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공지능(AI)시대 도래에 따른 ‘리’ 해석의 다중 모델 고찰 - 퇴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ultiple Models of the Interpretation of Li(理) with the Advent of the AI Era - Focusing on Toegye -)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1.03
22P 미리보기
인공지능(AI)시대 도래에 따른 ‘리’ 해석의 다중 모델 고찰 - 퇴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철학 / 94권 / 63 ~ 84페이지
    · 저자명 : 김승영

    초록

    우리에게 익숙한 용어가 되어버렸고 또한 주목받는 화두 가운데 하나가 4차 산업혁명(4IR;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이라고 할 수 있다. 이 4차 산업혁명의 특징 가운데 하나가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의 등장이다. 이 논문은 인공지능을 조선조 성리학의 집대성자인 이황의 핵심철학인 리 와 결부하여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공지능은 인간이 했을 경우에 사람들이 지능적이라고 받아들일 행동을 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기계를 창조한다는 것이 주요한 개념이다. 이황은 주희철학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면서도 계승 발전시킨다. 그 가운데서도 리동(理動) 리발(理發) 리도(理到)가 핵심적 명제이다. 이황은 리동에서 주희가 제안한 리의 동정(動靜)을 리가 움직인다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리발은 인간의 심성을 세밀하게 고찰하여 리의 발동성을 인정하는데, 이는인간의 선한 도덕적 감정을 고수하고자 한 것이다. 리도는 사물의 인식방법을 물격(物格) 의 의미를 부각한 것이다. 이 논문은 인공지능사회에서 어렵고 난해한 성리학의 이론 가운데 리 의 철학적 내용을 연구와 사유를 통하여 명쾌하게 설명하려는 하나의 시론이라고할 수 있다. 그리하여 리 가 갖는 적용양상들이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이 분야의연구가 아직 미흡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시론적 의미에서 시도하는 것이다. 특히 성리학의 중요한 이론인 리 를 가지고 이황의 입장을 분석하는 동시에 논리와 이론을 세워 다중모델을 그려낸다면 도래할 인공지능시대에 유효한 기능을 하리라 본다.

    영어초록

    One of the most notable topics, which has already become a familiar term for us, can be said to b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is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the emerg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interpret artificial intelligence in conjunction with Li, the core philosophy of Toegye Yi Hwang, the integrator of the Neo 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Artificial intelligence is the main concept of creating computer programs or machines that can act, which can be regarded as intelligent if humans do. Toegye accepts Zhuxi s philosophy critically, while succeeding and developing it. Among them, Lidong (理動, Movement of Principle), Libal (理發, Issuance of Principle), and Lido (理到, Advent of Principle) are the key propositions. Toegye focused on Li s movement for the movement and calmness (動靜) that Zhuxi proposed in Lidong. Libal is to appreciate the issuance of Li by carefully examining the human nature of mind, which is to adhere to the good moral emotions of the human being. Lido emphasizes the meaning of Mulgyok (物格, Things Making Sense) in the method of knowing things. This thesis can be said to be one of the theories of Neo-Confucianism, which is hard and difficult in artificial intelligence society, to clearly explain the philosophical content of Li through researches and reasons. This thesis is to be written, despite the variety of application patterns that Li has, because it is judged that the researches in this field have still been insufficient so far.
    In particular, if we analyze Li, an important theory of Neo-Confucianism, from the perspective of Toegye and draw multiple models by establishing logic and theory, it can be seen that it will function well in the coming artificial intelligence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