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艮齋 田愚 道學의 志向點과 退溪 ‘尊理’說의 心學的 受容 및 ‘心理家’ 批判 (The Direction of Ganjae's philosophy and Acceptance of Toegye's ‘JonLi(尊理)’ theory and Criticism of ‘Simliga(心理家)’)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4.04
35P 미리보기
艮齋 田愚 道學의 志向點과 退溪 ‘尊理’說의 心學的 受容 및 ‘心理家’ 批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80호 / 1 ~ 35페이지
    · 저자명 : 정도원

    초록

    본고는 간재 전우의 사상으로 귀속된 여러 사고 가운데 중심이 되는 논리가 무엇이며, 이러한 사고가 지향하는 것은 무엇인지, 그리고 이러한 사고가 道學이라는 입체적 사상체계에서 어느 지점에 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이 작업은 간재의 사상적 결론이라는 性師心弟說을 기준으로 하였다. 도학은 理學과 心學, 그리고 外王의 담론이 종합된 것이지만, 간재가 선현들의 주장을 거론할 때는 이중 어느 한 측면에 초점을 맞추는데, 특히 간재가 퇴계를 평가할 때와 율곡을 평가할 때 초점이 理學과 心學으로 갈리고 있다. 理氣心性에 관한 논의에서는 율곡의 주장에 동조하지만, 막상 이를 근거로 한 실천 수양론은 퇴계의 理尊 또는 尊理說에 더 근접해 있다. 이를 보여주는 간재의 명제가 “性師心弟”이다.
    살펴본 바에 따르면, 간재의 심학은 결국 “率性”의 논리로서, 그는 노론−낙론계의 전통에 따라 氣를 강조하지만 그러한 주장의 이면에는 性理가 수양의 기준이어야 한다는 심학적 판단이 자리잡고 있다. 主氣의 논리지만 목적이 主理에 있는 심학적 결론이 압축된 명제가 性師心弟說이다. 다만, 간재의 이학과 심학은 완전히 하나의 체계로 통합되는 것이 아닐 수도 있다. 간재는 율곡의 理氣論을 전적으로 긍정하고 心是氣라는 낙론의 주장을 스스로의 이학적 종지로 여기지만, 그의 선현에 대한 평가를 보면 이학과 심학을 갈라 보는 경향이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퇴계의 心學에 대한 평가에서 더 그러한데, 간재의 性師心弟라는 率性의 논리와 퇴계의 尊理 내지 理尊의 논리가 매우 유사한 것이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된다.
    물론, 이러한 유사성을 만들어내는 이면에는 理를 性理의 차원에 한정하여 논의하고 心是氣의 차원에서 주체의 도덕 실천을 설명하고자 하는 매산계 낙론의 이학적 전제가 자리잡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간재가 퇴계의 심학적 성과를 높이 평가하면서도 퇴계의 심성론에 많은 아쉬움을 표현하고 있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노론−낙론, 특히 매산 계열의 氣論이 形氣와 神氣로 이원화하는 방식은 사실 고봉이 퇴계와의 논변 과정에서 보여줬던 모습을 닮아있다. 주체 속 도덕 근거를 분명히 확보해야 한다는 입장과 이러한 도덕이 일상적 현실이어야 한다는 사실 속에서, 퇴계는 분명한 도덕 근거의 확립에 초점을 두었던 반면, 고봉이나 고봉의 논의에 찬동하였던 율곡은 일상 속 도덕 가치를 긍정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었기 때문에 理氣의 二元化가 아닌 氣의 二元化로 논의가 진행되었던 사실이 여기서 환기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렇게 볼 때, 간재의 性師心弟說은 이학적 개념을 심학적, 실천적 개념으로 확장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율곡의 이학을 전제로 한 퇴계 심학의 수용 시도라고 평가할 수 있을 듯하다. 그리고 이러한 퇴계 심학의 수용 노력은 만년의 보다 넓어진 도통에 대한 입장과 영남 유학과의 만남 시도로 나타났다. 다만,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한주나 화서 계열을 心理, 心宗으로 규정되는 사고까지 포용하지는 않았다. 간재의 ‘主理’나 ‘主氣’ 용례가 만년에 급격히 달라진 모습을 보이는 것도 이 두 계열과의 극단적인 대비에 따른 결과가 아니었을까 한다.
    간재가 초년에 보이던 이학과 심학의 일관성 혹은 정합성에 대한 요구가 만년으로 갈수록 약해지고, 이학적 결론과 심학적 결론 사이의 간극이 그대로 노출되는데도 성사심제를 자신의 만년 종지로 확정한 것은, 이 명제가 도학적 일원화에 이르지는 못하였어도 이것이 결국 그의 사상적 여정의 끝이 될 것이라는 확신, 그리고 내성외왕의 기본 방향에 충실하였던 그의 긴 사상적 여정의 이정표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를 극심한 시대 변화와 감당하기 힘든 세태의 변화를 짧은 시간에 겪으면서도 자신의 도학적 완성 노력과 그에 부과된 책임 및 실천의 순수성이 압축되어 만들어진 사상사의 한 장면이라고 할 수 있을 듯하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termine what the central logic of Ganjae philosophy is and what it aims for, based on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is a teacher and the human subject is a disciple(性師心弟),” which is the conclusion of Ganjae philosophy, and what it aims for in Joseon Confucian history. Ganjae evaluated previous philosophers by dividing them into philosophy characterized by “theory of the ultimate existence(理學)” and philosophy characterized by the “theory of human perfection(心學)”. He himself is the successor of Yulgok Yiyi, and believes that Yulgok's philosophy is the most ideal Confucianism, but in reality, Yulgok is classified as a philosopher characterized by “theory of the ultimate existence.” On the other hand, Toegye Yihwang's philosophy is the origin of the ‘Simliga(心理家)’ philosophy that “the subject is the ultimate standard,” which he opposed throughout his life, but is evaluated as a philosophy that has merit in the theory of human perfection(心學). The conclusion of Ganjae's philosophy, “Humans must take their own essence as their teacher and make independent efforts to realize it (性師心弟)” is very similar to Toegye's claim that “the ultimate principle must be upheld(尊理)”. The gap between Ganjae's ideal conclusion and the actual conclusion can be said to be because he was unable to create a theory that completely unified the ultimate of existence and the ultimate of the subject. When he was young, he demanded complete unification of the study of logic and the real practice, but as he got older, he lowered the intensity of his demand for this, and his final conclusion, “human nature is a teacher and the human subject is a disciple(性師心弟)”, also does not show thorough theoretical consistency. However, he was only convinced that this conclusion was the conclusion of his philosophy and the end of his long ideological journey. Despite this confidence, he had no choice but to end his journey incompletely because of the unbearable changes in the times. However, the reason he did not hide it and revealed it as it was, was because of his strong sense of responsibility as a Confucian scholar and his human purity. He is remembered as the last Confucian scholar in Jo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