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송시열의 리(理)에 대한 논의와그 정치적 의미-퇴계학파와의 대립을 중심으로- (Song Si-yŏ’s Discussion on li(理) and its Political Meaning: Focused on the Dispute with Toegye School)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9.12
27P 미리보기
송시열의 리(理)에 대한 논의와그 정치적 의미-퇴계학파와의 대립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태동고전연구 / 43권 / 67 ~ 93페이지
    · 저자명 : 나종현

    초록

    17세기 율곡학파의 대표적 인물인 송시열은 퇴계학파와의 학술적 대립 속에서 학파의 학설이 주자성리학의 정통이라 주장하였다. 따라서 그의 학술적 기본 입장은 주희와 이이의 학설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가운데, 이이의 학설을 고수하고 강화하는 방식으로 드러났다. 현실에서 리(理)의 주재적 역할을 명확히 설명하지 못한다는 퇴계학파의 학술적 비판에 대응하여, 송시열은 이이의 이론 구조를 그대로 지키면서 리의 역할에 대해 해명하려 하였다. 따라서 송시열이 마치 리의 주재성을 강조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실제로 송시열의 작업은 리의 주재성을 형이상학적 차원에 한정시키고 현실에서는 기의 역할을 강조하는 학파의 기본입장을 벗어나지 않은 것이었다.
    송시열이 적극적으로 리의 역할에 대해 이론적 설명을 시도한 이유는 당대 조선 사상계의 분위기와 연관되어 있었다. 전반적인 개혁의 필요성이 전사회적으로 제기됨에 따라 개혁의 이념적 목표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 것이었다. 그는 17세기 조선사회가 미증유의 위기에 처해 있다는 인식 속에서 화이분별과 의리론을 중심으로 한 정치론을 관철시켰다. 이는 절대적인 천리를 모범으로 한 조선사회의 개혁론으로도 이어졌다. 특히 퇴계학파가 리의 주재성을 강조하는 철학적 입장을 사회개혁론의 중요한 이론적 기반으로 내세우는 상황에서, 송시열이 학파의 정치적 입장을 공고히 하고 개혁론을 정당화하기 위해서는 철학적으로도 리의 주재성에 대해 해명할 필요가 있었다. 리에 대해 논의한 송시열의 이론 작업은 당시 조선 사회가 미증유의 위기에 처하였다고 보고 절대적인 천리를 모범으로 삼아 조선을 개혁하고자 하는 그의 시대인식과 공명한 것이었다.

    영어초록

    In the 17th century when fierce criticism was raised by Toegye School and the legitimacy of Yi I’s idea was creating political disputes, Yulgok School defended their idea by emphasizing that Yi I’s idea followed the Neo-Confucian tradition from Zhu xi and it has no flaws in it. Toegye School who stressed the leading role of li(理), mainly criticized the fact that Yulgok School puts more emphasis on qi(氣) than li(理). This was an attack on the theoretical problems embodied in the idea of Yulgok School. A representative figure of Yulgok School in 17th century named Song Si-yŏ partly acknowledged the leading role of li(理), which seemed like he accepted the criticism of his opposite school. However, he heavily criticized their theory of issuance of li(理) and formalized his idea that Four Beginnings is not always necessarily appropriate. His position reflected his perception that Choson society was in an unprecedented crisis and should be reformed according to absolute Heavenly Principle(天理).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태동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