어나 서발턴들의 역사적 주체화를 인준하며 탈식민의 저항주체로 거듭나는 한편, 저항의 문화적 실천을 보여주는 탈식민적 텍스트라는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Reargument on Kim, Saryang's [Nomamanri(駑馬萬里)] from search of subaltern to competetion with Imperialism

    Yoo, Imha (Korea National Sport Univ.)

    Kim, Saryang's Nomamanri (1945) is an attractive case showing a cultural practice of de colonization. One of people of Chosun Dynasty, Kim, Saryang, who started his literary activity in Japanese literary world with Japanese language in 'empire' which colonized one's country. He showed the order of breaking the road of subordinate subject which is main agent was colonized people and compete with the empire in Chinese continent. This article consider Nomamanri as target and discussed the characteristic of Nomamanri which has diverse context an autobiographical novel, the author write experiences that he experienced. While a text focus on an autobiographical writings and regard the author's past life as negative material and explain a political asylum as 'leap of revolution' and devote his life for 'making a myth of own', there was also aspect of self examination that giving the overthrow the position of loser in political asylum into the winner. Especially this text stray from Japanese empire and approve the historical subjectification of subaltern for resisting subject in de colonizing. And it shows its value as de colonizing text showing literary practice of resi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學(일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