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류세 시대, 가이아 명명하기, 대면하기 그리고 기거하기 ‒스텐게르스, 라투르, 해러웨이의 가이아론 또는 가이아이야기- (Naming, Facing and Staying with Gaia -Stengers, Latour and Haraway on the Gaia Theory as a “Gaiastory”-)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2.11
29P 미리보기
인류세 시대, 가이아 명명하기, 대면하기 그리고 기거하기 ‒스텐게르스, 라투르, 해러웨이의 가이아론 또는 가이아이야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 / 153호 / 55 ~ 83페이지
    · 저자명 : 이지선

    초록

    제임스 러브록과 린 마굴리스의 가이아 가설은 신비주의적이고 비과학적이라는 비판을 받아 왔으나 최근 인류세 담론의 부상에 힘입어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가이아와 마찬가지로 인류세 역시 논쟁적인데, 양자 모두 이름이 논쟁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과학철학자인 이자벨 스텐게르스, 브뤼노 라투르, 도나 해러웨이는 각자의 방식으로 가이아 이론을 재구성하고 또 이와 관련해서 인류세에 대한 시각을 재고함으로써 오늘날 생태 위기에 대응할 방법을 모색한다. 스텐게르스와 라투르는 가이아를 하나의 실체 적어도 존재물과 같은 것으로 이해하지만, 그 성격을 서로 정반대로 규정한다. 스텐게르스의 가이아가 초월적이고 추상적이며 따라서 오직 “명명”만을 허용한다면, 라투르의 가이아는 세속적이고 구체적인 형상으로서 “대면”의 대상이 된다. 해러웨이는 가이아를 이와 같이 하나의 존재물로 이해할 때 생기는 본질론을 경계하는 유명론적 입장을 취하면서 가이아보다는 인류세의 재명명을 시도한다. 가이아와 인류세라는 “말썽”을 명명하고, 대면하고 또 기거하며 그 의미 나아가 이름을 바꿈으로써 근대주의와 인류중심주의를 탈각하는 이들의 시도는 기후 변화와 위기앞에서 회의주의와 냉소주의가 팽배한 오늘날 유의미하고 유효한 실천의 사례다.

    영어초록

    The Gaia hypothesis of James Lovelock and Lynn Margulis has recently been reassessed with the rise of the Anthropocene discourse. Gaia remains controversial, and its very name makes an important part of the debate, as in the case of the Anthropocene. Philosophers of science Isabelle Stengers, Bruno Latour, and Donna Haraway take part in the debate regarding Gaia as a way of rethinking the Anthropocene. Stengers and Latour regard Gaia as an actual entity in different ways: Stengers’ Gaia is something that “intrudes,” with its transcendent and abstract aspect, so that all we can do about it is just to name it, while for Latour, it is secular and concrete, with its various faces that make it possible to face. Haraway takes a nominalist position about the name of Gaia and turns to the Anthropocene, which she renames the Chthulucene. However, the three of them share more interests in these “troubles” called Gaia and Anthropocene: troubles are not to throw away altogether but to make change meanings of names and the very names themselves if necessary. By naming, facing, and staying with Gaia, they lead us to a “Gaiastory” and to respond to the ecological cri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