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포스트휴먼 담론에 대한 중도 존재론적 접근 ②- 브라이도티의 ‘포스트휴먼’과 나가르주나의 ‘공(śūnyatā)’을 중심으로 - (A Middle-way Ontological Approach to the Posthuman Discourse②: Focusing on Rosie Braidotti's 'Posthuman' and Nāgārjuna's Śūnyatā)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3.12
30P 미리보기
포스트휴먼 담론에 대한 중도 존재론적 접근 ②- 브라이도티의 ‘포스트휴먼’과 나가르주나의 ‘공(śūnyatā)’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60호 / 473 ~ 502페이지
    · 저자명 : 조해정

    초록

    이 글은 불교 중관학의 창시자인 나가르주나(Nāgārjuna)와 서구의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스트 중 한 명인 브라이도티(Rosi Braidotti)와의 만남을 시도한다. 나가르주나는 부파와 학설이 난립하던 시대적 상황에서 ‘공(空, śūnyatā)’의 관점에서 붓다의 가르침을 새롭게 해석하여 중관학을 창시했고, 브라이도티는 ‘포스트휴먼(posthuman)’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당면한 시대적 곤경을 헤쳐나가고자 한다. 두 사람의 만남을 위해서 상호문화철학자 말(Ram Adhar Mall)의 상호문화적 해석모델을 참조할 것이다.
    나가르주나의 ‘공’과 브라이도티의 ‘포스트휴먼’은 각각 자신의 논의 전개를 위한 방법적 도구로 도입되어 비판적 기능과 긍정적 기능을 수행한다. 비판적 기능은 실체론과 허무론이라는 양 극단에 대한 비판을 의미하고, 긍정적 기능은 중도 존재론의 전개를 의미한다. 나가르주나의 ‘공’은 한편으로는 실체론적인 상견(常見)과 허무주의적인 단견(斷見)의 두 입장에 대해서는 비판적 기능을 수행하면서, 또한 동시에 붓다 본래의 중도의 연기를 드러내는 긍정성의 기능을 수행한다. 브라이도티의 ‘포스트휴먼’ 또한 이분법적인 근대 휴머니즘의 한계에 대해서는 비판적으로 작동하지만, 실제 맥락에 적합한 ‘지도그리기’와 포스트휴먼 주체 형성이라는 긍정성으로 작동한다.
    나가르주나와 브라이도티 사이의 소통 가능성은 서구의 사유와 서구의 전통에서 타자화되었던 비서구의 목소리와의 동등한 만남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가 있다. 동등성의 만남을 조건으로 하는 상호문화철학의 관점에서 서구의 현대철학과 인도의 고대 사상인 중관학의 대화는 그 자체로 변화된 동서 관계를 드러내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ttempt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Nāgārjuna, the founder of Buddhist Mādhyamika, and Rosi Braidotti, one of the Western critical posthumanists. Nāgārjuna founded Mādhyamika by reinterpreting the Buddha's teachings from the perspective of 'emptiness (śūnyatā)' in a time when schools and doctrines were proliferating, and Braidotti has sought overcome the current predicament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posthuma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 will refer to intercultural philosopher Ram Adhar Mall’s intercultural interpretation model.
    Nāgārjuna’s ‘śūnyatā’ and Braidotti’s ‘posthuman’ are introduced as methodological tools for developing their discussions. Each performs critical and positive functions. Their critical function is criticism of the two extremes of substantialism and nihilism, and their positive function is the development of a middle-way ontology. Nāgārjuna’s śūnyatā has a critical function in opposition to substantialism and nihilism, but it simultaneously has the positive function of revealing the Buddha's original Pratītya-Smutpāda of the middle way. Braidotti's posthuman also operates critically on the limitations of dichotomous modern humanism, but it operates positively regarding cartography in relation to the actual context and the formation of a post-human subject accordingly.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Nāgārjuna and Braidotti has a special meaning in that it signifies an equal encounter between Western thought and non-Western voices that have been otherized in the Western tradition. This is because,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 philosophy, which is conditioned on the meeting of equality, the dialogue between Western modern philosophy and India's ancient philosophy, Mādhyamika, in itself reveals a changed relationship East-West relationshi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7 오전