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참된 개혁, 그릇된 개혁: 콩가르의 '교회 내 참된 개혁, 그릇된 개혁'에 나타난 참된 개혁의 조건들에 대한 비판적 연구 (True and False Reform in the Community: Critical Study about the True Conditions for Reform in the True and False Reform in the Church of Yves Congar)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1.06
48P 미리보기
참된 개혁, 그릇된 개혁: 콩가르의 '교회 내 참된 개혁, 그릇된 개혁'에 나타난 참된 개혁의 조건들에 대한 비판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전망 / 213호 / 32 ~ 79페이지
    · 저자명 : 최현순

    초록

    본고는 그리스도교의 역사를 바탕으로 교회의 참된 개혁의 조건들을 제안한 콩가르의 『교회 내 참된 개혁, 그릇된 개혁』에 대한 비판적 연구를 통해 인간 공동체의 개혁을 위한 원리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 저서에서 콩가르는 선사와 인간 행위 간 시너지, 혹은 신적 및 인간적 실재의 복합체라는 교회의 이중적 특성을 교회론적 전제로 삼고 있다. 콩가르는 하느님의 선물과 신적 실재라는 특징은 변화시킬 수 없는 것으로, 인간 행위 및 인간적 실재는 변화될 수 있는 것으로 본다. 특히 교계 제도를 교회의 구조로 이해한 가운데, 이 구조가 하느님의 선물에 속하기 때문에 변화시킬 수 없는 것임을 강조한다. 때문에 콩가르는 교회 안에서 개혁의 대상은 교회 구조가 아닌 교회의 삶임을 분명하게 하면서 종교개혁이 교회 구조를 변화시켰다는 점을 강하게 비판한다. 콩가르는 참된 개혁의 조건을, 사랑 혹은 사목적 차원의 우선성, 친교 유지, 인내 및 기다림, 그리고 전통의 보존 등, 네 가지로 들고 있다. 콩가르는 이 기준에 비추어 종교개혁의 개혁을 참된 개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본고에서는 종교개혁에 대한 자신의 비판이 교회 일치적 분위기와 맞지 않는다는 이후 콩가르의 의견에 동의하면서 종교개혁에 대한 재평가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따라 하느님 백성으로서의 교회 개념을 개혁에 대한 평가의 출발로 삼았다. 루터가 신자들의 회중인 교회, 세례로 인한 신자들의 사제직 참여, 그리고 성령의 도유로 인한 예언직 수행을 부각시킨 것은, 가톨릭 교회의 이해와는 중요한 차이가 있다는 점을 분명하게 인지하는 가운데, 종교개혁이 이룬 긍정적 성과로 평가받을 수 있다. 또한 교회를 하느님 백성으로 볼 때 비가톨릭 그리스도인들은 ‘합체’는 아니지만 ‘결합’이라는 방식을 통해 하느님 백성과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이들은 하느님 백성과 대척점에 있지 않게 된다.
    본고에서는 이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인간 공동체를 위한 참된 개혁의 조건들을, 공동체의 원천과 목표 보기, 인본주의, 인내와 기다림으로 제안하였다. 특히 공동체의 원천과 목표를 보는 것은 개혁의 출발점으로서, 이로부터 공동체 안에서 변화시킬 수 없는 것, 변화해도 되는 것, 변화되어야 하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목표를 향해 가는 과정에서 다양한 실현 방법에 대한 포용과 일치의 보존도 가능해지고, 바리사이주의 유혹과 시나고가가 될 위험을 피해야 함도 명확해진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through the critical study about “True and False Reform in the Church” of Y. Congar, tries to propose some conditions for true reform in the human community. Congar clarified four conditions for true reform in the Church: the primacy of charity and of pastoral concerns, remaining in communion with whole Church, having patience with delays, renewal through a return to the principle of tradition. Congar took as his starting point the double character of the Church: synergy between the divine given and the human action, the complex reality of the divine and human elements. The divine given or the divine element is not exchangeable. In particular, the hierarchy belonging to the divine given, is the structure of the Church, and cannot be reformed. Therefore, Congar severely criticizes the way of the Reformers as a false reform. Meanwhile, after Vatican II, Congar recognized that such criticism was not suitable for the ecumenical environment after Vatican II, even though his comprehension about the theology of the Reformation was not wrong. Therefore, this research tried to manifest the possibility of re-evaluating the Re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ecclesiological perspective of Vatican II, in particular of the People of God. Some positive aspects of the Reform could be proposed, regarding congregatio fidelium, sacerdotium universale, exercise of the prophetic function. Then it is proclaimed by the Vatican II that non-Catholic Christians are joined(conjuncti) to the People of God. In this way there is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Catholic Church and Protestantism. Finally, this research proposed some conditions for true reform in human communities on the basis of the conditions proposed by Congar and of the perspective to which these conditions belong: ante et retro oculata as the starting point, humanism, and patience. In particular, from the double view of origin and goal, one must distinguish what must not be reformed, what can be reformed, and what must be reformed. The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diverse ways of carrying out reform while maintaining unity and avoiding the temptation to “Pharisaism” and to a “synagog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전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