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제 쌍릉 능원의 수학적 설계와 공간구현 (Mathematical Design and Spatial Implementation in Baekje's Ssangneung Royal Tomb Complex)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5.02
34P 미리보기
백제 쌍릉 능원의 수학적 설계와 공간구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백제학회
    · 수록지 정보 : 백제학보 / 51호 / 285 ~ 318페이지
    · 저자명 : 임영재

    초록

    본 연구는 백제 쌍릉 능원의 수학적・기하학적 설계 특징과 그러한 설계의 이면에 담긴 의도를 정밀한 수치 분석과 GIS 기술을 활용하여 탐구한다. 쌍릉 능원은 기존의 백제 왕릉과는 구별되는 입지와 구조를 보이는데, 특히 '2'라는 숫자의 중요성이 두드러진다. 석실의 현실에서 대왕릉은 소왕릉보다 '2척'씩 큰 규모로 설계되어 '2배'의 체적 차이를 보이며, 봉분의 직경 또한 대왕릉이 소왕릉의 '2배'에 달한다.
    능원의 배치는 남쪽의 석왕동 건물지, 대왕릉, 소왕릉이 정사각형과 직각삼각형의 형태로 기하학적 규칙성을 이루도록 설계되었다. 특히 석왕동 유적의 건물지를 기준으로 볼 때, 소왕릉은 약 30도, 대왕릉은 약 15도의 각도로 배치되었으며, 대왕릉까지의 거리는 소왕릉의 2배가 되도록 설계되었다. 흥미로운 점은 봉분 직경이 2배 더 큰 대왕릉이 2배 더 멀리 배치됨으로써, 참배자의 시점에서는 두 능묘가 좌우 대칭을 이루며 동일한 크기로 인식되도록 설계되었다는 것이다. 더욱이, 건물지 바닥으로부터 당시 성인 남성의 시선 높이에서 바라볼 때, 두 능묘의 원봉분이 동일한 수직 시야각을 형성하여, 참배자는 두 능묘의 크기와 높이가 균형을 이루는 좌우 대칭적인 시각적 경험을 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시각적 균형은 단순한 형태적・기하학적 대칭이 아니라, 거리, 크기, 각도・상대높이의 복합적인 비례관계를 통해 구현된 정교한 수학적 대칭성을 보인다는 점에서도 주목된다.
    이러한 정교한 수학적 구조는 왕과 왕비의 권위 차이와 부부로서의 동등성이라는 상반된 개념을 시각적으로 구현하고자 한 능원 설계자들의 창조적 기획 능력을 보여준다. 요컨대 쌍릉 능원은 수학과 기하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위계와 평등이라는 대립적 관념을 참배자의 시각적 경험 속에서 통합해낸 공간인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공간적 구성은 단순한 시각적 균형을 넘어, 참배자의 동선과 체험을 통해 왕실의 위계와 조화를 감각적으로 체현하고 내면화하는 장소로 기능했을 가능성이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athematical and geometric design features of the Baekje Ssangneung Royal Tomb Complex and the intentions behind such designs through precise numerical analysis and GIS technology. The complex exhibits distinct location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compared to other Baekje royal tombs, with particular emphasis on the significance of the number '2'. In the main chamber of the burial chamber, the Great Tomb was designed to be '2 chuk' larger than the Small Tomb in all dimensions, resulting in a volume twice that of the Small Tomb. Similarly, the diameter of the Great Tomb's mound is twice that of the Small Tomb, although both mounds were designed to have identical heights.
    The spatial arrangement of the complex was designed to create geometric regularity through squares and right triangles formed by the Seokwang-dong building site to the south, the Great Tomb, and the Small Tomb. Notably, when viewed from the building site, the Small Tomb was positioned at approximately 30 degrees and the Great Tomb at approximately 15 degrees, with the distance to the Great Tomb being adjusted to twice that of the Small Tomb. Intriguingly, while the Great Tomb's mound diameter is twice as large, its placement at twice the distance ensures that from the worshipper's viewpoint, both tombs appear symmetrical and of equal size. Furthermore, when viewed from the eye level of an adult male of that period at the building site, the original mounds of both tombs create identical vertical viewing angles, allowing worshippers to perceive both tombs as balanced in size and height, creating a symmetrical visual experience.
    This visual balance is particularly noteworthy as it demonstrates sophisticated mathematical symmetry achieved through complex proportional relationships of distance, size, angle, and relative height, instead of relying solely on formal or geometric symmetry.
    This intricate mathematical structure reveals the tomb designers' creative planning abilities and their intention to visually manifest the abstract and contrasting concepts of hierarchical authority between king and queen and their equality as a married couple. In essence, the Ssangneung Royal Tomb Complex represents a space where mathematical and geometric knowledge was utilized to create a unified spatial expression of the opposing concepts of hierarchy and equality. Furthermore, this spatial configuration may have functioned as a medium through which the successors, officials, and visitors could physically and sensorially internalize the order and harmony of the royal fami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제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