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헌학과 금석학의 융합으로 보는 광개토태왕릉비의 왜(倭)와 임나(任那) -임나일본부설과 관련하여- (Japan and Imna on the King Gwanggaeto Stele through the Perspective of Bibliography and Epigraphy -about the so-called ‘Imnailbonbu theory’-)

5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9.12
51P 미리보기
문헌학과 금석학의 융합으로 보는 광개토태왕릉비의 왜(倭)와 임나(任那) -임나일본부설과 관련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바른역사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융합 / 5호 / 85 ~ 135페이지
    · 저자명 : 이찬구

    초록

    이 이 글은 광개토태왕릉비의 비문 내용을 분석하여 왜(倭)와 임나(任那)의 실체를 밝혀 일본측이 주장해온 임나일본부설(任那日本府說:일본이 한반도 남부를지배 경영했다는 주장)이 거짓임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광개토태왕릉비는 장수왕 3년(AD 414)에 건립된 동북아시아에서 최고(最古) 최대(最大)의 비이다. 그러나 이 비는 청(淸)의 출입금지조치에 의해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었다. 그러던 중 1884년(광도 10년) 일본 정보장교(酒勾景信)가 이비를 발견하여 본국에 탁본을 보냈고, 일본 군부 세력은 비밀리에 이를 연구하였다. 일본이 주목한 곳은 비문중의 이른바 신묘년조 기사(而倭以辛卯~新羅以 爲臣民)이다. 즉 이 구절을 “일본이 신묘년(AD 391)에 바다를 건너가 백제와 신라를 파(破)하고 그들을 신민(臣民)으로 삼았다”고 해석하여 공개(1889년)했다.
    이런 해석의 의도는 일본이 조선을 다시 지배하려는 논리를 제공하려는 것이었다. 이에 대해 한국의 정인보는 일본의 해석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고, 생략된주어가 고구려이기 때문에 고구려가 일본을 파(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필자는 기본적으로 신묘년조 기사 중에 이왜이(而倭以)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 국내 소장본인 구로다(黑田正雄) 탁본(1876)과 프랑스 ‘샤반느 탁본’(Chavannes·1907)을 통해 판본상 변조된 글자와 빠진 글자의 새로운 보결(補缺)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당시의 왜는 북규수(北九州) 일대의 해적떼이며, 비문상의 주어는 왜(倭;而倭以)자가 아니고, 제(帝;而帝以)자이며, 제(帝)는 곧광개토태왕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임나는 한반도가 아닌 일본열도에 있었다는것을 입증하여 임나일본부설이 허구임을 밝혔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inscriptions of the epitaph of the Great King Gwanggaeto and reveal the substance of ‘Japanese people(倭)’ and ‘Imna(任那)’, and to prove through this fact that The hypothesis of ‘Imnailbonbu’(Japan's claim to have ruled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s false.
    The Great King Gwanggaeto tombstone is the oldest and largest monument in Northeast Asia, which was built in the 3rd year of King Jangsu(AD414).
    However, this monument was not known to the world by the Qing Dynasty’s ‘No Entry policy’. Then in 1884(the 10th year of Kwangdo), a Japanese intelligence officer(酒勾景信) discovered this tombstone and sent a copy of the epitaph to Japan. This was secretly studied by the Japanese military. They especially noted the so-called “Sinmyonyeonjo”(而倭以辛卯~新羅以爲臣民), the article of this inscription.
    They misinterpreted this article as “The Japanese crossed the sea in the year of ”Sinmyo”(AD391). And they attacked Baekje and Silla, and made these two countries’ people as their servants”. Then they released the inscription to the world in 1889. The main reason for this mistranslation was to make the justification for the occupation of Joseon. In response, Jeong In-bo pointed out that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interpretation. The omitted subject from the sentence was “Koguryeo,” so he insisted that Goguryeo attacked Japan.
    I thought that basically, there was a problem with ‘ i-wae-i(而倭以)’ in “Sinmyonyeonjo”. So I tried to make a new complement to the forged or omitted texts with the ‘Kuroda(黑田正雄) rubbed copy’ of a domestic collection(1876) and the ‘Chavannes rubbed copy(1907)’ of a French collection.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Japanese people(倭)’ was a group of pirates in the North Kyusu region(北九州), and the subject of the inscriptions was not ‘Japanese people(倭;而倭以)’, but ‘Je(帝;而帝以)’.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Je(帝)’ should be regarded as King Gwanggaeto. Besides, I revealed that the ‘Imnailbonbu(任那日本府)’ was a fabrication by proving the fact that Imna was in the Japanese Islands, not in the Koran Peninsul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