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퇴계 리발(理發)설의 수반론적 해명 ― 고봉과의 사단칠정 논변을 중심으로 ― (Toegye's Conception of li-fa(理發) Explained fromthe Theory of Supervenience)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0.12
47P 미리보기
퇴계 리발(理發)설의 수반론적 해명 ― 고봉과의 사단칠정 논변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 / 34호 / 191 ~ 237페이지
    · 저자명 : 이승환

    초록

    퇴계의 리발(理發) 설은 조선유학 연구자들에게 가장 뚫기 어려운 관문이라 할 수 있다. 퇴계가 ‘리발’설을 제기하고 율곡이 이를 비판한 이래, 450여 년에 걸쳐 리발(理發)은 리동(理動) · 리도(理到)와 더불어 조선유학의 풀리지 않은 공안(公案)으로 전해져왔다. 율곡 계열의 학자들은 퇴계가 ‘리’의 무위(無爲)를 부정하고 활물(活物)로 여겼다고 비판하는 한편, 퇴계의 후학들은 선사(先師)의 설을 옹호하기 위해 갖가지 추가적 설명을 보태왔다. 현대의 조선유학 연구자들 또한 아직까지도 ‘리의 능동성’ 테제를 붙들고 씨름 중이다.
    퇴계의 ‘리발’ 명제와 관련하여,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 단계의 논증을 통하여 ‘리발’ 명제가 결코 ‘리의 능동성’을 뜻하지 않는다는 점을 주장하고자 한다. 첫째, 주자가 ‘리발’을 말하지 않았다는 기존의 억측과 달리 주자는 ‘리발’에 관한 수많은 언급을 남겼으며, 주자의 ‘리발’은 수반이론(superveniance theory)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점을 밝힐 것이다. 둘째, 퇴계의 리발·기발 주장에 사용된 리·기 개념은 마음 안에 간직된 심리적 속성(또는 성향)으로서 ‘리’적 성향(본연지성)과 ‘기’적 성향(기질지성)을 의미하며, ‘리발’과 ‘기발’의 발(發) 자는 결코 운동(motion)의 의미가 아니라 심리적 속성(또는 성향)의 실현(actualization) 또는 예화(exemplification)의 의미임을 밝힐 것이다. 이 두 단계의 논증을 통해 퇴계의 ‘리발’설이 ‘리’의 능동성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점이 밝혀지게 될 것이다.
    본고에서는 ‘리의 능동성’ 테제를 반증하는데 그치지 않고, 한 걸음 더 나아가 퇴계­고봉 간 사단칠정 논변에 개입된 핵심 의제 중의 하나가 수반이론이라는 점을 밝히고, 퇴계의 리발(理發)설과 고봉의 리동(理動)설 또한 수반이론에 기초해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퇴계의 ‘리발’설이 수반이론에 기초해있다는 사실이 논증된다면, 기존 연구자들이 주장해온 ‘리의 능동성’ 테제는 퇴계사상의 독창성을 드러내기보다 오히려 퇴계의 성향이론과 감정이론을 붕괴시키는 걸림돌이 될 것이다. 이러한 세 단계의 논증을 통해, 과거 450여 년간 퇴계의 ‘리발’을 ‘리의 능동성’으로 해석해오던 관행은 이제는 폐기되어야 할 ‘오해’임을 밝히는데 본 논문의 최종 목적이 있다.

    영어초록

    For Korean Neo-Confucian scholars, Toegye's argument of 'issuance of li''(li-fa 理發) has been regarded most difficult to understand. Toegye, in the process of debate with Gobong on the moral psychological issue of the origin of four beginnings(四端) and seven feelings(七情), proposed an argument that “Four beginning are the issuance of li, and seven feelings are the issuance of ch'i.” After Toegye's passing away, Yulgok started to provoke a severe criticism on Toegye's argument of the ‘issuance of li.’ From this on, between Toegye school and Yulgok school, regarding the subject of ‘issuance of li,’ mutual criticism has been continued for more than four hundred years. Even contemporary Neo-Confucian scholars of Korea still are struggling with each other on the very subject of ‘issuance of li.’Most of contemporary Korean scholars interpret Toegye's argument of the ‘issuance of li'’ in terms of ‘activeness of li’ or ‘creativeness of li.’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correct meaning of the statement, ‘issuance of li'’ from a viewpoint of philosophy of psychology. In this paper, I tried to prove that Toegye's conception of li-fa, instead of meaning ‘the activeness of li,’ or ‘creativeness of li,’ actually means ‘the manifestation of li'’ on the presupposition that li is the mental property or disposition which is equipped in human mind.
    My demonstration is composed of two steps. Firstly, I prove that li, in Zhu Xi's philosophical scheme, does not contain the very attribute of activeness or creativeness. In Zhu Xi's ontological scheme, li manifests through the ontological mechanism of supervenience. In other words, li supervenes on ch'i, just like a person rides on a horse. What is active or movable is only the ch'i but not the li, just like what is running is the horse but not the riding person.
    Secondly, I prove that Toegye's argument of ‘issuance of li'’ actually is based on a theory of supervenience just as Zhu Xi's theory of li and ch'i. For Toegye, li designates moral disposition which belongs to a mental property, and ch'i designates appetitive disposition which also belongs to mental property. Li, as well as ch'i, as a mental property, in order to be realized, necessarily requires a supervenience base. For Toegye, the concept of ch'i plays a double function; one as an appetitive disposition which belongs to a mental property, the other as a supervenience base which belongs to a physical property. The double meaning of ch'i actually was the main source that caused so much confusion and trouble for Choseon Neo-Confucian scholars.
    As a conclusion, Toegye's argument can be reconstructed as the following form: “Four beginnings are the exemplification of li (which is a mental property) through supervening on the supervenience base ch'i* (which is a physical property); while seven feelings are the exemplification of ch'i (which is a mental property) by supervening on the supervenience base, ch'i* (which is a physical property).”Through the above demonstration, we can clearly understand that Toegye's argument of ‘issuance of li'’ is based on a theory of supervenience. After all, Toegye's argument of ‘issuance of li'’ can never imply the meaning of ‘creativeness of li’ or ‘activeness of li.’ Through the analysis of Toegye's argument, we can newly find that the 16th century Choseon Neo-Confucian scholars already knew how to apply the theory of supervenience to explain the ontological mechanism of issuance of disposition (as a mental property) in relation with it's supervenience base which is a physical property. It is surprising that, while the concept of supervenience has appeared so late as in the middle of 20th century in the West, Toegye and Gobong, who lived in the 16th century Choseon, already knew how to employ the concept of supervenience in their moral-psychological debate. I think here lies the real originality of Toegye's scholarlshi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