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전기 도학자들의 理 인식과 사회실천론 - 정암․퇴계․율곡의 역사의식과 실천담론의 계승, 발전이라는 관점에서 (A Study on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Practical Discourse of the Neo-Confucianist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focused on the cognition of Li(理)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1.06
29P 미리보기
조선 전기 도학자들의 理 인식과 사회실천론 - 정암․퇴계․율곡의 역사의식과 실천담론의 계승, 발전이라는 관점에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44권 / 293 ~ 321페이지
    · 저자명 : 정도원

    초록

    본고는 조선전기, 특히 16세기 전후 도학파들의 실천담론을 그들의 역사의식과 철학적 근거라는 지평에서 살펴보았다. 이들의 실천 담론은 이전 시기부터 내려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종의 집단지성 혹은 시대정신이며 개혁의 논리였다. 이 논리는 정암, 퇴계, 율곡을 거치면서 구체화, 현실화되었다. 이들은 이전의 정상 사회로의 복귀가 아니라 요순을 잇는 참다운 인간 이상의 사회적 실현을 목표로 하였다. 이 점에서 이들의 논리는 이전 시기 경세 담론들과 분명한 차이를 가진다. 다만, 목표가 높았던 만큼 정확한 현실 이해를 추구하였으며, 앞 세대의 사회체제 또한 최대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들의 이러한 소명의식과 실천이 당시 시대정신의 정화였음은, 兩難과 대기근, 갖은 政變을 거치면서도 이들이 제시한 진로를 부정하지 않는 개혁론들의 등장과 소명의 계승자임을 자처하는 후학들, 그리고 급격히 유교화 하는 생활양식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퇴율에 의해 정립된 주자학적 세계관을 벗어나는 흐름이 18세기에 들어서면서부터 감지되기 시작하지만, 19세기까지도 사회나 정치의 중심은 여전히 주자학이었다. 현실적이면서도 이상적인 도학의 실천 담론이 가져온 결과라고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political thoughts of Neo-Confucianists in the early Joseon period, especially around the 16th century, through their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philosophical grounds. And it is concluded that their practical discourse was the logic of reform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evious period as a collective intelligence or spirit of the times, and it was not completed by any one individual at any one moment. At least, through Jeongam, Toegye, and Yulgok, they realized their logic. They had high ideals, but to that extent they tried to accurately read the problems of reality, and also tried to make the most of the social system established in the previous period. However, their goal was not simply to recover to a normal society before, but to realize more than a true human being. This has a clear difference from the discourses of governance in the previous period. Their sense of vocation and practice was the purifying of the spirit of the times, such as the emergence of reformists who did not deny their career path, the descendants who claimed to be the heir to the calling, and the rapidly Confucian lifestyle. It was after the 18th century that a flow beyond their worldview. However, until the 19th century, the Neo-Confucian worldview was still a social and political center. It can be said that it was the result of a realistic and ideal Dohak practice discour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율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