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제 무령왕릉 상장례 재고 -목관 안치 방식으로 본 매장의례 복원- (Reconsideration on the Funeral Ritual of the Tomb of King Muryeong of Baekje -Restoration of burial ritual based on the process of placing wooden coffin-)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1.12
46P 미리보기
백제 무령왕릉 상장례 재고 -목관 안치 방식으로 본 매장의례 복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104호 / 5 ~ 50페이지
    · 저자명 : 김규동

    초록

    무령왕릉은 아치형 묘실 중앙에 아치형 연도가 연결된 벽돌무덤이다. 하지만 1971년 7월 8일 실시한 무박 2일, 16시간의 졸속 발굴은 엄청난 고고학적, 역사적 사실을 잃게 만드는 안타까운 현실이 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발굴보고서와 실측도면 그리고 사진자료 등을 면밀하게 분석하여 목관의 제작방법과 구조를 파악하고 묘실 내 목관의 안치 방법 및 위치를 고찰하였다.
    단시간에 급격하게 붕괴된 상태와 시상이 남아 있지만 바닥판이 확인되지 않는 점,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1,279점의 못 중 바닥판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이는 못이 발견되지 않는 점, 연도 길이가 목관 길이보다 길고 그 너비와 높이가 좁고 낮아 목관을 들어나르기 곤란한 점, 사상의 크기가 목관의 내부 크기와 거의 같아 뚜껑 열린 목관 내부에 시상을 안치하기 힘든 점 등으로 보아 목관의 바닥판이 없는 구조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왕 목관 동장측판과 왕비 목관 서장측판이 각각 묘실 동서장벽에 거의 붙어 무너진 상태를 근거로 두 목관이 묘실 가운데를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지 않고 묘실 장벽쪽으로 치우쳐 안치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목관의 구조가 바닥판이 없고, 연도의 너비와 높이, 길이가 목관을 들어나르기 힘든 구조였기 때문에 목관은 각 관재를 묘실로 반입하여 장측판과 단측판을 조립한 후 시상에 끼우듯이 안치하고 蓋板을 덮은 것으로 소위 ‘들어나르는 관’이 아니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런 과정을 바탕으로 무령왕과 왕비의 매장의례과정을 복원하였다.
    무령왕릉은 벽돌무덤이라는 중국 남조의 묘제를 수용하는 국제적 개방성과 함께 백제의 상장례와 차이나는 변수들을 특유의 유연성으로 극복하고 있다. 연도가 길고, 낮고 좁은 상황을 바닥판이 없는 목관으로 대체하는 방식을 택했던 것이다. 결국 무령왕릉의 축조와 상장례는 국제적 개방성과 유연성이라는 백제 특유의 문화적 특징과 흐름을 같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Tomb of King Muryeong is a brick-chamber tomb with an arch-shaped corridor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arched burial chamber. A two-day long excavation was conducted at the tomb site on July 8, 1971 with only 16 hours to carry out. The hasty excavation has left the unfortunate reality of tremendous loss of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facts.
    This paper explores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structures of the wood coffin along with the burial method of the coffin into the chamber and the location of interment. The excavation report, plans and photographs of the tomb of King Muryeong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excavation report of the tomb illustrates that the coffins are absent from bottom plates. The tomb collapsed in a short period of time which gradually disclosed its corpse boards. However, the existence of the bottom plates still remains unidentified. The excavation discovered 1279 nails from the site but it is perceived that none of them has been presumed to be used for bottom plates.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narrow and row corridor is longer than that of the coffin. It must have made it difficult to lift and carry the coffins inside the corridor. Last, the corpse boards are almost equal to the coffins in size, making it impossible to place the corpse boards inside the coffins with lids open. The east plate of the king’s coffin and the west plate of queen’s coffin were found collapsed, respectively being placed close to the east and west barriers of the burial chamber. Judging from such state of the tomb, it is considered that the coffins were not placed at the center of the burial chamber with equidistant intervals but placed leaning to the barriers of the chamber.
    Considering the absence of bottom plates and the fact that the narrow and low corridor would make it difficult to carry the coffins through, it is suggested that the materials for the coffins were separately brought into the chamber, assembled to form the long and short sides of the coffins. Then, the corpse boards were pushed inside the coffins and then covered with lids. This implies that the coffins may not be buried in so called “lift-and-carry” manner. Based on this process, the burial ritual of the King Muryeong and the queen was restored. The Tomb of King Muryeong embodies cosmopolitan openness that it accepted the form of a brick-chamber tomb from the Southern dynasties of China. Meanwhile, the tomb shows distinct flexibility that overcame the variables yielded by the differences from ordinary funeral rituals of Baekje: A long, narrow and low corridor and the coffins without bottom plates were chosen to be built to respond to such differences. In conclusion, as seen from its construction and funeral ritual, the Tomb of King Muryeong is considered to share the internationality and flexibility prevalent in the culture of Baekj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9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