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계간 삼천리』 시좌(視座) 연구 ― 11호 특집 「일본인과 조선어」를 중심으로 ― (Quarterly Publication, Samcheonri Study)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6.12
20P 미리보기
『계간 삼천리』 시좌(視座) 연구 ― 11호 특집 「일본인과 조선어」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일본연구 / 70호 / 29 ~ 48페이지
    · 저자명 : 김용안

    초록

    1975年2月に創刊し、1987年5月の終刊まで50号が発行された在日朝鮮人による日本語の雑誌 『季刊 三千里』には、当時の政治、社会などの様々なホットイッシューが取り上げられ、多様な角度から光が当てられてきた。その一つが「日本人と朝鮮語」という特集であった。この内容に含まれている虚と実の境界を探求するのがこの論文の目的である。まず、日本の古代国家の形成、建国神話、民族宗教の生成、甚だしくは、歴史や文学にまでも朝鮮から渡来してきた人々が強い影響を及ぼしたことは周知の事実であるが、それを明らかに証明したのがこの特集である。それを可能にならしめたのは、生きている化石、即ち朝鮮語の語彙である。 一方、この特集では、朝鮮を見くびったり無視しがちな日本人の態度は日本の自己絶対化の過ちからもたらされるものであると結論づけられる。それは日本が周辺の大國と葛藤が起こる度に襲われる強迫観念ともいえる国家的心理状態であるが、これは相手を否定することから始まる。そして、この心理が長き歳月を経て日本人の心に宿っていたからこそ、真に背いて歪曲が続けられるという。 また、日本人は朝鮮を知るためには日本語で作られた朝鮮や朝鮮語のステレオタイプにだけ頼りがちであるが、それが正しくない方法とされる。彼らの実状に迫るためには朝鮮語を通じて把握すべきである。これにピッタリの例がまさに雨森芳州である。朝鮮朝廷と日本の徳川幕府とを結ぶ架け橋役をした彼は、朝鮮のことを学ぶために朝鮮の釜山へ留学し、そこで自分の天賦の能力に熱情が加わって、わずか3年にして朝鮮語や朝鮮の風俗は勿論、方言までもマスターしたという。その上で、いわゆる 「互いに欺かず、争わず真文をもって交わる」という朝鮮との外交への信念を身につけ、外交官としてその信念を貫くことになる。この雨森芳州こそ、未来への両国の間に善隣友好をもたらした輝かしい先例であると『季刊 三千里』は指摘しつつ、韓日両国の親善関係へのビジョン提示した。このことは勿論、責任のある媒体として望ましい姿勢である。 とはいえ、両国の間に様々な問題や微妙な関係が絡み合っているにも関わらず、それらに触れずに済ませた点については、物足りなさを感ぜざるを得ない。日本人と朝鮮語の関係の中でもっと微妙な問題に対して、両国の学者がこの雑誌の紙上で激しい議論が交わされることを望むのは、初めから多少無理なことかも知れない。これがこの雑誌が持っている限界なのであろう。今後、その点に絞ってこの雑誌を見極めたいと思う。

    영어초록

    In the perspective of 「『Samcheonri』Viewpoint」, as a result of analyzing Special Feature 「Japanese People and Language of Joseon」, macroscopic edition direction could be found in the point that it dia-chronically grasped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the two countries, such as starting from various casting of light up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rather than tracing Japanese people and language of Joseon in simple and flat way, analyzing the structure of prejudice of Japanese people on Joseon, and casting light upon Japanese diplomat Amenomori Hoshu, who held the standpoint of good-neighborhood diplomacy between Joseon and Japan, in three dimens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pecial feature is, first, that it overcomes the temptation of becoming emotional about the sensitiv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Japan or self-contradictional derivation of conclusion with various opinions. Second, it can be highly appreciated as a presentation of vision for the future of responsible mass communication that it not only presented the keyword of the error of self absolutization, which Japan had fallen into, to swiftly solved the problems of Japan's ignoring of Joseon, trying to usurp Joseon's language, error of Japanese Joseon researchers, and Joseon policy, but also presented the correct findings on people of Joseon through the learning of Joseon language getting out of stereotype Joseon view made by Japanese people with Japanese language. Third, it did not stop at presenting issue of the phenomenons that are caused by the above problems but also presented new vi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through actual examples. Finally, this special feature is not a stationary article stoping at diagnosing the pathology but it is an article moving toward the future by also presenting new prescription. But, on the other hand, it cannot be overlooked that it also exposes many things lacking. Logical arming against deep rooted conventionality and outdated assertions of Japanese writers still rampant today is missing, and the point that only relatively Joseon-friendly or Joseon-supporting Japanese people appeared without the stage of heated discussion for actual verbal battle with them is left as a room and limit that can face criticism of being complac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1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